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Eng Teach Movie Media > Volume 26(1); 2025 > Article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multimedia, specifically the film I Feel Pretty (Silverstein, 2018), on enhancing vocabulary and improving self-imag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It explores key considerations for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Screen English, utilizing film-based multimedia, within a school-based learning context.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to gather data on the perceptions of 24 female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film and multimedia tools into their language learning. Additionally, pre- an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vocabulary improvement, and post-interviews were held to delve into their perspectives on body image, the concept of true beauty, and the cultivation of a strong self-ima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orporation of film-based multimedia contributed to a moderate improvement in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dditionally, the film’s exploration of self-confidence and body image issues led to an improvement in students’ self-image.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multimedia use in language learning, emphasizing the potential of movies to enhance linguistic skills and self-perception, while highlighting the intersection of language learning and personal growth in educ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particularly in teacher development through 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I. 서론

21세기 이후 인터넷과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영어 학습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영어 문서 자료, 비디오, 오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Han, 2002). 이러한 멀티미디어는 그래픽, 음향, 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융합하여 정보를 전달하거나 표현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Shin, 2004). 멀티미디어, 특히 영화를 이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Lee & Shin, 2013). 영어 교육의 주요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지만,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영어 역량이 의사소통을 넘어서 다양한 매체에서 영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 비판적 사고, 창의적 표현, 공동체 문제 해결 능력까지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Lee, 2023).
교사가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Kim 외, 2021). 그러나 이러한 수업에서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모두 가능하게 하려면 문법적 요소를 포함한 어휘력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영화를 활용한 어휘력 증진이나 어휘의 종류에 관한 연구는 다수 존재했으나, 학습자들의 자아 이미지 향상을 목표로 하여 어휘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교육 현장 수업에 대한 논의는 현재로써는 미비한 상황이다.
영화 아이 필 프리티(I Feel Pretty, Silverstein, 2018)는 여성을 대상화하거나 차별과 비교를 지양하고, 대신 존중의 가치를 강조한다(Kim, 2022). 따라서 이 영화를 활용한 영상영어수업에서는 듣기와 읽기뿐만 아니라 어휘 학습, 문화 교육, 그리고 여대생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신체상과 자아 이미지에 관한 주제를 다룰 수 있다. 요즈음 디지털 세대의 여성들은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신체미에 대한 관심이 과거보다 더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이러한 날씬한 신체적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 신화에 빠지면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압박과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저하, 우울증, 심지어 섭식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Bordo, 1985; Heo, 2018; Hwang, 2009; Kim & Lee, 2012; Lee, 2009). 여대생들이 주체적으로 사회적인 미의 기준과 미디어의 메시지를 재해석하고 신체의 다양한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내면의 아름다움과 자신감 등의 내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회적 미의 기준에 맞추기 보다, 당당함, 자신감, 능력 등으로 인식되는 내면적 아름다움에 대한 성찰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자기 내면화 및 정서 조절 전략을 포함한 수업이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Heo, 2018; Kim & Lee, 2012).
영화 아이 필 프리티는 자신감, 외모, 그리고 사회적인 기대에 관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 디지털 미디어가 사람들의 자아 이미지와 사회적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보는 데에도 유용하다(Sar 외, 2023). 이 영화는 사회적 미의 기준에 맞추기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가며 사랑하는 가치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Kim, 2022; Ryu, 2019). 학습자들이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하고 사고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평가와 성찰을 하며, 서구적 기준의 날씬하고 마른 몸에 대한 사회적 미를 거부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적 및 개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해 어휘 학습과 토론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미의 신화와 연관된 자아 이미지 관리 및 비판적 사고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이 어휘 향상과 자아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 수업을 통해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 향상과 자아 이미지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자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을 위해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 활동 및 언어 학습, 그리고 교육적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영어 수업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활동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영어 수업은 여대생들의 자아상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

II. 이론적 배경

1.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어휘 수업

1)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영어 수업

멀티미디어는 그래픽, 소리, 비디오, 텍스트,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콘텐츠를 결합하여 정보를 전달하거나 표현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풍부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Shin, 2004). 영화, 비디오, PPT, 온라인 어휘 테스트, 게임, 퀴즈, 듣기 활동 뿐만 아니라 역할극과 토론 등도 모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활동에 해당한다. 특히 영화는 영상영어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도구 중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교사는 이를 바탕으로 영화를 신중하게 선별하고 편집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는 멀티미디어와 영화를 결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학습자들에게 풍부하고 심도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영상 매체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 및 학습 활동도 더욱 진화하고 있다. 최근 AI, ChatGPT, 다양한 모바일 앱,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게임 등의 발전은 인공지능, 기계 학습, 딥러닝 기반의 영어 교육 프로그램이 수업 개발 방식에 있어 더 많은 다양성과 발전을 가져왔다(Kim, 2018). 특히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영화 자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화를 활용한 수업은 영어 교육의 핵심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Lee & Shin, 2013). 이는 영화를 활용한 수업이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실제 의사소통 상황과 문화를 경험하게 하고, 진정성 있는 언어를 접하며, 몰입을 통해 상상력과 감정을 자극하여 학습 흥미와 동기를 촉진하는데 큰 교육적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Choe & You, 2003; Johnson, 2015; Oh, 2000).
최근 매체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시청각 자료는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자리잡았으며, 특히 영화는 이러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 No, 2023). 이러한 변화에 따라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 방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디지털 문화에 익숙하고, 디지털 매체를 선호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다(Ihm, 2005). 카훗(Kahoot)과 퀴즐렛(Quizlet)과 같은 퀴즈 및 온라인 시험, 패들렛(Padlet)과 같은 디지털 화이트보드 및 협업 툴, 그리고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와 영화는 학습자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학습 도구들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다(Choi & Kang, 2002). 그러나 모든 영화가 교육적 측면에서 바람직하거나 효율적인 것은 아니므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과 교육적 목적에 부합하는 영화를 신중히 선택해야 하며(Lee, 2000), 웹 기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에서 교사는 명확한 교수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활동이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설계해야 한다(Jung, 2001).

