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우리는 매일의 일상에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독해라는 행위를 매일 수행하고 있다. 인터넷 뉴스를 읽고 정보를 취하고 누군가가 보낸 문자를 읽고 정보를 처리하며 회사나 학교 업무와 관련된 이메일이나 서류를 읽고 의미를 이해하고 구성해서 그에 맞게 대응해 나간다. 일상 속에서 알게 모르게 매일 수행하고 있는 것이 독해 활동이기 때문에 주어진 글을 읽고 효과적으로 이해하며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고 의미를 재구성해서 주요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일 것이다.
영어 독해는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문장을 읽고 영어로 쓰여져 있는 글을 우리말 뜻으로 번역하는 단순한 과정이 아니다. 자신의 배경지식과 언어적, 비언어적, 인지적, 초인지적, 사회적, 정의적인 모든 능력을 활용해서 주어진 글을 해독하고 의미를 파악하여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매우 능동적인 행위이다. 따라서 독해 능력에는 학습자가 글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이 지니고 있는 세상에 대한 지식과 자신의 생각을 반영해서 분석해 낼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된다. 학습자는 주어진 글의 내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관점에서 읽은 내용을 재해석하고 재구성할 줄 알아야 한다(
Rha, 2005). 독해 능력에 대한 개념을 이러한 능동적인 행위로 인식하게 되면 영어 독해 수업에서 독해 전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독해 전략의 활성화는 매우 필요한 일임을 깨달을 수 있다.
독해 전략이란 학습자가 텍스트를 해독하고 단어를 이해하며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고자 노력할 때 그것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도와주고 수정하는 계획적이며 목표 지향적인 시도라 할 수 있다(
Afflerbach 외, 2008). 다시 말해서 독해 전략은 학습자가 글의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이해가 되지 않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과 관련된 일련의 사고와 행동들이기 때문에 전략을 사용할 줄 아는 학습자는 읽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특별한 수단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학습자들이 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에 맞닥뜨렸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독해 전략을 사용하도록 배움으로써 독해력은 충분히 증진될 수 있다. 능숙한 학습자는 글의 장르나 텍스트의 특성에 맞게 각기 다른 목표와 읽기 방법을 설정하고 그에 필요한 독해 전략을 찾아 빠르게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독해 전략에 관심을 갖고 학습자들이 효율적인 독해 전략을 인지하고 사용하도록 독려해야 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가 독해 능력에 대한 개념과 이를 바탕으로 한 독해 전략의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하더라도 이러한 깨달음과 이것이 적용되어야 하는 현실적 교육 여건 사이의 갭은 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 여전히 우리나라 독해 수업은 대학 입시나 시험대비를 위해 단시간에 답을 찾는 문제 풀이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교사의 문장 해석이나 어휘 및 문장 구조 분석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Baek, 2018). 이러한 학습법은 학습자가 독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의미를 재구성하고 비판적인 사고로 내용을 분석하는 능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독해라는 행위를 단순히 어휘 학습용으로 또는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거나 번역하는 수동적 활동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한다. 문제 풀이식 독해 활동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독해 활동을 지루하거나 따분하게 여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독해 활동이라는 것이 단순히 주어진 지문을 읽고 관련된 문제의 정답을 맞히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지문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습득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자발적이며 능동적인 활동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 독해 수업은 지루하거나 재미없다는 편견을 없애고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좀 더 능동적인 독해 수업의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화를 활용한 영어 독해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독해 전략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독해 전략의 활성화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독해 전략의 범주가 매우 광범위한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독해 전략 중 영화를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예측하기 전략, 중심 내용 요약하기 전략, 중심 주제 표현하기 전략, 비판적 독해 전략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영화 영어 독해 수업에서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과 태도를 함께 분석해서 학습자의 입장에서 독해 전략 활성화를 위해 고려할 점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독해 전략이란 학습자가 자신이 읽는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취하는 일련의 사고와 행동들로 “글을 읽는 과정에서 독자가 글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해 가는가, 글이 이해가 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가와 관련된 활동들”(
Kim, 2020, p. 386)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독해 전략은 내용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Barnett, 1988;
Carrell, 1989). 학습자들은 과거의 그 어느때 보다 인터넷을 통한 엄청난 양의 정보에 접속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수많은 읽기 자료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분류하고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정보의 의미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를 적절한 독해 전략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Kim(2020)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 능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략의 사용이라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 따라서 영어 독해 수업에서의 독해 전략의 사용과 그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은 현 시점에 매우 필요한 일이다.
