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Context in Using Movies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Based on Native-Like Selection and Form-Meaning Pairing

Article information

J Eng Teach Movie Media. 2025;26(1):16-2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16875/stem.2025.26.1.16
임미진,1
1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Corresponding Author,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E-mail: immijin@kookmin.ac.kr)
Received 2025 January 5; Revised 2025 February 8; Accepted 2025 February 21.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context in a movie plays a crucial role in achieving form-meaning pairing. For this purpose, context was divided into three sub-elements: emotional engagement, personal experiences, and story structure, all of which contribute to the effective long-term retention of movie utterances. The study involved five college students who were English majors with intermediate-high English level. They participated in a two-month immersive case study. The material used was Mamma Mia! (Lloyd, 2008), a musical romantic comedy. At the end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two tests and submitted two written reports.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out of five participants performed well in the first test, a recognition test, while three excelled in the second test, a recall test. In the first written report, all five participants noted that they made mistakes due to mismatched form-meaning pairs. In the second report, they highlighted that effective memorization occurred when the form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relevant meaning. This case study revealed two key insights about the role of context. First, excessive translation disrupts the pairing of form and meaning by significantly distorting the structure of the form. Second, context equally enhances both recognition (meaning) and accurate recall (form).

Keywords: secondary; tertiary

I. 서론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교실에서 영화 활용은 학습자가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native-like selection; NLS)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 때문에 자주 강조된다(Jin, 2022; Kim & Lee, 2022). 이는 영화가 다른 교재나 자료로는 대체하기 어려운 자연스러운 표현의 풍부한 원천이기 때문이다. NLS는 Pawley와 Syder(1983)가 제시한 개념으로, 간단히 말해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특정 구문과 어휘를 선택하여 의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뜻한다. 즉, 문법적으로 가능한 여러 표현 중에서 원어민이 실제로 사용하는 표현을 선택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개념은 이후 관용적 표현, 어휘 연속체, 그리고 공식적·비공식적 담화에서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발전을 이끌었다. 예를 들어, Liontas(2017)는 NLS를 배우면 언어를 처리하는 부담을 줄일 수가 있다고 했다. Ortactepe(2013)는 NLS가 대화의 유창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강조하며, Abolfazli와 Sadeghi(2017)는 NLS가 관용적 능력(idiomatic competence)을 발전시키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언급한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을 습득하도록 돕기 위해 영화와 같은 진정성 있고 문맥적으로 풍부한 자료를 언어 교육에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문헌에서는 NLS가 특정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것처럼 언급되지만, 사실 원어민의 발화는 모두 NLS에 해당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NLS를 배워야 하는 L2 학습자들에게는 이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Gomari와 Marshall(2017)은 교실에서 자연스럽게 NLS를 배울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NLS를 배우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짐작할 수 있다. 이들에 따르면, 첫째로 언어 접촉(language contact)을 강조하는데, 이는 학습자가 목표 언어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학습자의 통합적 동기(integrative motivation)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며, 셋째로 가능한한 이른 나이에 NLS를 접할 것을 권장한다. 마지막으로, NLS를 증진시키기 위해 EAP(English for academic purposes)를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들은 한마디로 말해 원어민처럼 생활하며 학습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LS를 영어 학습의 조건으로 삼아,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재로 영화를 활용할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영화는 NLS의 풍부한 원천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형태-의미 짝짓기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형태와 관련된 의미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곧 NLS를 실현하는 과정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문맥의 활용이다. 형태와 관련된 의미를 연결하려면 형태에서 직접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숨겨진 의미를 발견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문맥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넷째, 형태-의미 짝짓기를 통해 NLS를 발견했다고 해서 학습이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학습 내용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장기 기억 전환을 도울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는 극중 인물과의 감정적 연결(Dodgson, 2017; LaLumiere 외, 2017; Nadal 외, 2013; Swaim, 2022; Tyng 외, 2017), 영화 내용과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 간의 관련성(Psychology Today, n.d.; Strijbosch 외, 2019), 그리고 영화 스토리 구조가(León, 2016) 포함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일종의 문맥의 유형으로 기능하며, 영화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감정적, 개인적 경험, 또는 스토리 구조의 측면에서 해석하도록 돕는다. 비록 영화가 가상의 현실에 기반하고 있지만, 영화의 이야기는 학습자에게 감정적 연결을 제공하며, 이는 영어 표현의 암기와 장기 기억에 기여한다. 또한, 영화는 구조적으로 학습자가 정보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영화는 시작, 전개, 결말이라는 명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해당 구조 내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기 용이하다. 이와 같은 구조적 장점은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형태-의미 짝짓기와 문맥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문맥과 의미, 그리고 문맥과 형태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학습 내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장기 기억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II. 문헌 연구