2)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어휘 학습

지금까지 언어학습에서 어휘의 역할의 중요성과 영상영어수업에서의 어휘 교육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Kim, 2005; Lee & Lee, 2014; Seong & Won, 2015). 또한 실제 영화에 나타난 어휘 유형의 특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 왔다(Lee, 2017; Rho, 2018). 어휘는 수동적으로 학습되기보다는 원어민의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어휘의 쓰임과 사용 예를 통해 지도되어야 하며, 뭉칫말이나 연어를 활용하여 어휘와 문법, 그리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Kim, 2014). 어휘 지도는 전통적인 방법보다는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영화를 활용하는 방식이 선호되며, 이는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학습자들이 이러한 도구를 활용한 학습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Yoon & Ahn, 2012).
실제 드라마, 영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에 관한 현장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영화를 통한 멀티미디어 수업은 무엇보다 맥락적이고 반복적인 어휘 학습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하겠다(Lee, 2017; Lee & Lee, 2014). 또한, 미드나 영화는 실생활을 기반으로 하여 어휘 중심의 수업을 통해 언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도 대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Lee & Lee, 2014). 멀티미디어와 영화를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은 어휘를 독립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에 비해 흥미로운 상황과 스토리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적극적인 동기를 유발하고, 이를 통해 어휘 학습을 강화하고 확장시킬 수 있다(Yum & Kang, 2007). 따라서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영상영어수업을 통해서 전통적인 암기학습보다 영화라는 문맥 속에서 더 자연스럽게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를 통해서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겠다.

2. 여성의 아름다움과 자아 이미지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달라졌으며, 그 본질은 가변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을 지니며, 여성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망은 오랜 역사를 통해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회문화적 권력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Kim, 2017; Kim & Lee, 2012). Foucault(1978)에 의하면, 여성의 몸에 사회적 의미가 부여됨으로써, 여성의 신체는 객체화되며 권력의 욕망을 상징하는 존재로 간주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가 여성에게 아름다움을 내면보다는 외면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는 잘못된 기준을 강요하는 개념인 ‘미의 신화’는 여성에게 불합리한 기대를 부여하며, 궁극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한다(Wolf, 1991). 이러한 사회적 기대와 미의 기준은 여성들의 신체에 대한 집착을 유발하며, 이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자아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Bordo, 1985).
신체적 아름다움이 개인의 능력, 권력, 지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은 한국 사회에서도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다(Kim, 2020; Sung 외, 2009).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광고시장의 개방 이후, 서구적 날씬한 신체미가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었고, 그로 인해 여성들은 외모에 대한 불만을 느끼며 정상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는 성형수술과 포토샵을 통한 신체 이미지 수정 문화의 확산을 초래한 주요 원인이 되었다(Kim, 2017; Lee, 2009). 인구비례 화장품 소비와 성형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1위를 차지하는 사실은, 몸이 상품화되고 규범화되는 현상이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Kim, 2020). 특히 인스타그램, 유튜브, X(구 Twitter)와 같은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확산과 소셜미디어활동의 활성화로, 디지털 세대의 여성들은 과거보다 자신의 신체미에 대한 욕망과 관심이 디지털 기술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게 되었다(A.-R. Kim, 2019; M.-H. Kim, 2017). 이 현상이 문제로 지적되는 이유는, 신체적 아름다움이 사회적 능력으로 인식되어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자존감 저하와 우울증 등의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거식증이나 폭식증과 같은 섭식장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Bordo, 1985; Heo, 2018; Hwang, 2009; Kim & Lee, 2012; Lee, 2009).
따라서 외모 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업이나 대인관계에 집중하며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자기 내면화 및 정서 조절 전략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제공되어야 한다(Heo, 2018). 이러한 미의 신화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영화를 통한 멀티미디어 수업 개발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Han, 2002; Ihm, 2005; Kim, 2005; Lee & No, 2023; Lee & Shin, 2013). 그러나, 영화가 내면의 아름다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영화 아이 필 프리티는 로맨틱 코미디 장르에 속하지만, 외모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내면의 아름다움이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이 영화는 외적인 모습보다 내적인 자신감이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여성에게 자아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사랑을 주고받는 것의 필요성을 전달한다(Ryu, 2019).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주인공 르네(Renee)는 처음에는 미의 신화와 미디어에서 끊임없이 주입한 사회적 미의 기준에 맞추려 노력하지만, 자신감과 열정, 그리고 훌륭한 인격으로 사회적 미의 기준에 맞추려는 압박과 그 기준에 저항한다(Prastanti 외, 2023; Sar 외, 2023). 미의 신화에 짓눌려 자존감이 낮아진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주인공 르네는 자신이 사랑받고 인정받는 것은 외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내면, 즉 자신감과 당당함, 긍정적인 태도를 통해서 임을 깨닫게 되며, 결국 자신의 외모에 대해 더 이상 부끄러워하지 않고 스스로를 사랑할 수 있는 여성이 된다(Kim, 2022). 이는 스피노자의 내면의 주관적 아름다움에 대한 주제와 연관되는데, 스피노자는 신체적 외모를 초월하여 내면과의 조화를 이성적으로 인식하는 아름다움을 강조한다(Kim, 2020).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주인공 르네는 회사 행사에서 연설을 통해 여성들이 본래 그 자체로 아름답다는 점을 대화 1과 같이 강조한다.
Renee: What if we never lost that little-girl confidence? What if when someone tells us that we aren’t good or thin or pretty enough, we have the strength and the wisdom to say what I am is better than all of that? Because what I am is me! I’m me! And I’m proud to be me! We are real women. We are. What a great thing to be. A real, healthy, just strong, funny, kick-ass chick! This new line of products won’t change your life. Only you can do that. And you can do that. Believe me. But this line is for every girl who is ready to believe in herself! You are beautiful! You are everything! And you are the real face of this line! And we are all the face of Lily LeClaire! (대화 1, 아이 필 프리티)
영화 아이 필 프리티에서 제시되는 진정한 아름다움은 미디어가 제시하는 이상적인 외모를 수동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이미지와 신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데 기반한 포용적이고 다면적인 개념이다(Zahara & Farlina, 2023). 이는 신체적 외모를 초월하여 내면과의 조화를 이성적으로 인식하는 스피노자의 아름다움과 일치하며, 아름다움은 사회적 기준에 의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내적인 요인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유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경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gram, 2022). 따라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하여 미의 신화와 여성의 객체화에 도전하고, 억압과 자유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며, 사고의 자유와 자기 몸 및 자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주관적인 내적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더 나은 자아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실행 연구는 학문적으로 반드시 수행할 가치가 있는 연구로 여겨진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S대에서 영상영어수업을 수강한 30명의 학생 중 연구에 참여한 24명이다. 조기 취업한 학생과 결석을 한 학생들 6명은 여러가지 개인적인 사유로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 모두 참여하지 못해서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학생들은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영어 수업 활동에 모두 참여하였고 연령은 20대 초반이었고 전공은 매우 다양하였다. 영어권 국가에 거주했던 경험이 있는 참여자는 2명(8.33%)이었고 수업 외에 영어공부하는 시간은 평균 1시간 이하였다. 학습자들의 전공은 매우 다양하였는데, 생명환경공학과 전공이 4명(16.67%), 경영학과가 3명(12.5%), 저널리즘이 2명(8.3%), 언론학과 2명(8.3%), 디지털미디어 2명(8.3%)이었다. 나머지 11명(45.83%)의 전공은 모두 달랐는데, 영문학, 화학, 사회복지, 바이오 헬스, 식품공학, 교육심리, 소프트융합,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일문, 국문이었다.

