J Eng Teach Movie Media > Volume 23(1); 2022 > Article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영어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학교단위 교사 협력 연구

Abstract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nvestigates a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s efforts in conducting onlin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English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It analyzes English instructors’ experiences and opinions as well as students’ responses. It explores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effective online teaching in a school-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four college English professors who are member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gave questionnaires to 23 female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College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determine how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online classe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English classes although they reported that their workload increased for the asynchronous vers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online English classes was challenging for the instructors, although the teachers reported having enhanced their expertis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enhance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for how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take shape, function, grow, and impact learning, and how it can support teaching online English class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particularly in regard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a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I. 서론

2020년 이후 코로나19 (COVID-19) 팬데믹 상황은 우리 사회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현장에도 예기치 못한 많은 변화를 초래했다. 정부차원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이 실시되었고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서 비대면 접촉이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영어교육현장에서도 대면 수업이 불가능하게 되어 대학교 강의실 등의 집합적인 건물에서 학생들이 모여서 지식을 전수받는 전통적인 교육방식은 크게 위축되게 되었다. 대신에 각자의 집이나 사무실 등의 개인적인 공간에서 온라인 매체를 통하여 상호 소통을 하는 교육방식으로의 대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 5G 기술과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등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이러한 교육방식의 전환을 대비하기에 충분하였지만, 전통적인 대면교육방식에 익숙해 있던 교육자들의 전문성 신장의 수준은 그에 따르지 못하였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수업방식으로부터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의 갑작스러운 대전환은 준비가 충분히 되지 않은 영어교육현장에서 예상치 못한 수많은 문제와 혼란을 야기했다(Choi, 2020; J.-W. Lim, 2021). 이러한 도전과 변화에 직면한 영어교육자들은 비대면 수업을 하기 위한 기술적인 문제 이외에도 비대면 수업의 질 저하, 동기부여나 의욕의 저하 등 파생되는 많은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등장하면서 그 해결 과정에서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H.-J. Kim, 2021; Y.-S. Lim, 2021; Yoon & Kim, 2021; Zhang & Hwang, 2021). 우리는 이러한 코로나 시대의 교육과정에서 겪게 된 시행착오들과 이를 통해 얻어진 교육방법들을 교육자들 사이에 단절한 채 소멸시키지 말고, 상호간의 소통과 담론을 통하여 공유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여기에서부터 출발한다.
사실 영어교육현장에서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의 필요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되었다(Crawford-Ferre & Wiest, 2012). 영어가 국제어로 사용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접어들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을 더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해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교수법이 개발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경우 오프라인 영어수업을 보완하는 제한적인 수업방식으로 온라인 수업방식이 도입되었다(Do, 2020). 그러나 2020년도 이후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너무나 급격하게 전면적인 비대면 영어수업으로 전환되어 온라인 교육이 주가 되는 비정상적 일상이 진행되고 있다. 강의형 녹화수업은 물론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과제 수행 중심의 수업 등의 익숙하지 않은 방식을 준비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많은 부담감과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G.-M. Kim, 2021; M.-S. Kim, 2020; J.-W. Lim, 2021; Oh & Jeon, 2021; Shin, 2021).
이렇듯이 코로나 상황을 맞이하여 비약적인 속도로 발전하는 교육 분야의 과학기술과 달리 생소하고도 새로운 교육현장에 내던져진 교육자들과 학습자들은 어려움을 겪는 이중적인 현상에 노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부실한 학습지원과 수업의 질, 효율적인 수업 콘텐츠 개발의 어려움,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기술적인 어려움,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적절한 수업활동 개발상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Baik, 2020; J.-W. Lim, 2021).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준비가 부족한 경우도 많아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에 많은 혼선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Choi & Ji, 2020). 이러한 영어교육현장에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Baik, 2020; Oh & Jeon, 2021). 또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축소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상호 단절되지 않고 학교단위간 교육경험과 교육방법을 공유하는 접근법이 효과적이다.
온라인 수업의 질을 관리하고 효과적인 수업활동과 적절한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고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고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적인 문제를 관리하고 학습효과를 심도있게 평가하기에는 교육자 개개인의 전문성만으로는 부족하다. 이에 학교단위의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상호협력적 방식으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교사학습공동체’란 뜻을 같이하는 이 학교 안과 밖에서 연구하며 전문성을 공동으로 향상시키는 학습공동체를 말한다(Seo, 2019). 코로나19 이전에 학교 밖에서 만들어진 영어교사공동체를 통한 협업이 있었으나, 이는 온라인상의 자료를 공유하는 차원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Seo, 2009, 2011; Seo & Han, 2013). 코로나19 이후, 초등학교 내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춘 교사들을 중심으로 제작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협업의 예도 있으나, 이는 학교차원의 교사 전문성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H.-J. Kim, 2020). 학교단위의 교육자협력공동체를 통해 학교 차원의 수업의 질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를 함께 논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Seo, 2009, 2019). 따라서 비대면 영어 수업으로의 전환으로 인한 시행착오와 여러가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해결방법의 하나로 학교단위 교사협력공동체에 대한 논의와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단위의 교사 협력에 의한 영어 온라인 수업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실행연구는 매우 미미한 편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학교단위 영어 교사학습공동체에 주목하고 그 효과와 한계 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학교단위 교사 협력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 설계과정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 2) 학교단위 교사 협력을 통한 비대면 대학영어 수업 설계와 실행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3) 학교단위 교사 협력을 통한 영어 비대면 수업의 효과는 무엇인가?