1. 감정과 기억

LaLumiere 외(2017)는 감정과 기억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그들에 따르면 기억 공고화(memory consolidation)는 새롭게 습득한 정보를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감정적 각성(emotional arousal)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즉, 감정적 각성(예, 스트레스, 흥분, 공포 등)은 기억 공고화 과정을 강화한다는 의미이다. 감정적으로 의미가 있는 사건이나 정보는 더 오랜 시간동안 더욱 선명하게 기억되는 경향이 있다. 생리학적으로 감정적 각성은 스트레스 호르몬(아드레날린, 코르티솔)의 분비를 유도하여 편도체를 활성화시킨다. 편도체는 기억을 직접적으로 저장하지는 않지만, 기억을 저장하는 다른 뇌 영역(예, 해마; hippocampus)을 조절하여 감정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더욱 강하게 공고화하도록 돕는다.

Tyng 외(2017)는 감정이 주의와 기억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뇌의 다양한 영역(편도체, 전전두엽, 해마)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과 장기 기억을 조절한다고 설명한다. 편도체는 감정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강화하며 전전두엽은 기억의 인코딩과 형성 조절을 한다. 기억의 인코딩은 새로운 정보를 뇌가 처리하고 저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형성 조절은 인코딩이 완료된 후 어떤 기억이 강화되어 장기 기억으로 저장될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해마는 성공적인 학습과 장기 기억 저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감정은 기억 공고화를 촉진하거나 방해할 수 있으며, 이는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렬한 감정적 경험은 기억 공고화를 촉진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는 공고화를 방해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여 뇌의 정상적인 기억 처리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감정과 인지 처리는 상호 조화를 이루며 작용함으로써 최적의 학습과 기억을 가능하게 한다(Tyng 외, 2017).

2. 경험과 기억

Kahneman과 Riis(2005)는 우리가 경험에서 얻는 것은 그 경험에 대한 기억뿐이라고 주장한다. 즉, 경험 자체보다는 경험을 어떻게 기억하느냐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Shaw(2013)는 자신의 경험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For example, I am writing this on a Saturday morning before I go to watch a soccer game with my daughter and father. Shortly after this game it will just be a memory. As soon as the game ends my brain will start internalising it. Was it as good as the last game? How did they play? What do my daughter and father think? As we drive home we’ll listen to the radio and hear what others say about it, I will read reports on the web. Unbeknown to me all these things will be influencing my memory of the experience. If I were to meet you tomorrow and you ask ‘what was the game like’ all I have is a memory of that game that has now been shaped and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In the time between you asking me and my reply, my brain will analyse many thoughts about this memory…