2.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수업 설계와 운영

영화는 네 명의 교수들과의 논의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여대생들의 신체상, 자아 이미지, 자신감 등을 주제로 다룬 아이 필 프리티토이스토리 4(Cooley, 2019, Toy Story 4), 그린북(Farrelly, 2018, Green Book), 엘레멘탈(Sohn, 2023, Elemental)과 함께 네 편의 영화 중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각 영화는 3주에 걸쳐 다뤄졌는데,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수업 개발에 관한 연구는 15주 동안 진행된 한 학기 중 3주 동안 실시되었다.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총 110분으로,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 외 시간에 가급적 미리 영화를 시청하도록 권장하였다. 영화는 네 파트로 나뉘어 수업이 진행되었다. 각 파트의 편집된 영상 길이는 약 10~15분 정도였다. 연구자가 주임교수를 맡아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였고, 다른 교수들과 함께 영화의 내용과 스크립트를 기승전결 네 부분으로 나누어 편집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의 각 부분에 맞는 중요한 장면을 선정하고,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적절하게 편집하여 학습자들이 더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화의 편집은 비디오 편집부터 시작되었으며, 그에 맞춰 오디오 편집이 이루어졌다. 이어서 스크립트도 세밀하게 편집되었는데, 이러한 편집 과정은 수업 중 학습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화 영상은 총 네 개의 파트로 나누어졌는데, 문법 요소를 포함한 필수 어휘와 문장 등을 선정하여 교수들이 협업하여 수업 자료로 만들어졌다. 75분간의 수업은 한 세션으로 운영되었으며, 각 파트는 두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한 세션의 수업 흐름은 웜업 활동, 어휘 활동, 비디오 클립 시청, 매크로 듣기 활동, 마이크로 듣기 활동, 섀도잉 또는 문법 학습, 토론 등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각 세션마다 교안이 작성되었고 수업 활동 후에도 교수들 간의 피드백과 소감 등이 공유되었으며 수업내용을 수정·보완·재구성하는 과정이 있었다. 모든 강의는 대면 강의로 이루어졌고 각 세션 별 수업 내용과 영상 및 오디오, 스크립트, 온라인 어휘 퀴즈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는 학습자가 시간적 제약 없이 예습과 복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되었다. 어휘는 사전적 정의와 그림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제시되었으며, 효과적인 어휘 교수 학습을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반 활동이 개발되었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어휘나 표현의 뜻을 찾거나 문장 채우기 등 그룹 활동과 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심화시키도록 하였고, 학습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온라인 어휘 테스트, 제퍼디 게임, 카훗 게임 등 다양한 디지털 도구가 제공되어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학습하고 복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은 영화에 대한 소개나 이전 세션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활동으로 시작하였고 이어서 어휘나 문화 요소 등을 이미지나 정의 그리고 대본의 예문을 통해서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학습자들은 이 과정에서 단어와 표현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제 맥락에서의 사용법을 익혔다. 또한 수업에서 다룰 영화의 클립이 편집되어 학습자들이 수업시간 이외에도 원하는 시간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활용을 위해 자막을 수정하고 편집하여 영화 스크립트를 완성하였는데, 네 개의 파트는 아래 Table 1에 제시된 장면들로 구성되었다.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주제와 라이프 레슨에 대한 학습과 토론을 위해, Figure 1과 같이 각 세션마다 라이프 레슨과 토론 문제가 주어졌다. 토론은 영화의 내용과 여성의 자아 이미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화의 메시지를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여성의 자아 이미지와 사회적 기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자기 존중과 자아 확립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사회적 고정관념과 사회적 압력에 의해 형성되는 신체 이미지와 자존감 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개인의 진정한 자아를 인식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토론을 하였다.
수업은 학습자들이 영어로 토론을 진행하며 마무리되었으며, 수업 이후에도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인터뷰 형식으로 시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어휘 학습에서는 각 파트별로 목표 어휘를 설정하고, 어휘 카드를 활용한 그룹 활동이나 온라인 어휘 게임을 개인 활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휘 복습을 위해 카훗 및 퍼즐 채우기와 같은 그룹 활동도 개발되었다. 문법을 포함한 어휘 학습을 위해 Figure 2에 제시된 것처럼 동사구 학습을 병행하였으며, 관련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수업 활동은 개별 활동, 짝 활동, 그룹 활동, 그리고 반 전체 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교수와 학습자 간, 학습자 상호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이 원하는 파트너와 그룹 멤버와 함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적 학습을 유도하였다. 영어 수업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전 과정이 영어로 진행되었으며, 학습자들이 주어진 영화의 내용과 어휘, 토론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토론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기말 평가는 듣기, 어휘, 독해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6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지는 교수들이 협력하여 피드백을 교환하여 최종 확정하였다.