실질적으로 영어 독해와 독해력 향상을 위한 수많은 교수법과 독해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Graesser, 2007;
Wang 외, 2022). 그 세부 주제 또한 매우 다양하다. 독해 전략과 독해 숙달도나 독해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Kang 외, 2016;
Madhumathi & Ghosh, 2012;
Petrus & Shah, 2020), 독해 전략에 대한 자각력을 강조한 연구(
Mokhtari & Sheorey, 2002), 학문적 글이나 책을 읽기 위한 독해 전략에 대한 연구(
Zhang, 2022), 심지어 독해 기술과 독해 전략의 차이를 규명한 연구(
Afflerbach 외, 2008) 등 독해 전략과 관련된 연구 주제는 매우 세밀하면서도 다양하게 뻗어 있다. 영어 독해 전략과 독해 능력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Kang 외, 2016) 독해 전략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독해 전략의 필요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Kim(2020)은 9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영어 읽기에 대해 갖는 인식을 조사하고 그들이 사용하는 독해 전략을 분석하여 독해 전략과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 대학생들은 어휘 분야를 가장 약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었고 독해 분야를 학습해서 증진시켜야 할 최우선 분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그들의 영어 독해 능력과는 상관없이 독해에서 문제 해결 전략(problem solving strategies)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다고 한다.
Kim(2009)은 153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독해 전략이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그들이 영어 독해에서 사용하는 독해 학습 전략은 무엇인지를 관찰하고 학습자들의 영어 숙달도와 영어 독해 전략 사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대학생들은 다양한 독해 전략 중 기억 전략 사용에 대한 빈도수가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초인지전략 사용의 빈도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한다. 또한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영어 숙달도에 따라 영어 독해 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독해 전략의 활발한 사용을 통해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론은 독해 전략의 사용은 언어 능력(language competence)과 비례하므로 적합한 독해 전략은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을 증진시킨다는 연구 주장과(
Mokhtari & Sheorey, 2002) 일맥 상통한다.
Choi와 Choi(2018)는 대학생들의 독해 학습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독해 전략 프로그램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들은 15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해력 연구를 통해 독해 전략 프로그램이 독해 능력과 학습 전략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독해 전략 프로그램의 사용은 학습자들이 이야기 글과 설명식 글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자들의 학습 전략 특성에도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효능감, 집중 전략이나 기억 전략의 사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Al-wossabi(2014)는 EFL 학습자들에게 독해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60명의 사우디 아라비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전 전략이 수업 교재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읽기 전 전략 사용의 유무에 따라 실험반과 통제반을 설정하였고 연구 결과는 읽기 전 전략과 학습 교재의 내용 이해 간에는 강한 비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그의 연구는 EFL 학습 상황에서 읽기 전 독해 전략의 사용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독해 전략의 강조와 더불어 영화를 활용한 독해 수업에 대한 연구를 간략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독해 수업에서 영화 사용의 효율성을 강조한 연구는 매우 다양하다.