II. 이론적 배경

1.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영어수업

오래전부터 대면 영어 수업을 보완하는 수업의 역할을 해 온 원격수업 또는 온라인 수업은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이 없으며 다양한 매체와 수업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동시적, 비동시적 원격 수업을 모두 포함하는 수업이다(Crawford-Ferre & Wiest, 2012). 동시적 수업과 비동시적 원격수업 모두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Bailey, Schneider, & Vander, 2013; Crawford-Ferre & Wiest, 2012).
그러나 코로나19의 촉발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변화와 더불어 우리 교육현장에도 온라인 수업 중심 시스템이라는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교육분야의 과학기술은 이를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였지만,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직면한 교육자들과 학생들은 예측하지 못했던 많은 문제에 직면해야 했다. 기술적인 준비도 제대로 갖출 충분한 시간 없이 현장교육자들은 비자발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수행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혼란과 문제를 감당해야 했다(Cha & Kim, 2021; Choi, 2020; J.-W. Lim, 2021; Zhang & Hwang, 2021). 대표적인 온라인 교육 방식으로 녹화된 강의, 실시간 쌍방 수업 외에 강의자료의 업로드 및 과제제출 등이 있다 (Lee & Yoon, 2021). 이렇게 다양한 비대면 수업 방식들을 교육자들이 설계하고 이에 맞는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준비하고 녹화를 하고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온라인상으로 평가하는 업무를 감당해 오고 있다(G.-M. Kim, 2021; M.-S. Kim, 2020).
전염병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은 코로나19의 발발 이후로 대면 수업을 보완하는 역할을 넘어서서, 이제는 대면 수업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 다른 온라인 수업의 장점은 콘텐츠에 따라서 다양한 영상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과제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기주도성을 발휘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얼마든지 반복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Jung, 2020). 또한 자료검색을 수시로 할 수 있어서 각자 수준에 맞게 학습을 보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학습의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현장교사가 직면하는 어려운 점과 문제점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Oh & Jeon, 2021; Park & Yin, 2021). 컴퓨터 시설과 장비 등 인프라 시스템의 구축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준비도나 설계역량 부족으로 인해 학습효과와 수업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우려되기도 한다(Baik, 2020; S.-M. Kim, 2020; Moser, Wei, & Brenner, 2020). 또한 서버 과부화로 인한 인터넷 연결의 불안전성 등 수업 이외의 기술적 요인으로 인한 온라인 강의 실행에 대한 부담감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Lee & Shin, 2020). 또한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원격 온라인 교육환경에서의 고립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Yoon & Kim, 2021). 온라인 교육 상황이 지속될수록 학생들의 고독이 깊어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생들이 학습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유튜브나 SNS 등 온라인 매체들까지도 과다하게 노출되어 사용하게 되는데, 그 결과,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J.-M. Lee, 2020).
비대면 영어 수업 중 비실시간 녹화강의는 시간적, 공간적 구애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Hwang & Kim, 2021). 이러한 녹화 동영상강의의 유연성으로 인해 학생들이 교사가 직접 녹화한 강의를 선호하기도 한다(Cha & Kim, 2021; B.-K. Lee, 2020). 그러나 녹화강의는 교수와 학생사이에 시공간적 분리와 상호작용이 부재하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시간 쌍방 비대면 수업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Choi & Ji, 2020). 그러나 피드백의 효율성이라는 면에서 전통적인 교실수업에서의 교사 또는 학생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에 비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오프라인 수업에서 얻을 수 있는 수업효과를 충분히 거두지 못하고 있다(Lee & Kim, 2020).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더 많은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수업활동을 설계·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업무에 대한 중압감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Oh & Jeon, 2021; Park & Yin, 2021). 학습자들의 입장에서도 증가된 학습량과 과제를 혼자 스스로 해야 하는 부담감을 감당해야 하며 평가에 대해서도 불안감을 가지는 상황에 놓여 있다(Lee & Kim, 2020). 이에 온라인 상황에서의 평가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Cha & Kim, 2021; Hwang & Kim, 2021).
이와 같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온라인 영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온라인 영어 수업 역량이 증진되고 이에 대한 교육방법과 지식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나가야 한다. 이를 지원하기위한 테크놀로지 측면의 인프라 구축과 기술적인 전문성 강화, 그리고 온라인 수업 방식 및 운영의 표준화 등이 제안되었다(Yoon & Lee, 2020). 아울러 온라인 교육에 적합한 다양한 온라인 맞춤형 교수 학습 콘텐츠도 개발되어야 한다(Baik, 2020; Lee & Kim, 2020).
현재까지의 온라인 영어수업 연구는 대체적으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Cha & Kim, 2021; B.-S. Kim, 2021; H.-J. Kim, 2021; Lee & Yoon, 2021; J.-W. Lim, 2021; Yoon & Kim, 2021), 온라인 영어수업의 교수매체 활용 및 경험과 반응(Oh & Jeon, 2021; Park & Yin, 2021; Jeong & Kim, 2020; H.-J. Kim, 2020),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효과에 대한 비교(Park, 2021), 학습자의 몰입도나 영어학습 자기주도성, 자기조절능력 (B.-S. Kim, 2021; Lee & Lim, 2021; Jung, 2020), 온라인 영어수업의 실태(Lee & Kim, 2020) 등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대략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영어교육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비대면 영어 수업의 질의 향상과 영어수업을 위한 콘텐츠의 재구성 및 제작, 비대면 영어수업을 통한 영어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보다 다각적이고 혁신적인 수업 설계와 방법에 대한 학교 교사들 상호간 소통과 협력을 통한 접근과 실천적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2. 학교단위 교사 협력과 교사 전문성

코로나19 이후 학교현장에서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실태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보면 보완되어야 할 문제들이 점차 수면위에 드러나고 있다. 비대면 수업의 질의 저하, 그리고 학생들 간의 학력격차의 심화, 상호작용과 수업활동의 문제,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업 콘텐츠의 개발의 문제 등을 들 수 있다(Cha & Kim, 2021). 코로나19로 인한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을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는 디지털 교수매체의 조작을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고 교사중심의 지식전달식 수업방식에서 크게 탈피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Jeong & Kim, 2020). 또한 교육자가 어떻게 수업활동을 설계하는지에 따라서 상당히 다른 만족도를 학생들이 보여준다(Choi & Kang, 2002; Do, 2020). 따라서 교육자의 온라인 수업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Baik, 2020).
기존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수업구조를 다시 설계해야 하고, 교수전략도 바꾸어야 하며, 비대면 수업내용과 수업활동을 충분히 준비하고 설계해야 한다(Do, 2020; Lee & Yoon, 2021). 특히 영어수업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를 가지고 학생들의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 비판적 사고도 기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Jung, 2020).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춤형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비대면 상황에서도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Baik, 2020; Cha & Kim, 2021). 그러나 비대면 영어수업의 내실화를 이루기에는 교육자 개개인들의 단절된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실제로, 영어 교육자들은 감정노동과 더불어 과도한 업무시간으로 인해 일과 삶의 불균형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Oh & Jeon, 2021).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수나 컨설팅,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등 여러가지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방안이 단절된 개개인의 교육방법과 지식들을 이어줄 수 있도록 교육자협력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사학습공동체’이다(Baik, 2020). 학교단위의 협력적 교육자 공동체란 같은 학교에 소속된 협력 공동체를 형성하여 함께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콘텐츠를 공유하고 수업을 실행·성찰·개선하며 그 경험과 피드백을 나누고 같은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공동으로 논의하고 해결해 나가며 학생들의 학습에 대해서도 공동으로 책임을 진다(McLaughlin & Talbert, 2006; Seo, 2011). 개인주의 교육자문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교사 협력공동체는 학습효과 향상의 비전을 공유하고 동료교육자의 다른 관점을 이해하고 경청하고 논의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높이며 교사의 전문성뿐만 아니라 학교단위의 집단 실천적 지성을 새롭게 창출하는 장이 될 수 있다(Grossman, Wineburg, & Woolworth, 2000; Lee & So, 2017; Seo, 2010, 2011). 교사학습공동체의 긍정적인 예는 Seo(2019)의 연구에 잘 나타나 있는데, 학교단위 교사공동체를 형성한 경기도의 J중학교 교사들은 고립적 구조와 불간섭주의 문화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수업을 성찰하고 수업연구회를 통해 정보와 의견을 나누었다고 한다. 동 학교 교사들은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면서 교사의 전문성과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교사협력을 통해서 온라인 영어수업에 관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자의 미디어 역량의 신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영어수업으로서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교사 전문성이 신장되어야 한다(Oh & Jeon, 2021). 코로나19 상황 이전에 한 학교 내에 교사공동체를 형성하여 전통적 오프라인 학교상황에서 발생하는 교육적인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사례가 있다(Ahn, 2017; Seo, 2019). 또한 학교 밖 온라인상에서 영어교사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수업 콘텐츠를 재구성하고 활동자료를 공유하는 사례도 보고되었으나 이는 온라인상의 자료를 공유하는 차원에 그치는 경향이 있다(Seo, 2009, 2011; Seo & Han, 2013). 코로나19 이후,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해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를 보면, 한 초등학교 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춘 교사를 중심으로 한 팀이 형성되어 각자 한 과목씩 맡아서 해당 과목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움직임이 있어 왔으나, 학교내 교육자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는 여전히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J. Kim, 2020). 이러한 협업은 어디까지나 온라인 환경에 익숙한 교육자가 만든 자료를 공유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는 협력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학교차원의 교사 전문성 신장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한 학교 내의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수업의 질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관리하기 위해선 교육자 개개인의 힘과 시간과 역량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각 학교 내의 다양한 학생들의 특수성과 개별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학교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 활동에 대한 실행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단위의 영어교사공동체에 관한 연구는 아직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보조교사의 오프라인 협동 수업에 국한되어 있다(Kil, 2004; M.-H. Kim, 2010; S.-J. Kim, 2011; Kim & Im, 2008).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영어 온라인 수업을 위해, 한 학교 내에 교사협력공동체를 형성한 사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단위의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온라인 대학영어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후 교사협력공동체 활동의 어려운 점이 무엇이며 어떻게 개인의 전문성이 신장되며 또 그로인한 교육효과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서울시 소재의 S여대에서 비대면 온라인 교양영어 협업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연구팀을 형성한 교수자들 중 4명의 교수들과 교양영어를 수강한 학습자들 중 23명의 여대생들이다. 학생들의 토익 성적은 약 700점에서 920점 사이였다. 이들 중 4학년 2명(8.70%)을제외한 21명(91.30%)은 모두 1학년이었는데, 나이는 만 19세~24세이었고 이들 중 19명(65.22%)이 만 19세였다. 전공은 국문학과, 영문학과, 기독교학과, 경제학과, 행정학과, 언론영상학과, 화학과 모두 각 1명씩(4.35%) 총 7명(30.43%)이었으며 독문과와 중문학과, 그리고 아동학과 전공학생은 각각 2명씩(8.70%) 총 6명(26.08%), 그리고 사학과 전공학생이 4명(17.39%)이었고 나머지 6명(26.09%)은 모두 자율전공학과 학생들이었다. 모든 학생들이 이전 한학기동안 온라인 수업의 경험이 있었다. 연구에 참여하는 데에 동의한 교수자들도 모두 여성이었고 교양영어를 강의한 교육경력과 교수협력공동체 활동경력은 10년~15년이며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 수업 경력은 2년이었다. 교수 2를 제외하고 모두 교양영어 과목의 주임교수자의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한 학기에 한 과목의 주임교수의 책무를 하면서 다른 교양영어 과목의 개발자 역할을 하였다. 교수 3은 교육공학의 지식과 활용능력이 뛰어나 기술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할 때마다 해결책을 제시하였고 나머지 교수자들도 수업활동을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추고 있으며 수업을 수행하는 능력이 우수했다. 교수 2는 세 과목의 개발자 역할을 함과 동시에 녹음을 듣기평가를 위해 녹음자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2. 학교단위 교사협력을 통한 영어수업 설계