3. 결과 분석방법

교양 선택 과목으로 영상영어수업을 신청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진행하였다.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수업 전후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어휘 실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영화 대사와 내용을 기반으로 한 어휘 의미, 구동사, 문장 내에서 적절한 어휘 선택을 요구하는 2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사전 및 사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어휘 테스트 문항의 유형은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참여자들의 자아 이미지 향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수업 전후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인터뷰에 응답한 19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자아 이미지에 대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아 이미지에 관한 인터뷰는 학습자들이 신체적 외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과 미에 대한 인식, 그리고 더 강한 자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학습자들의 이름은 모두 숫자로 대체하여 익명성을 보장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와 간단한 통계 분석을 포함한 양적 연구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사전·사후 테스트는 영화에서 사용된 어휘와 표현을 중심으로 한 간단한 시험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사후 설문지는 학습자들의 인적 사항, 수업에 대한 만족도, 수업 활동에 대한 반응, 자아 이미지 및 자신감과 관련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설문지는 리커트(Likert) 5점 척도 방식(1 = 매우 동의하지 않음, 2 = 동의하지 않음, 3 = 보통, 4 = 동의함, 5 = 매우 동의함)을 기반으로 채점되도록 설계되었다. 사전 및 사후에 동일한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빈도 분포 분석을 통해 검토되었다. 분석에는 통계 소프트웨어인 SPSS를 활용하였다. 또한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내용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진행된 사후 인터뷰 자료를 전사하여 학습자의 자아 이미지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IV. 연구 결과