Baek 외(2019)는 3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화를 활용한 독해 활동이 이들의 독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독해 활동의 사용하기 전과 후의 성취도 테스트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영화를 통한 독해 활동은 학습자들의 독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들의 연구는 학습자들의 관심을 높이고 생생한 언어를 제공하기 위해 독해 수업에서 영화가 매우 중요한 교재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Vincent(2018)는 영화
매트릭스(
The Matrix,
Wachowski & Wachowski, 1999)를 활용한 사례연구에서 읽기 과정에서 영화의 사용은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고 특정 개념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이 되며 특히 의사소통적 유창성과 내용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독해 자료나 독해 수업 교재로서 영화 사용을 강조한 연구나(
Golden, 2001;
Hanif & Wiedarti, 2021;
Raman & Vijaya, 2016) EFL 교실에서 영화 사용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는(
Brown, 2010;
Ismaili, 2013;
Kabooha, 2016;
Yaseen & Shakir, 2015) 많은 반면 영화를 활용한 독해 전략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덜하므로 이에 대한 좀 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
본 연구는 2022년 9월 초부터 12월 초까지 15주 동안 진행되었다. 일주일에 한번 진행되었고 한 번의 수업은 두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에 위치한 모 대학에서 교양 선택 과목으로 개설된 영화 독해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37명으로 1학년 3명(8.1%), 2학년 14명(37.9%), 3학년 9명(24.3%), 4학년 11명(29,7%)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중국 학생이 2명, 베트남 학생이 1명 포함되어 있다. 전 학년의 다양한 전공자들이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라 전공 분포 또한 다양하다. 피험자들의 전공을 살펴보면 경영대학 24명(64.9%), 법과대학 3명(8.1%), 조형대학 3명(8.1%) 기타 7명(18.9%, 소프트웨어 융합대학 2명, 창의공과대학 2명, 과학기술대학 1명, 글로벌 인문 지역 대학 1명, 사회과학대학 1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업 첫 날 영화를 활용한 독해 수업과 관련된 간단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해에 대한 관심(흥미)과 독해 전략에 대한 인지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입국이 늦어진 중국인 학생을 제외한 36명이 응답하였다. “영어 독해에 대한 관심(흥미)도는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매우 관심있다”가 16.7%(6명), “관심있다”가 38.9%(14명), “보통이다”가 30.6%(11명), “관심이 없다”가 13.8%(5명)로 나타났으며 “매우 관심이 없다”에는 응답한 학생이 없었다. 영어 독해에 관심있다고 판단되는 학습자들은 전체 중 55.6%로 절반의 학생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해 전략 중 알고 있는 전략을 써 주세요.” 라는 질문에는 “잘 모르겠다”거나 “수업 시간에 독해 전략을 한 것 같기는 한데 정확한 이름은 모르겠다”는 응답이 높았다(28명, 77.8%). 이외 학습자들이 쓴 답으로는 “추론 전략, 스캐닝 전략, 훑어보기 전략, 정보 찾기 전략” 등이 나왔다.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은 독해 학습에 관심이 있는 편이긴 하나 독해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연구 교재
본 연구의 교재는
Screen English Zootopia(
Kang, 2016)로 선정하였다. 교재와 함께 디즈니사의 55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주토피아(
Zootopia,
Howard & Moore, 2016)를 함께 활용하였다. 본 애니메이션은 주인공 주디 홉스(Judy Hopps)가 세상이 인지하는 멍청한 토끼라는 캐릭터를 넘어서서 최초의 여성 경찰이 되는 과정을 통해 세상의 편견과 차별에 맞서 성장해 나가는 스토리이다. 학습자들이 편견과 차별이라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함께 고심해 볼 수 있는 주제이며 이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독해 전략을 활용할 수 있어 본 연구의 교재로 적합하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의 절차는 독해 전 단계, 독해 중 단계, 독해 후 단계로 구성된다. 독해 전 단계에서는 예측하기 전략이 활용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그날 수업에 해당되는 영상을 시청하기 전에 챕터 제목을 통해 내용이나 사건을 예측하고 유추해 보는 활동을 위주로 진행된다. 간단한 유추 활동 후 줄거리의 흐름과 영상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 자막을 제공하여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다.
독해 중 단계는 중심 내용 요약하기 전략, 중심 주제 표현하기 전략, 비판적 독해 전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 네 가지 독해 전략은 수많은 독해 전략 중 영화를 활용하여 진행하기에 적합하며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이 이행하기에 어렵지 않다고 판단되는 전략을 중심으로 선정되었다. 영상을 시청하고 내용을 파악한 후 등장 인물들의 대사를 활용하여 내용을 요약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그 챕터에 나타난 중심 주제를 찾아보고 자신만의 표현으로 전달해 보도록 한다. 마지막 비판적 독해 전략은 특정 사건이나 문제에 대해 본인의 생각이나 의견은 어떠한지 또는 본인이 그 캐릭터라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의견을 교환해 보도록 한다.
마지막 독해 후 단계는 그날 영상의 사건이나 스토리를 요약하고 이를 나타내는 주요한 대사를 정리한 후 자막 없이 영상을 시청하며 수업을 마무리한다. 수업과 관련된 각자의 의견을 제시하는 자기 성찰 노트를 작성하고 제출하도록 한다.
4. 분석 도구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다양한 독해 전략에 대해 학습자들의 의견과 생각을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 수업 시간마다 학습자들에게 자기 성찰 노트를 작성해서 제출하도록 하였다. 자기 성찰 노트에는 오늘 배운 수업 내용 중 좋았던 점이나 나빴던 점과 그 이유, 더 보강되어야 하는 부분이나 개선되기를 바라는 부분과 그 이유, 기타 수업 구성이나 영화 활용 및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해 하고 싶은 말 등을 가감없이 적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의 솔직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자기 성찰 노트는 익명으로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고 연구 기간동안 매주 진행되었으며 전체 12번에 걸쳐 진행하였다. 자기 성찰 노트 내용은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고지하였다.