본 연구대상 학습자들이 수강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을 위해 교수자들이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교수협의를 통해서 선택한 교재는 Pathways 3 (Chase & Lee, 2018)였으며 비대면 수업의 구체적인 방식은 녹화강의와 실시간 비대면 수업의 혼합형이었다. 교수자 중 한 명이 주임교수자의 책임을 맡아 Figure 1과 같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였고 동료 교수들과 함께 15주 수업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제공할 학습활동과 학습과 교수의 양을 정하였다. 이 과목의 경우 일주일에 3시간씩 수업이 구성되었는데 한 주는 1차시와 2차시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녹화강의 및 과제 그리고 공지사항이나 피드백을 위해서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연구팀의 교수자들은 각자 맡은 분량의 수업활동과 콘텐츠를 개발하였고 함께 의논하여 도입부분과 듣기와 말하기와 문법 등을 온라인 수업의 흐름에 맞게 개발하였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만들어 나갔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소통하고 회의 등을 통하여 교과서 내용과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그 다음 주에 가르칠 내용을 수정·보완 재구성하였다. 교수연구팀은 더 나은 수업내용을 구성하고 더 효과적인 수업활동을 선택하기 위해서 각자의 아이디어와 교수방법 등을 공유하였다. 구체적인 점에서 주목할 점은 각자 맡은 부분을 가지고 함께 수업동영상을 만드는 협동수업의 수준에 머문 것이 아니라, 같은 교재 및 이를 바탕으로 공동으로 작성한 교안과 온라인 콘텐츠와 수업활동지 등 제반 수업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에 임하였다는 것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특징으로는 각자 담당한 반의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제반 수업자료들을 재구성하고, 피드백을 자율적으로 주는 방식으로 영어수업을 녹화하고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수업 후에도 교수들 간의 피드백이 있었고 비대면 수업을 수정·보완·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피드백 등 소통은 온라인상의 댓글과 이메일, 전화의 문자나 통화 또는 단체 카톡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온라인 수업의 평가형태와 문항 역시 협력을 통해서 정해졌으며 피드백을 통해서 최종 평가지가 완성되었고 공유되었다.
학생들은 녹화강의를 통한 학습을 보충하기 위해서 Figure 1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 된 학습내용을 보며 시간적 제한 없이 예·복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녹화강의에 대한 강의노트 외에 복습용 보충·심화과제가 주어졌는데, 추후에 과제에 대한 답을 게시하여 학습자들이 각자 답을 확인하고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영상 및 멀티미디어 자료가 적극 활용되었는데, 예를 들면, 도입부분의 경우, 학습자들의 동기유발을 위해서 Figure 2와 같이 각 Unit의 주제와 관련된 영화의 한 장면이나 광고나 유명한 연설 등의 짧은 동영상을 시청한 후 짝이나 그룹멤버와 함께 학생들이 영어로 대화하면서 소통할 수 있도록 수업활동을 설계하였다.
도입부분에서 소개된 주제는 자연스럽게 학습목표로 이어졌는데 교과서 내용을 가르칠 때는 어떤 부분을 어떻게 가르칠지 어떤 부분을 수정·보완할지 등이 시간 단위로 제시되었다. 수업내용은 교과서에만 국한되지 않고 관련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개발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렇게 협력을 통해 개발되고 수정하고 보완된 최종 교수 자료와 교안은 모든 교수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되었다.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총 12번 이루어졌는데 두번의 평가세션을 제외하고 말하기 활동을 위해서 10회에 걸쳐서 실행되었다. 녹화강의 동영상은 1차시엔 문법 예습(Grammar Preview) 강의와 교과서 관련 녹화강의가, 2차시엔 문법 복습(Grammar Review)과 해당 Unit의 두번째 부분이 녹화되고 업로드 되었다. 녹화된 강의를 들은 학생들은 과제를 수행한 후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만나서 전체적으로 그리고 때로는 소그룹으로 Figure 3에서와 같은 말하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소위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시간 비대면 수업활동을 통해서 교사와 학생간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파트너와 그룹을 지정해 주어서 수업 이외에도 주어진 과제에 대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통해서 녹화강의나 과제에 대한 질의·응답시간을 가졌고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목표어만 사용하여 최대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말하기 활동을 하도록 했다.
녹화된 강의 동영상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활동에 대해 학습자들이 강의노트를 완성하고 문법 및 그룹 활동 과제 등을 하도록 했는데, 학생들이 답을 쓰거나 메모를 하도록 각 주별 당 하나의 과제 파일이 만들어져 각반 LMS에 업로드되었다. 이러한 과제파일도 역시 교수협력을 통해서 완성되었다.
평가는 말하기 평가와 문법 및 듣기 어휘 독해 평가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학교의 LMS 상으로 치루어진 중간시험과 기말고사 문항은 Figure 4에서와 같이 듣기문제를 비롯하여 읽기문제 등 총 60개 문항으로 만들어졌는데 모두 교수협력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 확정되고 공유되었다. 듣기시험은 스크립트가 재구성되었으며 두 명의 교수들에 의해 새롭게 녹음되었다. LMS를 통한 온라인 평가는 시험시간에 제한을 둘 뿐만 아니라 문제의 순서와 보기의 순서가 학생마다 다르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공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3. 결과 분석방법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비자발적인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한 학기동안 수행해 본 결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교양영어 교수 네 명과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교수협력공동체 활동을 통해 비대면 영어수업을 실행해 본 경험에 대한 교수자들의 생각과 반응 등을 조사해 보았다. 교사협력공동체에 참여한 교수 네 명에 대한 인터뷰의 종류는 아래의 Table 1과 같다. 본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상의 어려움과 교사 전문성, 마지막으로 효과와 제안 등의 주제를 가지고 편안하고 자유롭게 대화하는 형식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은 한두 차례에 걸쳐 회당 1~2시간 정도 진행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면담자료는 연구자가 녹음된 자료를 여러 번 들으면서 전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세가지 연구범주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학교단위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한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추가적으로 학습자들에겐 간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 만족도 등을 알아보았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녹화강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로 나누어 리커트 척도 5단계(1번: 매우 불만족, 2번 불만족, 3번 보통, 4번 만족, 5번 매우 만족)를 적용해 답변하도록 하였고 각 문항에 추가로 자유서술문항을 구성하여 만족의 정도를 선택한 이유를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학생들이 LMS로 기말고사 본 직후 같은 LMS 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간단한 빈도분석만 실시되었다.