Shaw(2013)는 축구 경기를 본 경험을 설명하면서, 경기가 끝난 후 그 기억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의견, 라디오 방송, 웹상의 기사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과정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억은 단순히 경험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해석과 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Shaw(2013)는 우리가 경험 자체보다 그 경험을 어떻게 기억하고 받아들이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Strijbosch 외(2019)는 경험을 기억하는 과정에서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감정이 포함된 경험은 감정이 없는 경험보다 더 생생하고 자세히 기억된다는 것이다. 경험은 감정을 통해 기억으로 전환되며, 이러한 기억은 단순한 정보 저장을 넘어 미래 행동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감정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일수록 더욱 생생하게 기억되며, 단순히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뿐만 아니라 그 감정을 어떻게 기억하느냐가 미래의 선택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Psychology Today(n.d.) 에서는 기억은 경험을 조직화 하여 개인이 자신을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찾으며,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이어지는 자아의식을 형성하도록 돕는다고 말하고 있다. 과거 경험에서 비롯된 기억은 개인의 행동, 관계, 목표, 동기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기억이 쌓여 정체성을 구성한다고 한다. 이는 경험(experience)과 기억(memory)이 개인의 자기 이해와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한다. 이 내용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정체성과 기억의 연결은 개인이 자신이 누구인지 성찰할 때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특징적인 행동, 직업, 가까운 관계와 그 의미, 목표와 동기 등을 떠올리게 된다. 즉, 기억은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에 대한 심리적 초상화를 그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자아와 기억의 역할은 기억이 개인이 자신을 이해하고 자아(self)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우리의 삶이 어떠했는지,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경험한 사실(facts)과 인상(impressions)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기억은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풍부한 자아의식을 가능하게 하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셋째, 경험과 기억의 상호작용은 경험이 기억을 통해 축적되고, 기억이 경험을 조직하고 해석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예를 들어, 과거에 겪었던 실패는 스스로를 단련시키는 기억이 될 수 있고, 사랑의 순간은 자신의 가치와 관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기억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경험과 기억이 어떻게 개인의 정체성과 삶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3. 이야기 구조와 기억

일찍이 Mandler와 Johnson(1977)은 단순한 이야기의 기본 구조를 분석한 연구로, 이러한 구조가 기억 속에서 스키마를 형성하여 이야기의 부호화(기억 저장)와 인출(기억 회상)을 돕는다고 주장한다. 연구에서는 이야기 구조를 트리 구조로 표현하며, 이를 문법적 규칙으로 설명하고 변형 규칙도 논의하였다. 그들에 따르면 이야기의 논리적 구성과 스키마 형성이 기억의 저장과 회상을 돕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León(2016)은 이야기 구조와 기억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며, 이야기가 단순히 소통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지식을 구조화하는 특정한 방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대부분의 인지 구조(예, 인간의 사고를 모방한 시스템)는 이야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를 주로 기능적 관점에서 다룰 뿐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는 기억을 저장하는 근본적인 방식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의 접근법은 기존 관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야기 중심의 구조를 일반적인 인지 구조에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일화 기억(episodic memory; 개인적인 경험을 기억하는 부분)과 의미 기억(semantic memory; 일반적 지식과 절차를 기억하는 부분)을 이야기 구조로 재정의할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한편, Mühlbacher(2022)는 긴 이야기 텍스트에서 독자의 기억을 돕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독자들은 이야기를 따라가기 어려워지고 플롯에 대해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긴 이야기에서 기억의 역할이 중요하며, 서사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돈키호테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야기에서는 산초의 당나귀가 도난당했다는 언급이 있지만, 실제로 도난당하는 장면은 등장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르반테스는 도난 사건을 추가했으나, 그 이후에도 여전히 당나귀가 등장하는 모순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실수는 이야기의 서사적 일관성을 깨뜨리며, 독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Callahan(2015)의 연구 결과도 좋은 이야기가 먼저 퍼지면 사람들의 기억에 강하게 남는다는 점은 기억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정보가 기억에 남기 쉬우며, 이야기의 논리적 흐름이 기억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III. 설계

1. 목표

영화에서 NLS에 해당되는 표현을 선택한다고 해서 학습 효과가 자동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학습자의 장기 기억으로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맥을 활용하여 형태와 의미의 짝짓기에 성공해야만 장기 기억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언어 형태에 적합한 의미를 연결하려면 문맥의 적절한 활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문맥을 과도하게 활용하여 의미만 부각시키고 형태를 소홀히 한다면, 결국 학습자가 해당 표현을 암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문맥을 적절히 활용하여 형태와 의미의 짝짓기를 성공적으로 이뤄낼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NLS 표현을 장기적으로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L1 번역과정에서 문맥의 의존도는 얼마나 필요한가?

둘째, 문맥의 활용과 자연스런 번역 사이에 절충은 필요한가?

셋째, 문맥은 내용 이외에도 언어 기억에 작용할 가능성은 있는가?