수업 마지막 주에 영어 독해 전략의 사용에 중점을 둔 수업 전반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2문항이며 본 연구에서 실시한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도와 이유를 각각 리커트 5점 척도와 개방형 질문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하되 관련된 자료를 학습자들의 자기 성찰 노트 내용과 관련 지어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5. 주토피아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독해 전략 활용
주토피아에 나타난 주제는 크게 세 가지로 편견(prejudice), 차별(discrimination), 다양성(diversity)으로 분류된다. 독해 중 단계에서 각 주제에 맞는 장면을 통해 중심 내용 요약하기, 중심 주제 표현하기, 비판적 독해 전략을 접목하여 활용하였고 그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1) 편견
본 연구는 영화의 주제를 중심으로 독해 전략을 활용하였다. 주토피아의 가장 큰 축을 이루는 주제는 바로 편견이다. 다음은 최초의 여성 경찰관이 되고자 하는 주디의 꿈에 대해 그들의 부모가 세상의 편견에 맞서는 것이 얼마나 힘든 지에 대해 충고하는 장면이다.
Father: Judy, you ever wonder how your mom and me got to be so darn happy?
Young Judy Hopps: [enthusiastic] Nope!
Father: Well, we gave up on our dreams and we settled, right, Bon?
Mother: Oh, yes, that’s right, Stu. We settled hard.
Father: See? That's the beauty of complacency, Jude. If you don’t try anything new, you’ll never fail!
Young Judy Hopps: I like trying, actually.
Mother: What your father means, hun, is that it’s gonna be difficult, impossible even, for you to become a police officer.
Father: Right! There’s never been a bunny cop.
Mother: No.
Father: Bunnies don’t do that.
Mother: Never!
Father: Never.
(대화 1, 주토피아)
주디의 부모님은 토끼 경찰관이 되는 것은 매우 힘들며 심지어 그것은 매우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표현한다. 토끼 경찰관이라는 것은 그동안 절대 없었으니 딸이 최초의 토끼 경찰관이 되고자 하는 꿈을 포기하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주토피아라는 세상에서 토끼라는 캐릭터는 당근 농장을 운영하며 당근을 팔며 살아가는 작은 존재라는 편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주디의 부모님은 세상의 편견을 깨는 건 너무 힘들며 그저 세상의 그러한 편견에 맞춰서 살아가는 게 오히려 속 편하다는 충고를 한다. 이러한 편견은 포식 동물(predator) 여우 캐릭터인 기디온 그레이(Gideon Grey)의 발화에서도 파악된다. 아래 장면은 먹잇감(prey) 동물인 초식 동물들의 티켓을 뺏으려는 기디온 그레이를 주디가 우연찮게 목격하게 되고 겁먹은 친구들 대신 주디가 나서서 기디온 그레이에게 친구들의 티켓을 돌려줄 것을 요청하는 장면이다.
Young Gideon Grey: [sarcastically] Nice costume, loser! What crazy world are you livin’ in where you think a bunny could be a cop?
Young Judy Hopps: [unfazed] Kindly return my friend’s tickets.
Young Gideon Grey: Come and get ’em! But watch out, ’cause I’m a fox, and like you said in your dumb
little stage play, us predators used to eat prey! And our killer instinct’s still in our duh-nuh (DNA).
(대화 2, 주토피아)
기디온 그레이는 주디가 토끼 경찰이 되고 싶어 하는 것은 미친 세상(crazy world)에서나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미친 세상이 아니고서야 토끼는 경찰이 될 수 없다는 지독한 편견을 드러낸다. 자신은 포식 동물 여우이기 때문에 그 먹잇감이 될 수 있는 토끼인 주디는 조심해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기디온 그레이가 포식 동물과 그 먹잇감으로 희생되는 동물에 대해 이분법적인 편견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영화의 주제인 편견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아래 닉(Nick)의 대사이다.