IV. 연구 결과

1. 학교단위의 교사협력을 통한 비대면 영어 수업의 어려운 점

교수들과의 인터뷰 결과, 학교단위의 교사 협동 공동체를 형성해서 온라인 영어수업을 설계하고 시행하는 가운데 가장 어려운 점은 시간적·심적 부담감이었다. 학교단위로 협동하고 함께 책임을 지기 때문에 이러한 부담감은 바로 교사 개개인의 삶의 우선순위와도 연결되었다. 이에 대한 교수들의 인터뷰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혼자서 수업을 할 때엔 저 혼자 책임지면 되지만 교안을 여럿이서 함께 공유하다 보니 내가 방향을 잘 잡고 있는지 실수는 하고 있지 않은지 학생들의 반응이 좋지 않으면 어떨까 또는 시간 안에 맡은 부분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지 등등 부담감이 항상 있어요. 스케쥴을 조율하거나 서로 생각이 틀려서 의견을 조율하는 것도 걱정되고요…일단 수업개발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다른 녹화나 실시간 수업은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리게 되는 것 같아요. 근데 마지막 교안과 수업자료를 보면 혼자선 아무리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도 만들 수 없을 거란 생각을늘 하죠. (교수 2)

  • 전 전혀 개발이 되어있지 않은 수업자료를 개발해야 할 때가 제일 힘들었어요. 예를 들면 영화라는 raw material을 개발할 때요. 영화의 대본과 영화의 대사가 맞지 않을 때 대본을 완벽하게 다듬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들었고요... 시간 안에 일을 끝내야 한다는 부담이 컸어요. 영화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영상과 대본을 편집하는 데 시간을 많이 썼거든요. 그래서 녹화시간과 ZOOM 수업의 균형을 맞추는 게 어려웠어요. (교수 4)

교수들 개개인에게는 위와 같은 심적인 부담감이 있기 때문에 좀더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온라인 수업을 개발하게 되었고 시간적인 부담이 있어서 우선순위와 다른 일과의 균형을 잡기가 어렵다는 점이 있었다. 개인적인 수업을 위해서 온라인 수업을 개발할 때와 비교해서 아무래도 같은 목표를 향해서 방향을 잡고 그 방향에 알맞으면서 동시에 학교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효율적으로 수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율하기 전에 심적인 그리고 시간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고 했다.
이렇게 협업을 통해서 개인차원에선 만들기 어려운 질 높은 수업 콘텐츠와 학습활동 등이 제공된 교안이 분단위로 완성되었으나, 마지막 실행단계에서는 대면 수업에서만큼 학생들과 라포르(rapport)를 형성하거나 각 수업활동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거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것이 어렵다는 지적을 했다.
  • 개발 시간이 늘 부족했지만 우리가 함께 개발을 하니까 확실히 한 학기를 마무리할 수 있었는데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가장 어려웠던 것 같아요. 비대면 수업에서는 바로바로 학생들의 반응을 보고 얼마나 이해했는지를 체크하고 수업할 수 있었는데요. 좋은 수업활동과 수업 콘텐츠는 가지고 있는데 얼마나 직접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바로바로 체크하는 게 어려웠어요. 게다가 소회의실에서 학생들이 얼마나 활발하게 영어로 말하기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러 그룹을 동시에 확인할 수 없는 것도 참 힘들고요. (교수 3)

위의 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분석할 수 있는 점은 교안에서 정해진 것처럼 짝 활동이나 그룹 활동을 통하여 최대한 이끌어 내려고 노력했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학생과의 라포르 형성이나 상호작용이 대면 수업만큼 효과적이지는 않다는 것은 비대면 수업 자체의 단점이자 어려운 점이라고 하겠다.

2. 학교단위 교사협력과 교사 전문성

학교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를 형성하여 온라인 영어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엔 여러가지 심적 그리고 시간적 부담이 크고 힘이 들지만 질 높은 수업 콘텐츠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서 각 교수자들 모두 개인적인 전문성이 신장되었다고 했다. 이러한 전문성은 기술적 콘텐츠개발 및 학습활동 및 학생과의 의사소통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처음엔 무엇을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방향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몰랐어요. 이젠 어디서 어떻게 수업자료를 찾거나 만들어야 할지 알고 있으니 많이 발전한거죠...정말 처음엔 멀티미디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몰랐었는데 오랫동안 우리가 회의하고 서로 알려주면서 배우고 또 실제로 해 보면서 잘 하게 된 것 같아요. (교수 2)

  • 이번 온라인 학기 중에도 이미지 캡쳐하는 법 등에 대해 서로 정보를 나누었어요. Gom player, Kahoot, ZOOM 활용법과 녹화편집상의 기술뿐만 아니라 실시간 수업을 위한 다양한 앱과 프로그램의 사용을 함께 해 보는 과정에서 많이 발전하는 느낌이 들어요. 음질과 화질을 높이는 방법도 함께 연구해 보고…또 연습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젠 누구에게도 기술적인 문제로 부탁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혼자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면 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을 테고 시간낭비도 꽤 많이 했을 거예요. 온라인 수업을 해야 하는 멀티미디어는 늘 함께 사용했기 때문에 괜찮았는데 녹화 수업과 실시간 수업을 처음 해 보는 첫 학기는 정말 힘들었어요. 다행히 지금은 어느정도 익숙해진 것 같아요. (교수 1)