연구 결과는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누어 정리되었다. 첫째,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의 만족도와 효율성을 평가하고, 언어 학습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교육학적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자아 이미지 변화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1.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 및 어휘 학습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29(표준편차 0.624)였다. Figure 3에 의하면,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스크린영어수업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한 학습자들은 13명(54.25%), 매우 만족한다고 답한 학습자들은 9명(37.5%), 보통이라고 답한 학습자들은 2명(8.3%)였다. 총 24명 중 22명(91.75%)이 만족한다고 답을 한 것이다.
학습자들이 가장 도움이 된 활동에 대해 인식한 결과는 Figure 4에 명확히 나타나 있다. Figure 4에 의하면, 말하기 활동(주로 토론 활동)이 가장 유익하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9명(37.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뒤를 이어 듣기 활동에 대해 유익하다고 답한 학습자는 7명(29.2%), 어휘 학습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6명(25%)이었다. 문법 활동이 가장 유익하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2명(8.3%)에 그쳤다.
학습자들은 토론과 같은 말하기 활동을 비롯하여, 영화 클립 시청 후 진행되는 거시적 듣기(macro-listening)와 받아쓰기(dictation)을 마친 후 수행되는 역할 놀이(role-playing) 및 섀도잉(shadowing) 활동이 매우 흥미롭다고 응답하였다. 언어 학습 측면에서 전반적인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설문 응답 결과, 24명 중 1명은 보통이라고 답하였고, 17명(70.8%)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며, 6명(25%)은 매우 그렇다라고 답하였다. 따라서 총 23명(95.8%)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Figure 5에 따르면 어휘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14명으로 58.33%였고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7명으로 29.175%였다. 듣기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16명으로 66.67%였으며, 매우 향상되었다고 답한 학습자는 6명으로 25%였다. 또한, 말하기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 역시 15명으로 62.5%였고, 매우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7명으로 29.17%에 달했다. 영화의 주제를 이해하는 데 토론 등의 수업 활동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13명으로 54.17%였으며,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8명으로 33.33%였다. 반면, 문법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학습자는 9명으로 37.5%였고, 매우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4명으로 16.67%에 불과했다.
사전 테스트의 평균 점수는 13.42점이었고, 사후 테스트에서는 21.25점으로, 평균 7.83점이 향상되었다. 최저 점수는 9점에서 12점으로 3점 향상되었고, 최고 점수는 19점에서 25점으로 6점 향상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사전 및 사후 어휘 테스트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Table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참여자들의 어휘 실력에서 p < .001 수준의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설문 응답 결과, 어휘 학습 측면에서, Figure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학습자들은 온라인 어휘 테스트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들 중 가장 도움이 된 테스트는 13명(54.17%)이 스펠링 테스트라고 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정의를 제공하고 단어를 고르는 테스트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7명(29.17%)이었다. 한편, 단어를 제공하고 정의를 고르는 테스트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4명(16.67%)에 불과했다.
Figure 7의 설문 응답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온라인 어휘 테스트보다 퍼즐을 채우는 활동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어휘 테스트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8명(33.33%)이었으며, 어휘 퍼즐 활동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12명(50%)에 달했다. 반면, 전통적인 영어 단어 코팅 카드를 활용한 그룹 활동을 선호하는 학습자는 4명(16.67%)에 그쳤다.
Figure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어휘 복습 활동으로는 카훗과 제퍼디 게임이 비교되었다. 그 결과, 카훗을 더 재미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21명(87.5%)으로, 제퍼디 게임을 선호한 학습자 3명(12.5%)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카훗이 학습자의 참여도와 흥미를 더욱 유발하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자들이 제퍼디 게임보다 카훗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어 긴장감과 경쟁심이 유발되기 때문이며, 또한 음향 효과가 게임을 더욱 흥미롭고 신나게 만든다고 응답하였다.