2. 피험자

본 연구의 피험자는 영어 전공 학생 5명으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모두 1년 이상 영화를 활용한 학습 경험이 있으며, 문맥을 활용하는 방식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영어 실력은 토익 점수 800점 초반에서 900점 초반에 해당하며, 이는 연구에 필요한 충분한 영어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피험자들은 상황에 맞는 의역을 할 줄 알고 문법 지식도 높은 편이라 영화 대본을 자력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의 영화 기반 학습 경험은 본 연구가 다루는 문맥과 형태-의미 짝짓기 과정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된다. 실험 시작에 앞서 모든 피험자들에게 연구 절차와 목적을 상세히 설명하고 자발적인 참여 동의를 받았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할 때, 이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피험자로 판단된다.

3. 교재

본 실험에 사용한 교재는 2008년도에 출시된 영화 맘마 미아!(Mamma Mia!, Lloyd, 2008)이다. 이 영화는 결혼을 앞둔 주인공 소피(Sophie)를 중심으로 한 뮤지컬 로맨틱 코미디로, 그녀가 엄마의 일기를 우연히 발견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일기 속에서 소피는 세 명의 남자가 자신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엄마 몰래 이 세 명을 자신의 결혼식에 초대하여 진짜 아버지가 누구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야기는 그림같이 아름다운 그리스 섬을 배경으로 진행되며, 스웨덴 팝 그룹 아바(ABBA)의 히트곡들로 구성되어 생동감 넘치고 감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서사(narrative)를 만들어낸다.

이 영화에서 사용된 언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체와 캐주얼한 스타일이 주를 이룬다. 일상적인 상호작용과 가벼운 농담으로 가득 차 있으며, 문맥의 도움 없이는 자연스러운 해석이 어렵다. 둘째, 다양한 감정 표현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기쁨과 설렘에서부터 향수와 갈망에 이르기까지 여러 감정이 담겨 있어, 이러한 표현들은 문맥에 기반한 해석이 필수적이다. 셋째, 다언어적 맥락(multilingual context)이 일부 포함되어 있어, 이 또한 문맥의 도움이 필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특징들을 고려할 때, 맘마 미아!는 문맥을 강조하는 본 연구의 교재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4. 절차

본 실험은 사례 연구로, 2개월간 일주일에 한 번씩, 한 번에 약 1시간 30분 동안 활동을 진행하였다. 5명의 피험자 중 한 명이 주관자가 되어 영화 선정과 전체 진행 과정을 책임졌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자는 사례 연구에 사용할 영화의 일부를 발췌하여 교재를 제작한 후 이를 참가자들에게 배부하였다. 실험 기간이 2개월로 제한되어 있어 영화 전체를 학습할 수 없었으므로 일부 장면만을 선택하였다.

둘째, 주관자는 나머지 피험자들에게 교재 내용을 해석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한 명의 피험자가 해석을 마치면, 주관자는 잘못된 해석에 대해 다른 피험자들에게 의견을 묻거나 스스로 올바른 해석을 제시하였다.

셋째, 각 피험자의 해석이 끝난 후, 주관자는 교사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였다. 교사는 문맥을 활용한 해석 방법을 시범적으로 제시하며, 문맥의 세 가지 유형(감정적 문맥, 경험적 문맥, 이야기 구조적 문맥)을 활용하여 특정 문장을 해석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는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문장을 각 문맥 유형에 맞게 재해석하고, 피험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순서는 다른 피험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모든 피험자들이 해석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문맥 활용이 영화 해석과 NLS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5. 평가

평가는 교사가 수행하며, 교재에서 40개의 문장을 선정하여 진행한다. 평가는 총 네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문맥 유형을 중심으로 문장을 해석하는 과제가 주어진다. 이때, 문장을 해석할 때 해당 문맥을 함께 서술하도록 지시하며, 이는 일종의 인식 테스트로 간주된다.

둘째, 첫 번째 단계에서 해석한 40개의 문장을 암기한 후 이를 테스트한다. 이 단계는 회상 테스트의 성격을 가진다.