닉은 어릴 때 보이 스카우트에 해당하는 레인저 스카우트(Ranger Scouts)에 가입하려 한다. 그런데 그 조직은 먹잇감 대상이 되는 초식 동물들로 구성된 단체이다. 설레는 마음으로 스카우트에 가입하려고 온 닉에게 초식 동물들은 재갈을 물리며 경계심을 드러낸다. 그 중 한 동물은(Woodchuck bully) “If you thought we would ever trust a fox without a muzzle, you’re even dumber than you look”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어릴 적 트라우마 같은 이 사건을 계기로 닉은 여우라는 캐릭터에 대해 세상이 갖는 편견에 따르는 삶을 택한다. 아래 장면에서 닉은 여우를 교활하고 믿을 수 없는 존재로 세상이 인지한다면 그 편견에 맞춰서 교활한 여우로 사는 것이 편하지 다른 존재가 되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고 주디에게 충고한다.
Nick Wilde: I learned two things that day. One: I was never gonna let anyone see that they got to me. Judy Hopps: And two?
Nick Wilde: If the world’s only gonna see a fox as shifty and untrustworthy, there’s no point in trying to be anything else.
Judy Hopps: Nick, you are so much more than that.
(대화 3, 주토피아)
주디의 부모가 충고하는 내용이나 닉이 충고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중심 주제 표현하기 전략을 활용하였다. 주디의 부모나 닉의 충고에는 일맥 상통하는 주제가 관통하기 때문에 중심 주제를 찾고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해 보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2) 차별
주토피아의 다른 큰 주제는 성 차별과 인종 차별을 포함하는 차별이라는 개념이다. 주토피아 세계에서 경찰관은 포식 동물이어야 하고 남성이어야 한다. 주디 홉스는 여성이며 포식 동물들의 먹잇감이 될 수 있는 희생 동물이다. 이 세계에서 여성이며 먹잇감 대상 동물이 경찰관이 된 사례는 단 한번도 없었다. 경찰국의 보고 서장(Chief Bogo)은 주디의 첫 출근 날 최초의 여성 경찰관인 그녀를 완전히 무시한다. 통상적으로 신입사원이 첫 출근을 하면 기존 팀원들에게 소개를 시키는 것이 맞는데 보고 서장은 주디가 여성이며 먹잇감 대상 동물이라는 이유로 아래 장면과 같이 그녀를 차별한다.
Chief Bogo: I’ve got three item s on the docket. First... we need to acknowledge the elephant in the room. (nods to ELEPHANT) Francine, happy birthday. Number two; there are some new recruits with us I should introduce, but I’m not going to because I don’t care.
(대화 4, 주토피아)
무엇보다 긴급 처리해야 할 실종 사건이 발생하는데 보고 서장은 주요 지역 사건 조사를 모두 포식 동물들에게 배정한다. 그리고 경찰 아카데미 수석 졸업자인 주디의 능력을 무시한 채 그녀가 여자라는 이유로 주디에게 주차 딱지 떼는 일을 배정한다.
Chief Bogo: Finally; we have fourteen missing mammal cases - all predators - from a giant polar bear to a teensy little otter, and City Hall is right up my tail to find them! This is priority number one. Assignments: Officers Grizzoli, Fangmeyer, Delgato; your teams take missing mammals from the Rainforest District. Officers McHorn, Rhinowitz, Wolfard; your teams take Sahara Square. Officers Higgins, Snarlov, Trunkaby: Tundratown. And finally our first bunny: Officer Hopps... parking duty. Dismissed.
(대화 5, 주토피아)
이러한 차별에 대해 주디는 강하게 항의하지만 보고 서장은 관심 없다며 무시한다. 아래 장면은 주디의 모습을 통해 남성이 아니며 포식 동물이 아니라는 이유로 실력과 능력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직장에서 차별받는 여성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Judy Hopps: Parking duty? Chief? Chief Bogo? Sir, you said there were fourteen missing mammal cases.
Chief Bogo: So?
Judy Hopps: So I can handle one. You probably forgot, but I was top of my class at the academy.
Chief Bogo: Didn’t forget. Just don’t care.
Judy Hopps: Sir, I’m not just some token bunny.
Chief Bogo: Well then, writing one hundred tickets a day should be easy.
(대화 6, 주토피아)
위 장면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의견을 자연스럽게 표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판적 독해 전략을 활용하였다. “본인이 이 상황에서 주디라면 직장 상사에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라는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글로 써보고 조별로 의견을 공유하고 토론해 보도록 하였다. 다음
Figure 1은 비판적 독해 전략을 활용한 수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결과물이다.