위의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할 수 있는 점은 이렇게 수업개발의 방향설정과 수업콘텐츠와 수업활동을 기술적인 전문성으로 개발하고 구성하면서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전문성도 신장할 수 있었다는 것이라고 하겠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특성상 대면 수업만큼 학생들의 분위기나 반응을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점이라고 지적했었는데, 온라인 수업상에서는 지난 해 보다는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더 나아졌다는 점에서 전문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분석하여 보면 아이디어의 공유와 토론과 회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 확실히 처음보다는 학생들과 소통하고 상호작용 측면에서 더 나아졌어요…제 경우엔, 우리가 교안을 함께 개발하고 나누고 학생들에 대해 얘기하고 회의를 하는 과정에서 배워진 것 같아요. 이젠 ZOOM에서 소회의실을 시간낭비없이 만들고 이미 정해진 그룹의 경우 화면공유 등을 통해서 바로 그룹핑을 할 수 있게 되었죠. 2년째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는데요, 온라인 수업이라서 일방적일 수 있는 수업을 이젠 각종 활동을 더 다양하게 해 보고 있잖아요…특히 Kahoot이나 Jeopardy와 같은 온라인 게임 등을 서로 소개하고 개발하고 공유하면서 학생들하고 더 잘 소통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교수 4)

위의 인터뷰에서 드러나는 점은 학생과의 라포르 형성이나 상호작용은 온라인 수업이기 때문에 제한적이지만 온라인 상황에서도 학생들과 더 잘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 것도 교수협의를 통하여 여러가지 의견을 나누고 기술적인 전문성과 아이디어를 나누고 시도해 보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교사협력을 통해서 제한된 시점이 아니라 여러 명의 생각과 시각을 공유하기 때문에 더 다양한 시각과 넓은 사고를 가지고 온라인 영어 수업개발에 접근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 저는 무엇보다 저의 시야가 넓어진 것 같아요. 내 위주의 수업을 구성하는 차원이 아니라 다른 선생님들이 제안하시는 수업활동과 교안을 보면서 아 이렇게도 생각하고 접근할 수 있구나 하고 깨달으면서 학생들 입장에서 교안과 수업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저 혼자서는 아이디어가 막히거나 방향성을 잃거나 또 단순하게 접근할 수 있었을 텐데 우리가 모여서 브레인스토밍도 하면서 다양하게 시도도 해보고 토론도 하면서 우리 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택하게 되잖아요. 저 혼자 개발했다면 절대로 창의적이거나 완성도 높은 수업은 불가능했을 거예요. (교수 2)

위의 인터뷰에서 분석되는 점은 혼자만의 사고나 창의성이 아니라 교사협력을 통해서 온라인 영어수업을 다양한 시각과 공동체 차원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학생평가 측면에도 학교차원의 교사 전문성이 신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우리가 회의하고 의논하고 또 각자 만든 문항을 다시 수정하고 만들었잖아요. 여러 단계에서 서로 의논하고 만들어가기 때문에 아무래도 평가에서도 실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학생들의 실력을 잘 평가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듣기문제도 교과서 스크립트를 변형하고 또 우리 선생님이 녹음을 하고 주임선생님께서 편집해 주셔서 60-70문제를…골고루 완성도 높은 시험문제를 만들잖아요. 난이도까지 신경써서요. 혼자서 세 과목의 평가항목과 문제를 구성하고 다시 녹음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절대 불가능하다고 봐요. (교수 3)

위에서 보듯이 회의와 소통과 협력을 통해서 각 항목에 맞는 문항을 만들고 난이도를 고려하여 재구성하게 되었으며, 듣기문제의 경우 새롭게 재구성된 스크립트를 가지고 새롭게 녹음을 하는 등 60-70문제의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시험을 만들고 온라인상으로 재구성하거나 공유하여 영어수업의 표준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듯이 학교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 활동은 바로 학교단위 평가상의 교사 전문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여러가지 차원의 교사 전문성은 무엇보다 교수 협력 공동체를 통한 노력의 결실이라고 평가할 수있다. 학교단위의 교사 전문성이란 결실을 이루기 위해선 교수자들은 다양한 요인들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제 생각엔 이런 교사 협력 시스템을 강하게 이끌 수 있는 리더십과 이 시스템에 처음부터 모두 합의를 하고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 같아요. 물론 어느 정도의 갈등도 생길 수 있고 이 시스템에 적응하는 데 한동안 시행착오를 거치겠지만요… 모두 같은 방향을 보고 학생들을 생각하고 서로 신뢰하면서 자신의 것을 기꺼이 내어놓는 거죠… 내 것을 수정하고 다른 아이디어도 받아들이고 조율하고 소통해 가면서 해결하는 자세와 여유가 있어야 해요. (교수 1)

  • 우리 각자 개성도 있고 달란트도 달라서 서로서로 보완도 되고… 조화나 균형을 이루는 법을 배우게 된 것 같아요. 코로나19가 생기기 오래 전부터 우리가 서로 신뢰하고 합심해서 수업자료를 만들고 수업활동에 대해 의논해 왔기 때문에 이게 가능한 것 같아요. 이번 학기 갑자기 온라인 수업을 하기 위해서 이 시스템을 만들었다면 아마 훨씬 더 어려웠을 거예요… 우리가 늘 하던 수업을 개발하되 이번 온라인 수업 상황에 맞게 온라인 수업자료를 만들고 교안을 짜면 되니까 가능했어요. (교수 4)

위에서 분석할 수 있는 점은 교사협력공동체 문화가 우선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언어학습의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리는 공동의 목표의식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리더십과 자발적인 합의와 참여, 상호신뢰와 배려가 필요하고, 의견을 조율할 때에도 열린 마음으로 협의할 수 있는 자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S여대의 경우, 교육방법과 교육환경까지 연관된 배경을 들여다보면, 교사협력공동체에 뜻을둔 리더 교수자를 중심으로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리더 교수자와 뜻을 같이 하는 교수자들이 책임을 공동으로 지면서 각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교안을 만들고 지속적인 회의와 대화와 상호 피드백을 통해 교안을 재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실천적인 노력을 통해서 영어교사협력 공동체로 성장해 온 점을 주목할 수 있다. 이렇듯이 종합적인 분석이 되기 위하여 추가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교사협력공동체 문화가 형성되기 위해선 섬세하고 강한 리더십과 동료교수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와 적응할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3. 학교단위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한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과