셋째, 피험자들은 암기에서 틀린 문항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며, 틀린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학습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분석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넷째, 암기가 잘된 문항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며, 성공적으로 암기된 이유를 서술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학습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교사는 이 두 가지 테스트와 두 가지 보고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문맥 활용과 NLS 학습 효과를 평가한다.

IV. 결과 및 분석

1. 해석과 문맥

첫 번째 테스트는 40개의 영화 표현을 해석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해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필요한 경우 문맥을 언급하도록 요구되었다. 이는 자연스러운 의미를 생성하기 위해 문맥의 도움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문맥은 3개의 타입으로 나누었다. 목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감정 몰입, 개인적인 경험, 그리고 영화 이야기 구조가 기억 형성에 중요한 변수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각각 감정, 경험, 구조라는 명칭으로 문맥의 성격을 구분하였다.

40개의 문항은 감정 16개, 경험 12개 그리고 이야기 구조 12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절차에서 설명했듯이, 영화의 특정 문장이 고정적으로 감정, 경험, 또는 구조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교사가 각 문장을 감정, 경험, 구조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문맥을 부여할 뿐이다. 피험자가 문맥을 기술하지 않은 경우,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해석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위해 Table 1에 문맥 사용 안함(No context used) 항목을 추가하였다. Table 1에서 Correct는 해당 문항이 완전히 맞았음을 의미하며, Partial은 절반만 맞았음을 나타낸다. 테스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Three Types of Contexts

Table 1의 문맥 분포도를 보면 피험자 A는 3개의 문맥 타입에서 모두 완전하게 해석을 하였다. 40개의 표현에서 문맥을 정확히 활용하여 자연스럽고 일관된 해석을 이끌어냈다. 예를 들면 피험자 A는 “Though I’m still obsessed with Sam, Bill is so wild”라는 문장이 종속절과 주절 사이의 연결이 느슨하게 느껴진다고 평가하였다. 접속사 “though”가 두 절을 어느 정도 연결해 주지만, 문맥의 도움 없이는 응집력이 약하다고 보았다. 이에 대해 그는 “아직 Sam을 잊지 못했지만 Bill에게는 터프한 매력이 있다”라고 해석하면서, 문맥을 활용해 종속절과 주절 사이의 응집력을 강화하였다. 그가 사용한 문맥은 도나(Donna)가 샘(Sam)과 헤어진 사실과 빌(Bill)을 새롭게 좋아하게 된 남성이라는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통해 피험자 A는 문맥의 활용이 문장의 내적 논리와 의미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임을 보여주었다.

문맥을 활용함으로써 피험자들이 얻게 되는 가장 큰 이점은 NLS와 가까워질 기회를 얻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험자 A는 “I’m still obsessed with Sam” 표현을 통해 NLS를 탐지할 기회를 잡았을 것으로 보인다.

피험자 A가 테스트 답안지에서 이러한 이점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응집력을 강화하려는 과정에서 이 문장을 여러 차례 살펴보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NLS를 탐지할 기회를 얻었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피험자 A의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은 NLS를 선택하려면 문맥을 잘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단순히 형태와 사전적인 의미를 보는 데 그치지 않고, 문맥을 통해 자연스러운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에서 NLS가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Yang 외, 2018). 따라서 피험자 A가 3개의 문맥 타입에서 모두 만점을 기록했다는 것은 그가 NLS를 선택하는 데 상당히 가까워졌음을 시사한다.

한편, 피험자 B는 경험과 구조에서는 문맥을 잘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해석을 보였지만, 감정에서는 정확도가 70%에 미치지 못했다. 피험자 B는 경험과 구조와 관련된 문맥은 해석에 있어 비교적 용이했으나, 감정을 내포한 표현 해석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So, any men at this wedding? Gorgeous Greeks of independent means?”라는 표현을 “그래서 결혼식에 오는 남자들은 좀 오냐? 돈 좀 있고 근사한 그리스 남자들은 없어?”로 해석했다. 이 해석의 문제점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타냐(Tanya)의 배경이 문맥에서 적절히 소개되지 않았으며, 둘째, “independent means”의 정확한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넘어갔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감정적 문맥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피험자 B는 문맥을 활용하여 문장을 하나의 단위처럼 처리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예를 들어, 그녀는 “I feel like there’s a part of me missing”을 해석하면서 “I feel like~”와 “there’s a part of me missing”을 마치 하나의 단어처럼 연결해 해석함으로써 NLS에 접근할 가능성을 높였다.