3) 다양성
주토피아의 마지막 주제는 다양성이다. 주토피아라는 세계는 아래 가젤(Gazelle)의 대사에서 표현된 것처럼 포식 동물들과 먹잇감이 되는 동물들이 조화를 이루고 사는 이상적인 사회이다. 이러한 다종(種)의 동물 사회는 결국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이루어진 우리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담아낸 것이라 할 수 있다. 가젤은 이러한 다문화 사회에서는 개인의 다양성을 인식해야 하며 특정 문화나 특정 인종을 특정하게 범주화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Gazelle: [interviewed] Zootopia is a unique place. It’s a crazy, beautiful diverse city where we celebrate our differences. This is not the Zootopia I know. The Zootopia I know is better than this. We don’t just blindly assign blame. We don’t know why these attacks keep happening, but it is irresponsible to label all predators as savages.
(대화 7, 주토피아)
아래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디의 대사를 통해 영화의 주제는 명시적으로 설명된다. 주디는 우리 모두는 한계가 있고 실수도 하는 존재이지만 공통점도 많은 존재이니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서로 다름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노력을 각자 스스로부터 시작하자는 격려는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뚜렷한 메시지이다.
Judy Hopps: We all have limitations, we all make mistakes, which means - hey, glass half full! - we all have a lot in common. And the more we try to understand one another, the more exceptional each of us will be. But we have to try. So no matter what type of animal you are; from the biggest elephant, to our first fox, I implore you - try. Try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Look inside yourself and recognize that change starts with you. It starts with me. It starts with all of us.
(대화 8, 주토피아)
많은 사건들이 일단락되고 닉이 경찰관이 되는 장면과 더불어 주디가 마지막 나레이션을 하는 장면에서는 영화의 주제가 담겨있기 때문에 전체를 상세하게 읽어 본 후 내용 요약하기 전략을 시행하였다.
IV.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주토피아를 활용해서 다양한 독해 전략을 활용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해 전 단계에서 예측하기 전략을, 독해 중 단계에서는 중심 내용 요약하기 전략, 중심 주제 표현하기 전략, 비판적 독해 전략을 사용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다양한 독해 전략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의견은 수업 마지막 주에 실시한 설문 조사와 매주 수업 시간마다 실시한 자기 성찰 노트를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설문 조사의 첫 번째 질문인 “영화를 활용한 다양한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요?”에 대한 답변은 “매우 만족한다”가 24.3%(9명), “만족한다”가 46%(17명), “보통이다”가 21.6%(8명), “불만족스럽다”가 3명(8.1%)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영화 독해 수업에서 독해 전략의 사용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0.3%). 이를 도표로 나타내면
Figure 2와 같다.
설문 조사의 두번째 질문은 “1번 질문(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이다.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의 이유는 개방형 질문이라 답변이 매우 다양한 관계로 엑셀로 정리하여 빈번하게 반복되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범주화 하였다.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의 이유로는 수업 활동 참여, 주제에 대한 이해, 효율적인 수업 집중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들이 주를 이루었다. 개별적 수업 활동이나 조별 활동이 부담이 없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정 장면을 시청하고 교재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였는데 학습자들은 독해 전략의 활용보다는 재미있는 수업 활동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비판적 독해 전략을 사용할 때는 영화 속 특정 상황에서 제시된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비판적 독해 전략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만약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이 주디라면 실망하고 화내며 떠난 닉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요?”, “영화에서 주디는 자신을 멍청한 토끼(dumb bunny)라 자학하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울기까지 하는데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방법을 택하겠습니까?”, “닉이 주디에게 알려준 기자회견 101(Press Conference 101)의 규칙에 맞게 What can you tell us about this class?에 대한 자신만의 의견을 작성해 보세요.”이런 활동을 학습자들은 비판적 독해 전략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내용과 상황에 몰입해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데 집중하느라 의견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수업 활동 중 하나로 인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독해 전략을 활용할 시에는 독해 전략에 대한 명시적 제시와 특정 전략이 독해의 어떤 측면에 도움이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활동들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일방적인 정보 전달을 받는 수업 보다는 직접 참여하는 수업이니 재미있다고 느낀다는 의견이 있었다. 독해 전략을 사용한 수업 활동 참여가 재미있고 수업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은 자기 성찰 노트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났다.