교수들은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한 온라인 영어수업의 가장 확실한 교육효과는 표준화된 교육 콘텐츠의 질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지속적으로 협력하면서 학생들의 수준에 맞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학습활동을 함께 분석하고 재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비대면 영어 수업의 질도 학교 공동체 차원으로 관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아무리 제 컨디션이 나쁘더라도 각 레벨별 각 과목별 수업의 질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가 있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서도 실패할 가능성이 정말 적어요. 녹화강의뿐만 아니라 실시간 강의도요... 분단위의 교안과 완벽한 handout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레벨에 맞는 표준화된 영어 콘텐츠가 있기 때문이죠. 단순하게 교과서와 평가문제만 공유하는 차원이 아니라 도입부분에서부터 마지막 wrap up부분까지 알차고 다양한 수업활동 및 콘텐츠라는 표준화된 자료가 있다는 것이 정말 강점인 것 같아요. (교수 4)

실제로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해 온라인 수업을 개발하고 시행한 이후 비대면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반응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Figure 5를 보면 전반적으로 22명(95.65%)의 학생들이 녹화된 강의동영상으로 비실시간 학습(asynchronous learning)에 만족하거나 매우 만족한다고 했으며, 21명(91.30%)의 학생들이 ZOOM 수업등으로 실시간 학습(synchronous learning)에 만족 또는 매우 만족한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두 종류의 온라인 학습방식 모두 비슷하게 선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녹화된 강의 동영상을 통해 학습하는 경험을 매우 선호한 학생은 7명(30.43%)이었고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서로 상호작용하고 토론하며 말해 보는 수업을 매우 선호하는 학생은 3명(13.04%)였다는 점에서 녹화된 강의동영상으로 학습하는 것을 좀 더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녹화된 강의동영상을 선호하는 이유는 흥미 유발 가능한 콘텐츠가 사용된 점, 그리고 원하는 시간과 공간을 선택할 수 있고 반복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반응이 많았고 여러 어휘표현 등 배운 부분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답변도 있었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로 학생 간의 의사소통활동을 할 수 있어서 목표어로 말하기 연습이 되었다는 점을 들었다. 짝이나 그룹으로 말하기 연습을 해 보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어느정도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도중에 생기는 질문을 바로 할 수 있는 점도 장점으로 들었다.
  • 온라인 강의는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내 속도에 맞춰서 여러 번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ZOOM 수업은 파트너와 소통하며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좋았어요. 그 주에 공부한 내용에서 모르는 부분을 ZOOM 수업에서 교수님께 실시간으로 질문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무엇보다 강의노트에 적은 내 생각들을 통해 영어 작문 능력을 키울 수 있었고 그걸로 파트너랑 영어로 대화해 볼 수 있었다는 것과 생각을 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아요. (학습자 1)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자율성을 가지고 반복학습한 내용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을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짝이나 그룹멤버와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면 영어 수업이 녹화강의와 실시간 대면 수업을 혼용한 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이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라는 상황 속에서도 짝이나 그룹멤버와 함께 소통하면서 고립이나 영어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해결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 혼자 공부할 땐 외롭고 영어가 두려웠었는데… 실시간 강의에서 짝과 함께 말하기를 계속하다 보니 말하기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요, 말하기 과제를 두 번이나 준비했기에, 유창하고 여유롭게 말하는 데 실력이 더욱 향상된 것 같습니다. (학습자 2)

그 외 과제에 대한 부담감도 있었는데,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서 학생들은 교수와 소통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온라인 녹화수업에 얼마나 열심히 참여하였는지 알기 위해서 강의노트를 완성하는 과제를 해서 업로드하게 했는데 번거롭고 힘들어 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 교수님께서 워낙 학생들을 많이 배려해 주셔서 감사했는데요. 근데 과제가 너무 많아서 개인적으로 많이 힘들었던 수업이었던 것 같습니다. (학습자 3)

일부 학생들은 매번 녹화된 강의를 듣고 난 후 강의노트를 완성해서 업로드시키는 과제 이외에 추가로 심화과제를 해야 한다는 것에도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과제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녹화강의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방법은 앞으로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한편, 각 과제마다 간단한 피드백이 제공되었는데 학생들은 이러한 피드백을 보면서 교수자와 소통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쪽지나 메일을 보냈을 때 그리고 수업시간에 질문을 하면 항상 빠른 답변을 주셔서 만족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많이 소통한 것 같아요. 과제가 많아서 힘들었던 면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영어를 계속 공부하게 된 것 같아요. 교수님이 과제에도 항상 댓글을 달아 주셨고, ZOOM 수업에서도 소통에 많이 신경 써 주셔서 늘 교수님께 의지하는 마음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분이었습니다. (학습자 4)

과제 이외에 온라인 커뮤니티상으로 더 학습하고 싶은 학생들을 위해 과제에 대한 보충자료를 매주 제공된 점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 특히 Grammar 부분은 구체적인 설명을 색깔분류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이해하기 편했어요. 커뮤니티에 스크립트 전문이 올라와 있어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을 혼자서 공부하는 게 좋았어요. 놓친 부분을 다시 공부할 수 있었거든요. (학습자 5)

개인적인 자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보충자료들을 학생들에 제공할 수 있는 것도 학교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 활동이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개인의 차원에서 가지는 시간적·물리적 한계 때문에 질이 높고 다양하고 상당한 양의 수업자료를 구성하는 자체가 불가능하며 각기 다른 수준의 학습자들을 위한 보충과제를 제공해 주는 맞춤형 수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학교단위의 교수 모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의견을 조율하고 수정 보완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 교양영어에서 표준화된 영어 콘텐츠 이외의 교육에 대한 욕구가 있는 높은 수준의 학생들을 위해서 추가적인 자료를 주었었는데요, 추가과제를 한다고 해서 가산점을 준 것도 아닌데도 한반에 15%정도의 학생들이 학기초부터 학기말까지 그 자료를 이용하고 과제를 완성하고 또 그에 대한 추가적인 질문을 했었어요. 이런 보충자료는 교수협력이 아니었다면 개인적으로 작성하고 업로드해 주는 것은 불가능했을 거예요. (교수 4)

수업 콘텐츠와 교안을 만드는 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또 한편으로는 혼자서는 준비할 수 없는 수준의 수업 콘텐츠가 확보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학습자들에게 설명하거나 보충해 주고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여유도 생긴다고 판단된다.
  • 수업 내용이 어렵다고 호소하는 학생들이 있어서 추가적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해 주었었는데요…. 질의응답이나 쪽지로 오는 질문에 대해서도 온라인상으로 답하고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추가적으로 녹화강의에도 보충하거나 더 잘 만들려고 했었는데, 학생들이 배움에 대한 욕구가 매우 크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어요. 제 나름대로 설명을 더 자세하게 해 줄 수 있는 여유도 다 선생님들이 함께 수업을 만들어 가기 때문에 생긴 것 같아요. (교수 1)

또한 교수의 입장에서도 비록 표준화된 콘텐츠와 수업의 질이 보장이 될지라도 비대면 수업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학생들과의 즉각적인 반응을 파악하고 또 바로 반응해 주거나 필요한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것이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 더 보완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 오프라인 수업에 비해서 학생들의 분위기와 반응이 즉각적이지 되지 때문에 답답한 부분이 있어요.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과의 상호활동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선 더 많이 논의해 봐야 할 것 같아요. (교수 3)