2. 여성 자아 이미지 향상

영화 아이 필 프리티 수업 전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전반적인 자아 존중감에 대한 설문에서 p < .01 수준의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는데, 자신에 대한 존중감(Question 1)의 평균 점수는 3.33에서 3.79로 0.46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자아 존중감의 향상은 p < .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여성으로서 가치는 외모로 결정된다(Question 2)는 생각에 대한 사전 설문에서 평균 점수는 3.00이었으나, 사후 설문 결과는 2.46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p < .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나의 자아상을 형성하는 데에 외부의 인정이 얼마나 중요한지(Question 3)에 대한 사전 설문 결과는 3.63이었으나, 사후 설문 결과는 3.17로 나타났으며, 이는 p <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모보다는 자신감이라는 믿음(Question 4)에 대한 응답은 사전 설문에서 평균 3.71에서 사후 설문에서 4.17로 증가하였으며, 이 변화는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신의 이미지를 위해서 자신을 돌보는 활동에 참여한다(Question 5)는 응답은 사전 설문에서 평균 3.79에서 사후 설문에서 4.17로 증가하였고, 이 변화도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Question 6)은 사전 설문에서 평균 3.29에서 사후 설문에서 3.63으로 0.34점 증가하였으며, 이 변화는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Question 7)는 사전 설문에서 평균 3.00이었으나, 사후 설문에서는 평균 3.33으로 증가하였다. 이 변화는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자들이 신체적 외모에 대한 인식, 자신과 미에 대한 인식, 그리고 더 강한 자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신체적인 매력이 있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에 유리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19명 중 8명의 학습자들은 신체적인 매력이 아름다움의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그렇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은 호감 가는 얼굴을 가졌거나, 몸매가 좋은 사람들에게 더욱 호의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누구에게나 매력적으로 보이는 사람들은 그만큼 사람들의 호의를 많이 받고 쉽게 살기도 하지만, 그만큼 과하게 주목 받고 편견에 쉽게 갇히는 등 불편한 점도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 것 같아요. (학습자 12)
자신의 장점과 단점 등 자신에 대한 인식은 다양했으나, 진정한 미에 대해서는 한 명을 제외한 18명의 학습자들이 외면보다는 내면에서 진정한 아름다움이 나온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우선 본인이 어떤 사람인지를 파악하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자신의 강점이나 좋은 부분들을 돌아보면서 내면의 가치와 자존감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처음에는 사람의 외면을 보고 다가가겠지만 결국엔 내면이 아름답지 못하는 사람은 사람들과 어울리게 되지 못하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누구든 내면의 가치를 더 신경쓰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학습자 3)
자기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개인적인 방법에 대한 인터뷰 결과, 각 학습자들은 자신의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자신만의 다양한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학습자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약점을 보완하거나 강점을 더욱 발전시키며 자신을 격려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와 자신감을 증진시켰다. 또한 어떤 학습자들은 운동이나 자기개발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면서 자기 이미지를 강화한다고 했다.
저도 처음엔 르네처럼 이쁜 여성을 보면 기가 죽었었는데, 자신감 넘치는 르네가 사상도 찾고 다른 이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보고 많은 걸 깨닫고 반성도 하게 되었어요. …제가 마음먹기에 따라 단점이 장점이 될 수 있는 것처럼, 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제가 아름다운 사람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나 자신을 아름다운 사람이라고 믿고, 그에 걸맞는 행동을 하다 보면 진정한 아름다움을 꽃피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내 양심, 내 성품, 내 신념을 믿고 나아가다 보면 타인의 평가와 상관없이 단단한 자아가 형성될 수 있을 거에요. 또, 저도 이전엔 자존감이 낮았었는데 운동하고 관리하면서 저 자신을 더 사랑하게 되었어요.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모습을 관리하는 것도 나를 아끼고 사랑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다만 남들의 시선이 두렵다는 이유로 강박적으로 관리를 하기 보다는, 내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끊임없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학습자 24)
미의 신화에 빠지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인정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만의 아름답고 강한 자기 이미지를 형성하고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인터뷰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만의 독창적인 접근 방안을 깊이 고민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을 찾아내었다. 학습자들은 영화 아이 필 프리티 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영어 수업을 통해 사회적 미의 기준에 맞추어 살아가는 방식보다는 자신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관리하는 방법을 찾고, 자아의 내면적인 아름다움, 자아 존중감, 그리고 자신감 등의 가치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해 보았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수업 설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간단한 사전 및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어휘 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아 이미지 향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자아 이미지 향상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겠다.
첫째, 영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수법은 효율적이며, 학습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특히 토론을 포함한 말하기 활동을 가장 유익한 학습 방식으로 인식하였으며, 듣기 및 어휘 관련 활동 또한 효과적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문법 중심 활동에 대한 긍정적 반응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언어 학습 측면에서도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은 전반적인 영어 능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학습자들은 평가했으며, 특히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학습자들의 인식이 두드러졌다. 또한, 듣기 및 어휘 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법 실력 향상에 대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다. 특히 어휘 학습 측면에서, 사전 및 사후 테스트 결과, 영화 중심 멀티미디어 수업이 학습자들의 어휘 실력 향상에 상당히 효과적이었으며, 실질적인 어휘 능력 증진을 이끌어낸 것으로 평가된다.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한 어휘 스펠링 활동은 퍼즐 맞추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온라인 어휘 테스트가 선호도를 나타냈다. 반면, 영어 단어를 코팅 카드를 활용해 암기하는 활동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가장 흥미로운 어휘 복습 활동으로는 퍼즐보다 카훗과 온라인 어휘 테스트가 선호되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학습자들은 코팅된 어휘 자료보다 온라인 활동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어휘 복습 활동에서도 카훗이 피피티로 진행된 제퍼디 게임보다 더 재미있다는 응답이 많아, 개인의 이름, 배경음악, 실시간 점수 등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형식이 학습자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여겨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적 측면에서,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영상 영어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전반적인 자아 존중감,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어느정도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여성의 가치를 외모로만 판단하는 인식은 감소한 반면,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모보다 자신감에서 비롯된다는 믿음은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영화 아이 필 프리티의 주인공 르네처럼 자신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운동과 같은 자기 관리에 대한 실천 의지도 다소 증가하였다.