야간 수업이라 일하고 오면 가끔 지칠 때도 있지만 매번 재미있는 수업 활동을 짜 오셔서 참여하고 이해하다 보면 수업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 모르게 지나간다. (5차시, 2학년, K.H.S.)
내성적인 성격이라 개인적으로 조별 활동이 부담스러운데 이 수업은 재미있고 기대가 된다. 어렵지 않고 부담스럽지 않게 조별 활동을 할 수 있어서 수업이 재미있게 느껴진다. (7차시, 1학년, P.J.C.)
다음으로 다양한 독해 전략의 사용은 영화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어서 만족스럽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영어 표현을 습득하기 위해 전략을 활용하기 보다는 본 영화의 주제가 명확하게 나오는 부분에서 특히 독해 전략을 매우 활발하게 사용하였다. 차별과 편견, 다양성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상황이나 대사를 중심으로 독해 전략을 접목시켰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주제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의견들은 자기 성찰 노트에서도 나타난다.
이 영화를 영화관에서 개봉할 때 봐서 기억이 가물가물하긴 한데, 그냥 유쾌한 영화였다는 느낌만 있었는데 이런 무게감 있는 주제로 일관되어 있는 영화인줄 몰랐다, 수업 활동을 할 때마다 영화 주제가 너무 이해돼서 좋았다. (11차시, 4학년, L.H.G.)
벨웨더(Bellwether)!! 대박 반전~~~ 오늘 조별 활동을 하면서 느낀 건데 벨웨더의 방법은 너무잘못됐지만 그녀의 목적과 의도는 어쩌면 이상적이지만 바람직하지 않았나 생각해 보게 되었다. 우리 사회 문제도 다시 한번 깊게 생각해 보게 되는 독해 활동이었다. (13차시, 3학년, R.D.S.)
오늘 약스(Yax)의 대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정말 이 영화 주제 끝판왕이었던거 같다. 처음에 그냥 볼 때는 몰랐는데 주제를 의식하고 다시 보니 처음부터 끝까지 편견~ 편견으로 가득 찬 대사였다는~ 중심 내용 요약하기를 하다 보니 편견이라는 주제를 너무나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4차시, 2학년, I.L.J.)
다음으로 영화 독해 수업에서 다양한 독해 전략의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이유로 살펴볼 요인은 수업에 집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들이다. 교수자가 영화의 대사를 해석이나 번역 위주로 진행하면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데 다양한 전략으로 학습자가 직접 참여해서 해결하거나 토론하게 하는 활동들이 독해 수업에 집중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된 자기 성찰 노트에 나타난 의견들은 다음과 같다.
독해 수업이라 좀 지루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수업 전에 제목이나 사진보고 사건도 예측해 보고 중간 중간 내용을 요약해서 써보거나 나라면 어떨지 의견도 발표하고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수업에 많이 집중하게 되어서 좋았다. (12차시, 2학년, J.G.Y.)
수업 때마다 교수님께서 독해 전략 설명하시면서 열렬하게 조별 활동을 하게 하셨는데 야간 수업이라 가끔 피곤하긴 하지만 그래도 직접 써보고 얘기해보고 하는게 수업에 집중하는 데는 도움이 된 거 같다. (10차시, 1학년, S.P.Y.)
오늘 보고 서장과 주디의 입장이 되어서 상대방의 의견을 비판해 보는 활동을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몰입해서 너무 재밌었다. 토론할 때도 말한 거지만 보고 서장 같은 상사라면 사회 생활 정말 힘들 거 같다. (6차시, 4학년, B.D.H.)
다양한 독해 전략의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기타 의견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독해 전략하면 뭔가 어려운 거 같았는데 해보니 할 만해서, 수업 시간에 계속 활동을 하게 하니 졸리지 않아서 좋다, 독해 전략이란 것이 생각보다 쉽고 과업 활동하기에 과하지 않아서 굿굿~, 전략을 써서 활동을 하니 공부가 잘 된다, 영어를 못하는 편인데 교수님이 전략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시고 활동도 어렵지 않게 설정해 오셔서 할 만했다, 그냥 해석하는 독해 수업이 아니라 전략 활동을 하면서 접근하는 방법이 좋았다.