이처럼 교사협력공동체를 형성했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수준과 요구에 어느정도 부합하는 영어수업 콘텐츠의 질이 지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었고 영어수업이 표준화될 수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그러나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한 대면 영어수업의 질만큼의 비대면 영어수업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과의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협의와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하겠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교사들이 개별적인 지식이나 경험에 고립되지 않고, 학교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한 비대면 영어 수업으로의 전환의 사례를 공유하여 앞으로 비대면 영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학교단위 교사협력 커뮤니티를 통해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을 함께 설계하고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고 재구성하여 15주동안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을 실행한 후, 교수들의 의견과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학교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에 참여한 모든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며 학생 연구대상도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대학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 중 한 반인 23명의 여대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사협력공동체를 통한 비대면 영어수업에 대한 실행연구이므로 앞으로 학교단위의 교사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학생들의 수준과 요구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온라인 영어수업을 설계·수행하기 위해 학교단위의 교사협력 문화를 형성해 보고자하는 현장의 영어 교사들에게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학교단위의 교사협력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개발과 수행의 어려운 점, 이를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그리고 학교단위의 교육자 협동 공동체를 통한 비대면 온라인 영어수업의 효과의 측면에서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사협력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온라인 영어수업을 함께 설계할 때 방향성을 조율하고 스케쥴을 맞추고 수정하는 단계에서 시간적·심적인 부담감이 있었고 새로운 자료로 교육 콘텐츠를 만드는 경우 일의 부담감이 있어서 강의녹화와 실시간 수업과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울 수가 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의 특성상 대면 수업만큼의 학생과의 라포르 형성과 상호작용은 불가능하다는 점이 어려운 점이었다.
둘째,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참여한 교수들 모두 자신의 교사 전문성이 향상되었다고 했는데, 녹화·편집기술이나 실시간 수업 상의 전반적인 멀티미디어를 다루는 기술적 전문성뿐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향상이라는 목표의 방향성을 잡아서 학교단위의 수준별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과, 게임 등 다양한 학습활동을 함께 계획하고 다양한 부분에서 난이도까지 고려한 평가항목을 구성하는 학교단위의 평가 전문성까지 신장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개발한다면 결코 이룰 수 없는 질 높은 수업의 표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점으로 수업을 설계하는 접근이 가능하여 학교차원의 영어교육자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
셋째, 학교단위의 교수협력 커뮤니티를 통해 개발·수정·시행된 실시간 및 비실시간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수 있다. 녹화강의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가지고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짝이나 그룹멤버와 의사소통하고 토론하면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과제에 대한 부담감이 높다는 단점이 있으나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교사와도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된 보충자료를 가지고 복습할 수 있는 맞춤식 수업도 가능하다. 그러나 과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학생들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대면 수업만큼 즉각적이지 못한 부분은 앞으로 더 보완해야 할 문제로 파악된다.
학교단위의 영어 교사협력공동체 문화는 강한 리더십과 함께 학생 중심의 비전에 공감하고 책임을 자발적으로 공유하고 상호신뢰와 개선에 대한 열린 마음 등이 있어야 형성가능하다. 학교단위 영어 교사공동체 문화가 형성되어 교사협력에 의해 개발된 교육 콘텐츠와 분단위로 이루어진 교안이 개발·공유되고 온라인 영어수업의 표준화와 수준별 학습자들을 위한 맞춤식 교육 콘텐츠가 공동으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성도 향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비록 학교단위의 교사협동 커뮤니티를 통해서 투자하는 시간과 에너지가 많고 책임으로 인한 중압감도 크지만 공동으로 온라인 영어수업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습활동을 계획·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무엇보다 온라인 영어수업의 질이 보장되며 남은 시간과 에너지로 학생들을 위한 세심한 배려와 설명과 상호작용에도 신경 쓸 수 있는 여유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단위의 교사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적응하는 단계에서는 모든 멤버들이 같은 비전을 공유하고 책임을 나누고 열린 마음으로 의견을 서로 주고받으며 서로를 신뢰하고 배려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교단위의 교사공동체 문화가 잘 형성되기위한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콘텐츠를 구성하는 단계에서는 각 개별 교사들이 투자해야 하는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들어 심적인 부담이 있으므로, 각 개별 교사들이 상호 협력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비대면 영어수업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도 대면 수업만큼의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논의와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 전문성 신장이라는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학교단위 영어교육자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어 영어수업의 표준화와 높은 수업의 질, 맞춤식 수업 콘텐츠 개발 및 다양한 평가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교사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피상적인 학교협력공동체가 아니라 자발적이고 실질적인 학교단위의 영어교사협력 커뮤니티 형성과 학교단위의 영어교사 전문성 및창의성 신장에 대한 후속 실행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셋째, 비대면 영어수업의 특성상 학생들의 과제에 대한 부담감 증대와 대면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읽고 반응하며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교사협력을 통해 풀어야 할 숙제로 남는다. 학교단위의 영어 교사협력을 통한 학생과의 상호작용의 증진 방안과 피드백 등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더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수업의 표준화와 맞춤식 영어수업 등 온라인 수업의 질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던 것은 학교단위 교사협력공동체 문화가 코로나19 이전 오프라인상황에서도 형성되고 10년 이상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학교단위의 영어 교수협력공동체 멤버들의 리더십과, 자발적인 협의와 책임감이 공유되었고 또 시간과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개인주의를 극복하여 자신만의 입장이나 위치보다 다른 멤버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의 편의보다 학교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할 때에 교양영어 콘텐츠의 표준화와 학교단위의 학생들 그리고 그 안에서 각 반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라포르 형성과 상호작용의 시너지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많은 영어교육자들이 교육현장에서 학교단위의 또는 기관단위의 교사협력공동체를 활발하게 형성하여 오프라인 영어교육은 물론 온라인 영어수업의 질을 관리하고 학교차원의 교사 전문성과 창의성도 신장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GURE 1
Online English Community for College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stem-2022-23-1-58f1.jpg
FIGURE 2
Warm-up Activity
stem-2022-23-1-58f2.jpg
FIGURE 3
Group Work Example
stem-2022-23-1-58f3.jpg
FIGURE 4
Examples of Online Exam Questions
stem-2022-23-1-58f4.jpg
FIGURE 5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for Non-Face-to-Face English Classes
stem-2022-23-1-58f5.jpg
Table 1
Interview Question Topics for Instructors
Question Topics
1 The Challenges of Teacher Collaboration
2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3 The Eff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REFERENCES