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타인의 평가나 인정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자기 이미지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사회가 강요하는 미의 신화라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얻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멀티미디어와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자신감 향상 뿐만 아니라 자아 이미지의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더 나아가 사회가 강요하는 미의 기준을 거부하거나 이를 초월하여 각자의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추구하려는 노력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수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했으며, 특히 어휘 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수업은 학습자들의 자아 존중감과 자기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자신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다.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을 지도하고 긍정적 자아상을 설정 및 향상시키는 데 있어 후속 연구와 교육 현장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 토론, 어휘 활동에 더해 작문 및 문법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멀티미디어와 웹 기반 게임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멀티미디어와 영화를 활용한 수업 설계 과정에서의 난점에 대한 해결 방안과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행 연구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AI를 비롯한 신기술의 활용과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 후속 현장 연구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듣기와 말하기 활동 뿐만 아니라, 어휘 학습에서 문법과 문화적 요소를 포함한 활동을 개발할 때 영화 대사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 활동을 보다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특히, 어휘력 향상을 위해 영화를 활용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학습자들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임을 감안할 때, 전통적인 프린트나 코팅 자료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카훗이나 온라인 어휘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인터랙티브 학습 도구를 활용하여 디지털 중심의 학습 방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의 효과성과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후속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적 관점에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 듣기, 말하기, 어휘, 문법 등 언어 학습의 범위를 넘어 문화와 삶에 필요한 교훈을 탐구할 수 있는 토론을 활성화하고, 학생들이 자신감과 자아 이미지를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자아 수용과 자아 존중감 등 다양한 주제와 관련된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수업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그리고 융합적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과 도전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Ha, 2023).
본 연구는 일반 대학교의 영상 영어 수업을 위해 설계된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 효과를 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시험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로, 그 결과를 전체 학생에게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한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 집단 대조 실험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이 학습자의 어휘 실력 향상에 미친 다른 요인들이 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목표 외에도,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활용하여 서구적인 날씬하고 마른 몸에 대한 사회적 미의 기준에 대한 거부와 여성의 자아상 향상의 가능성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여대생 뿐만 아니라 남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수업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여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 1.
Example of Discussion Activity
stem-2025-26-1-1f1.jpg
Fig. 2.
Example of Phrasal Verbs Practice
stem-2025-26-1-1f2.jpg
Fig. 3.
Students’ 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Using Movies and Multimedia
stem-2025-26-1-1f3.jpg
Fig. 4.
The Most Helpful Activities Perceived by Students in Screen English Classes
stem-2025-26-1-1f4.jpg
Fig. 5.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Improvement Through English Classes Using Movies and Multimedia
stem-2025-26-1-1f5.jpg
Fig. 6.
Types of Online Vocabulary Tests Preferred by Students
stem-2025-26-1-1f6.jpg
Fig. 7.
Vocabulary Activities Preferred by Students
stem-2025-26-1-1f7.jpg
Fig. 8.
Students’ Preferences for Vocabulary Review Activities: A Comparison of Jeopardy and Kahoot
stem-2025-26-1-1f8.jpg
TABLE 1
Scene Structure by Parts in the Movie Clip
Part Scenes
1 Renee reporting the server downtime at the headquarters after working in a Chinatown basement office
Renee meeting Mallory and feeling envious
Renee throwing coins into a fountain, wishing to lose weight and become beautiful
Renee exercising intensely in a spinning class, falling off the bike, hitting her head, and awakening to discover her new beautiful self
Renee embracing her changed appearance and attitude, pursuing her dream job
2 Renee meeting Ethan at the dry cleaner
Renee posting a photo for Grouper Date with friends Jane and Vivian, but receiving no views
Renee attending an interview for her dream job
Renee meeting Avery’s brother, Grant
Renee going on a date with Ethan and participating in a bikini contest at a bar
3 Renee and Avery’s conversation in the company cafeteria
Renee and Ethan’s conversation and kiss in the park
Renee’s dinner meeting with Avery, Grant, Ethan, and company founder Lilly LeClaire at the restaurant
Renee crossing the line at the Grouper meeting in the bar
Conversation between Renee and Ethan on the plane
Renee’s conversation with Grant at the hotel
4 Renee returning home and going to her friend’s apartment to apologize
Renee avoiding Ethan at the bar and breaking up with him over the phone
Renee returning to the gym, trying to regain her confidence and ‘magic’
Mallory, the model, struggling with low self-esteem
Renee realizing she’s needed at LeClaire, understanding her worth
Renee pitching to target at the launch party
TABLE 2
Vocabulary Question Types
Question # Question types
Q1-Q8 Choosing vocabulary based on the definition
Q9-Q21 Filling in the dialogue
Q22-Q25 Filling in the blanks within life quotes
TABLE 3
Pre- and Post-Vocabulary Test Results
Pre-test Post-test
N M SD M SD t df p
24 13.42(53.68%) 3.063 21.25 (85%) 3.234 -12.371*** 23 < .001