마지막으로 독해 전략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이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의견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독해 전략을 따로 가르쳐 주시는 건 좋은데 너무 많은 거 같아요, 수업 시간에 계속 활동을 하니 사실 좀 따라가기 힘들었습니다, 교수님 열정이 너무 넘치셔서 버거움, 이번 학기 독해 전략을 이것 저것 알게 돼서 좋긴 한데 이와 관련된 활동은 격주로 하면 더 좋을 거 같아요, 매번 독해 전략 활동이 바뀌는데 좀 체계적으로 일관되게 제시되면 하는 작은 바램이 있습니다.
학습자들은 독해 전략의 사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이를 활용한 수업 활동의 빈도수가 많은 점에 다소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수업의 행정적 여건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야간 수업이고 직장인 학습자들이 많다 보니 수업 활동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지속적 요구에 피로감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날 진행할 독해 전략을 학습자들에게 미리 공지하지는 않고 수업에서 명시적 설명을 한 후 조별 활동이나 토론 활동의 형태로 진행하였는데 이를 다소 비체계적이라고 느끼는 학습자 의견이 있었다. 이에 대해 습득해야 할 독해 전략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과 매주 다룰 독해 전략에 대한 공지가 학기 초기에 학습자들에게 미리 제공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 강의계획서 비고란에 매 주에 다룰 독해 전략을 명시하고 각 독해 전략에 따른 수업 활동을 함께 공지하는 것이 보완될 필요가 있겠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독해 전략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독해 전략의 활성화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특정 독해 전략의 사용에 대한 학습자 태도와 반응을 분석해 봄으로써 독해 전략 사용시 고려할 점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토피아를 활용하였고 편견, 차별, 다양성이라는 주제 고찰을 중심으로 독해 전략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독해 전략 중 본 연구에서는 예측하기 전략, 중심 내용 요약하기 전략, 중심 주제 표현하기 전략, 비판적 독해 전략을 사용하여 독해 수업 활동을 진행하였다. 3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가지 독해 전략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조별 활동이나 토론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수업 마지막 주에 실시한 오픈형 설문조사와 매주 수업 마지막에 실시한 자기 성찰 노트를 기반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도와 이유를 질문하였고 이를 위해 자기 성찰 노트에서 학습자들이 각자 적어서 제출한 의견을 병행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영화를 활용한 독해 수업에서 다양한 독해 전략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0.3%). 이러한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이는 이유로는 독해 전략의 사용이 수업 활동 참여에 매우 도움이 되고 영화 주제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수업 집중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기반으로 영화 영어 독해 수업에서 주제에 맞는 독해 전략의 사용은 매우 적절했다 판단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독해 전략을 사용할 경우 그것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 전략의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직접 독해 전략을 활용해서 주도적으로 수업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독해 전략이 수업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라 판단할 수 있도록 수업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독해 전략 사용시 독해 전략에 대한 명시적 설명이 필요하며 특정 전략을 사용하였을 경우 어떤 측면에서 독해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첨가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독해 전략만을 다루었는데 독해 수업에서 영화를 활용할 시 주제 맞춤형의 좀 더 다양한 독해 전략의 확장이 필요하겠다.
둘째, 독해 수업에서 독해 전략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이거나 그렇게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를 분석해 보면 학습자들은 독해 전략의 사용에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이를 활용한 수업 활동의 높은 빈도수로 인해 독해 수업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는 영화 내용과 주제에 맞게 독해 전략을 설정하고 수업 활동을 구성하였는데 이에 대해 비체계적이거나 비일관적이라 느끼는 학생도 있었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요구를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독해 전략이 포함된 활동의 빈도를 조절하거나 활동의 경중을 좀 더 세심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매주 수업에서 사용할 독해 전략을 수업 전주에 미리 공지하거나 학습자들이 커리큘럼에서 파악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학기 초에 독해 전략과 이를 포함한 수업 활동에 대해 미리 설계하고 공지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한학기 동안 직장인이 다수인 야간반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나 많은 독해 전략 가운데 4가지 독해 전략만을 사용했다는 점 등이 연구의 한계점이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영어 독해 수업에서 영화를 활용할 시 영화의 주제를 중심으로 독해 전략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다채로운 영화의 수많은 흥미로운 주제들에 맞는 주제 맞춤형 독해 전략이 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겠다.
15주에 걸쳐 작성된 학습자들의 자기 성찰 노트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은 영어 독해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독해 수업에서는 효율적인 전략의 활용이 적극 수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들은 글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독해 전략을 심도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이 다양한 전략을 이해하고 차후의 독해 학습에 자기 주도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