Ahn, J. (2017). Taking a step to identify how to cre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port of a case study of a Korean public high school on how to create and sustain a school-based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10(1), 82-92. https://doi.org/10.5539/ies.v10n1p82.
crossref
Baik, J. (2020). University students’ efficacy in real-time online class as alternative methodology due to Corona virus (COVID-19) ev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1), 539-545. https://doi.org/10.14400/JDC.2020.18.11.539.
crossref
Bailey, J., Schneider, C., & Vander Ark, T. (2013). Navigating the digital shift: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blended and online learning. Retrieved from http://digitallearningnow.com/site/uploads/2014/05/DLN-ebook-PDF.pdf.
Cha, H., & Kim, S.-H. (2021).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of an online English class during COVID-19.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29(1), 49-69. https://doi.org/10.24303/lakdoi.2021.29.1.49.
crossref
Chase, B., & Lee, C. (2018). Pathways 3: Listening, speaking, and critical thinking (2 nd ed). Boston, MA:National Geographic Learning.
Choi, W.-K. (2020). A surve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toward online English classes in the COVID-19 pandemic: A comparison betwe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es. Primary English Education, 26(4), 115-135. https://doi.org/10.25231/pee.2020.26.4.115.
crossref
Choi, Y.-H., & Kang, M. (2002).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multimedia instruction for middle school English. English Teaching, 52(2), 293-322.
Choi, Y.-J., & Ji, N. (2020).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English lecture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lecture type.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4), 233-253. https://doi.org/10.15702/mall.2020.23.4.233.
crossref
Crawford-Ferre, H. G., & Wiest, L. R. (2012). Effective online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13(1), 11-14.
Do, J. (2020). An investigation of design constraint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face-to-face course into online cours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crossref
Grossman, P., Wineburg, S., & Woolworth, S. (2000). What makes teacher community different from a gathering of teachers? (Occasional Paper). Seattle, WA:University of Washington, Center for the Study of Teaching and Policy, (Retrieved from https://www.education.uw.edu/ctp/sites/default/files/ctpmail/PDFs/Community-GWW-01-2001.pdf).
Hwang, Y., & Kim, C.-S. (2021). Perceptions toward non-face-to-face online class oper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anxiety.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29(1), 71-91. https://doi.org/10.24303/lakdoi.2021.29.1.71.
crossref
Jeong, S., & Kim, H.-S. (2020). A cultural-historical analysis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media u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53-76. https://doi.org/10.35510/JER.2020.42.2.53.
crossref
Jung, M. (202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nglish online activities, self-directedness,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nglish proficiency of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64(2), 283-302. https://doi.org/10.17754/MESK.64.2.283.
crossref
Kil, I. (2004). Effects of English learners’ affective factors in team teaching by a native English teacher and a Korean teacher. The British & American Language and Literature, 20(2), 35-54.
Kim, B.-S. (2021). A qualitative study on college learners’ experiences of self-directed learning using English films in a non-face-to-face online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20(1), 61-85. https://doi.org/10.18649/jkees.2021.20.1.61.
crossref
Kim, G.-M. (2021). The prospect of English education preparing for post-COVID: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20(1), 39-59. https://doi.org/10.24303/lakdoi.2021.29.1.71.
crossref
Kim., H.-J. (2020). A study on the analysis of online class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llowed by COVID-19.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 613-639.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0.613.
crossref
Kim, H.-J. (2021). Exploring the direction of online education as a university-level liberal arts course: Based on a non-face-to-face English class using a movie. STEM Journal, 22(1), 65-90. https://doi.org/10.16875/stem.2021.22.1.65.
crossref
Kim, J.-O., & Im, B.-B. (2008). A guide to improving team teaching in Korean middle schools. Modern English Education, 9(2), 71-94.
Kim, M.-H. (2010). How do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perceive co-teaching?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26(4), 213-249.
Kim, M.-S. (2020). We want more interaction: Learners’ viewpoints on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university English classe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19(4), 67-87. https://doi.org/10.18649/jkees.2020.19.4.67.
crossref
Kim, S.-J. (2011).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eam-teaching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elementary schools.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53(2), 33-58. https://doi.org/10.18853/jjell.2011.53.2.003.
crossref
Kim, S.-M. (2020). Analysis of press articles in Korean media on online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1(6), 1091-1100. https://doi.org/10.9728/dcs.2020.21.6.1091.
crossref
Lee, B.-K. (2020). A study on learners’ response to online college English class as general educ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4), 97-112. https://doi.org/10.46392/kjge.2020.14.4.97.
crossref
Lee, D.-J., & Kim, M.-S. (2020).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online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59-377. https://doi.org/10.15702/mall.2020.23.3.359.
crossref
Lee, H.-Y., & So, Y. (2017).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 case study with two English teachers.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6(3), 117-147. Retrieved from https://hdl.handle.net/10371/16847.
Lee, J.-E., & Lim, H.-W. (2021). Exploring high school students’ online use of English use and self-regulated strategies use for English learning. Journal of British & American Studies, 52, 83-116. https://doi.org/10.25093/ibas.2021.52.83.
crossref
Lee, J.-M. (2020). An exploratory study on effects of loneliness and YouTube addi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the distance education during COVID-19.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7), 342-351.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342.
crossref
Lee, S.-B., & Yoon, T. (2021).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nline courses between primary & secondary teachers’ university: Focused on the English-related subjec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2), 386-394.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386.
crossref
Lee, Y.-S., & Shin, D.-K. (2020).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3(4), 39-57. https://doi.org/10.29221/jce.2020.23.4.39.
crossref
Lim, J.-W. (2021). A study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majors’ perceptions on online class operations in the midst COVID-19 pandemic.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7(3), 109-128. https://doi.org/10.35828/etak.2021.27.3.109.
crossref
Lim, Y.-S. (2021). Exploring pedagogical effect in English online classes for primary students-focused on the self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41(1), 251-272. https://doi.org/10.25020/je.2021.41.1.251.
crossref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6).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NY:Teacher College Press.
Moser, M. K., Wei, T., & Brenner, D. (2020). Remote teaching during COVID-19: Implications from a national survey of language educators. System, 97, 102431https://doi.org/10.1016/j.system.2020.102431.
crossref pmc
Oh, S., & Jeon, J. (2021). An exploratory study on college professors’ nonvoluntary on-line-only teaching.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21, 298-323. https://doi.org/10.15738/kjell.21..202103.298.
crossref
Park, B.-N. (2021). Comparing the effects of asynchronous/synchronous online classes for arts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9(4), 227-250. https://doi.org/10.18230/tjye.2021.29.4.227.
crossref
Park, M.-J., & Yin, J. (2021). Understanding online teaching experiences of secondary English teachers during COVID-19.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20(3), 139-166. https://doi.org/10.18649/jkees.2021.20.3.139.
crossref
Seo, K. (2009).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243-276.
crossref
Seo, K. (2010). Teacher community’s practical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1), 121-148.
crossref
Seo, K. (2011). Teacher communities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through online collabor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2(3), 25-53.
Seo, K. (2019). The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movement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0(2), 1-28. https://doi.org/ 10.15854/jes.2019.6.50.2.1.
crossref
Seo, K., & Han, Y. (2013). Online teacher collaboration: A case study of voluntary collaboration in a teacher-created online community.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0(2), 221-242. https://doi.org/10.22804/kjep.2013.10.2.002.
crossref
Shin, K.-H. (2021). Exploring teacher perception and learning process in the initial situation of COVID-19.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0), 93-112.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0.93.
crossref
Yoon, T., & Kim, B.-S. (2021).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nglish skills, learning flow, and affective factors on the online English class.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37(3), 123-141. https://doi.org/10.17154/kjal.2021.9.37.3.123.
crossref
Yoon, T., & Lee, S.-B. (2020). An analysis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online asynchronous English learning. Primary English Education, 26(4), 159-179. https://doi.org/10.25231/pee.2020.26.4.159.
crossref
Zhang, L., & Hwang, Y. (2021). (Re)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amid the COVID-19 pandemic from examination of conflict-coordinated experiences of English languag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20(3), 49-72. https://doi.org/10.18649/jkees.2021.20.3.49.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219, Bugak building,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E-mail: stem@stemedia.co.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