* p < .05,

** p < .01,

*** p < .001

TABLE 4
Pre and Post Survey Results on Self-Image and Self-Confidence
Pre-test Post-test
Questionnaire items N M SD M SD t df p
1. My overall sense of self-worth 24 3.33 .868 3.79 .588 -3.412** 23 .002
2. The belief that my appearance defines my worth 24 3.00 1.063 2.46 .977 2.849** 23 .009
3. The importance of external validation in shaping my image 24 3.63 .875 3.17 .868 2.696* 23 .013
4. The definition of true beauty through self-confidence rather than appearance 24 3.71 .806 4.17 .816 -2.696* 23 .013
5. Engaging in self-care activities for my self-image 24 3.79 .932 4.17 .761 -2.387* 23 .026
6. Confidence in my appearance 24 3.29 .690 3.63 .576 -2.326* 23 .029
7. Satisfaction with my self-image 24 3.00 .834 3.33 .868 -2.145* 23 .043

* p < .05,

** p < .01,

*** p < .001

REFERENCES

Bordo, S. (1985). Anorexia nervosa: Psychopathology as the crystallization of culture. Philosophical Forum, 17(2), 73-103.
Choe, Y., & You, M. (2003). English education via movies. STEM Journal, 4(1), 199-221.
Choi, Y., & Kang, M. (2002). Development of on-line multimedia English instruction.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5(2), 182-212.
Cooley, J. (Director). Toy story 4 [Film]. Pixar Animation Studios.
Farrelly, P. (Director). Green book [Film]. Participant Media; DreamWorks Pictures; Innisfree Pictures; Cinetic Media; Alibaba Pictures.
Foucault, M. (1978). The history of sexuality I: The will to know. Random House.
Ha, M. (2023). Exploring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college English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22(1), 285-308. https://doi.org/10.18649/jkees.2023.22.1.285.
crossref
Han, J. (2002). A study on developing Korean EF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using multimedia. English Teaching, 57(4), 533-558.
Heo, N. (2018). Effects on self-esteem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536-548. https://doi.org/10.5762/KAIS.2018.19.6.536.
crossref
Hwang, R. (2009). A study on eating disorder,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328-335. https://doi.org/10.4069/kjwhn.2009.15.4.328.
crossref
Ihm, H.-J. (2005). The study of development of multimedia-assisted general English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needs analysis. English Language Teaching, 17(3), 235-257.
Ingram, T. (2022). I feel pretty: Beauty as an affective-material process. Feminist Theory, 23(2), 285-300. https://doi.org/10.1177/14647001211000015.
crossref
Johnson, B. C. (2015). Introduction: Movies as edutainment. Counterpoints, 474, 1-10. https://www.jstor.org/stable/45178401.
Jung, Y.-S. (2001). A review of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of CALL from the viewpoint of cooperative learning. English Teaching, 56(4), 373-395.
Kim, A.-R. (2019). A new perspective on the beauty of a generation wearing digital media: Focused on the beauty contents culture. Media. Media, Gender & Culture, 34(1), 131-174. https://doi.org/10.38196/mgc.2019.03.34.1.131.
crossref
Kim, H.-R., Park, K.-J., & Kim, Y.-M. (2021). Development of a complex problem solving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ion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of primary learners [Special issue].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32, 31-50. https://doi.org/10.20972/kjee.32..202104.31.
crossref
Kim, J.-E. (2005). Using the ‘silent-viewing method’ to develop vocabulary skills. STEM Journal, 6(1), 19-44.
Kim, J.-G. (2020). Beauty practices in Korean society and embodied ethics of joy. Asian Cultural Studies, 52, 5-37. https://doi.org/10.34252/acsri.2020.52..001.
crossref
Kim, M.-H. (2017). History of Korean women’s beauty. Journal of Women Studies, 28, 5-30.
Kim, N.-B. (2014). A trend analysis of vocabulary articles in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0(1), 287-309.
Kim, R.-H. (2018). A critical review of the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EFL learner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1(3), 115-148. https://doi.org/10.15702/mall.2018.21.3.115.
crossref
Kim, S.-E. (2022). Comparison of two film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Shallow Hal and I feel pretty. Culture and Convergence, 44(5), 495-513. https://doi.org/10.33645/cnc.2022.5.44.5.495.
crossref
Kim, S., & Lee, Y. (2012). What is beauty? The aesthetic cogni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3(2), 351-382.
Lee, B. (2009). The effects of mass media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 Focused on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3(3), 166-204.
Lee, E.-P., & Shin, M. (2013). Effectiveness of movie watching: How it affects medical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Mira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18(1), 435-451.
Lee, J.-W. (2000). A study on the selection of movies. STEM Journal, 1, 47-64.
Lee, J.-W. (2017). The role of specialized vocabulary in movies: With reference to the movie The Thomas Crown affair. STEM Journal, 18(3), 119-135. https://doi.org/10.16875/stem.2017.18.3.119.
crossref
Lee, J., & Lee, J. (2014). Gains and losses of the lexical approach through the American TV drama Criminal minds. STEM Journal, 15(1), 175-195. https://doi.org/10.16875/stem.2014.15.1.175.
crossref
Lee, S.-B., & No, K.-H. (2023). Application of video and subtitle types for elementary English vocabulary learning by learner level.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37(3), 49-70. https://doi.org/10.16933/sfle.2023.37.3.49.
crossref
Lee, Y.-A. (2023). Characteristics of a competency-based English curriculum and changes in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37(1), 117-144. https://doi.org/10.16933/sfle.2023.37.1.117.
crossref
Oh, J. (2000). Movies and syllabus. STEM Journal, 1, 75-95.
Prastanti, A. D., Gemilang, A. V., & Yuniarsih, I. Y. (2023). The portrayal of beauty myth in I feel pretty movie (2018). Journal of English Literature Linguistics and Education, 4(2), 5-13. https://doi.org/10.31941/jele.v4i2.3321.
crossref
Rho, Y.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types in the movie The holiday. STEM Journal, 19(1), 43-64. https://doi.org/10.16875/stem.2018.19.1.43.
crossref
Ryu, D. (2019). Watching I feel pretty without subtitles. Screen English.
Sar, S., Payana, W. D., & Helmi, R. (2023). Beauty myth and female resistance in the movie I feel pretty. Linguistica, 12(4), 261-271. https://doi.org/10.24114/jalu.v12i4.52492.
crossref
Seong, G., & Won, J. (2015).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multimedia-assisted English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The Journal of Foreign Studies, 34, 9-46. https://doi.org/10.15755/jfs.2015..34.9.
crossref
Shin, S. (2004). A study of the effects of using multimedia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e New Studies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28, 229-244.
Silverstein, M. (Director). (2018). I feel pretty [Film]. STX Entertainment.
Sohn, P. (Director). (2023). Elemental [Film]. Pixar Animation Studios.
Sung, Y.-S., Park, E.-A., Lee, J.-W., & Kim, W.-S. (2009). Psychological power of beauty: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and life-domain difference.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0(3), 461-488.
Wolf, N. (1991). The beauty myth: How images of beauty are used against women. HarperCollins.
Yoon, S., & Ahn, D. (2012). The effect of film with or without subtitles on learners’ vocabulary enhancement in Korea: Using subtitles from Aladdin, The little mermaid and The lion king. STEM Journal, 13(3), 73-87. https://doi.org/10.16875/stem.2012.13.3.73.
crossref
Yum, M., & Kang, Y. (2007). An effect of using movies in English on vocabulary power and interest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STEM Journal, 8(2), 55-82. https://doi.org/10.16875/STEM.2007.8.2.55.
crossref
Zahara, D. M., & Farlina, N. (2023). Challenging objectification through alternative beauty concepts in the film I feel pretty (2018). Celtic: A Journal of Culture, English Language Teaching, Literature and Linguistics, 10(1), 63-80. https://doi.org/10.22219/celtic.v10i1.2702.
crossref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79 View
  • 3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219, Bugak building,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E-mail: stem@stemedia.co.kr                

Copyright © 2025 by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