피험자 C는 피험자 A와 B에 비해 해석 능력이 다소 부족했으며, 이는 문맥 활용도가 낮았음을 의미한다. 특히, 경험 유형에서는 정확도가 50%에 머물렀다. 예를 들어, 그녀는 “Tanya: Oh, all bad, I hope”을 “오, 나쁜 이야기는 아니었기를 바래”라고 해석하였다. 이 해석은 의미적으로는 맞지만, 타냐의 극중 성격을 고려했을 때 유머와 풍자를 포함한 표현이 더 적합했을 것이다. 예컨대, “온통 나쁜 이야기만 해 주세요, 그걸 바랍니다”라는 식의 해석이 타냐의 말투와 상황에 더 부합한다. 피험자 C는 정확한 해석을 했지만, 문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해 보다 생동감 있는 해석으로 발전시키지 못했다. 이러한 문맥 활용 부족은 NLS에 접근하는 데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피험자 D의 경우는 분석이 어렵다. 우선, 문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문항이 40개 중 10개에 달했으며, 문맥을 언급한 문항에서도 자연스러운 해석을 하지 못했다.

한편, 피험자 E는 피험자 A 다음으로 문맥 활용도가 높았다. 그러나 구조에서 문맥 활용 기술이 감정과 경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했다. 비록 70% 이상의 점수를 기록했지만, 3가지 문맥 타입 중 약한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그녀는 문맥 이해 부족으로 인해 다음 문장에서 실수를 보였다. “If you had your way, it’d be a three-minute wedding in jeans and T-shirts, washed down with a bottle of beer”는 소피가 신랑 스카이(Sky)의 결혼 비용 절감 의견에 대해 한 발언이다. 그러나 피험자 E는 “washed down with a bottle of beer”를 “술 먹고 뻗겠지”라고 해석했는데, 이는 비용 절감이라는 맥락과 맞지 않는다.

정리하자면, 피험자 D를 제외한 나머지 피험자들은 문맥 활용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맥 활용의 정확도 측면에서 피험자 A는 완벽한 수준을 보였고, 피험자 B와 E는 우수한 편, 피험자 C는 양호한 편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피험자마다 선호하는 문맥 타입이 다르게 나타나 개인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문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수록 NLS 접근이 수월해지며, 문맥 활용과 NLS 간의 관계는 정비례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2. 문맥과 암기

이번 단계에서는 40개의 영화 표현을 암기하도록 하였다. 영화는 일화 기억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영화 표현의 암기는 일화 기억이 바탕이 된다(Tang 외, 2016). 일화 기억은 장기 기억(long-term memory)의 한 유형으로, 문맥화된 정보를 기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언어 학습과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Zhang 외, 2021). 이러한 관점에서, 문맥과 일화 기억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문맥은 일화 기억의 활성화를 돕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표현을 암기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이 문맥을 활용하여 암기를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암기 테스트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Results of Memorization

Table 2에서 피험자 A, B, 그리고 E는 80% 이상의 높은 점수를 기록한 반면, 피험자 C와 D는 50% 내외의 낮은 점수를 받았다. 피험자 D의 낮은 점수는 Table 1에서 문맥 활용 능력이 부족했던 점을 고려할 때 예상 가능한 결과였다. 그러나 피험자 C는 경험 타입에서만 문맥 활용이 미숙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암기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별적으로 살펴보면, 피험자 A는 구조 타입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오류를 보였다. 구조 타입은 이야기의 전개 과정을 설명하는 문맥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When are the lovebirds flying the nest?”라는 표현에서 첫 번째 단계는 결혼의 주인공인 소피와 스카이가 곧 결혼한다는 암시를 제공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감정적으로 얽히거나 기대감이 만들어지며, 가족과 친구들이 결혼에 대한 큰 관심을 보이는 상황이 전개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그들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꾸리고 새로운 생활로 들어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구조 타입 문맥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피험자 A의 오류는 주로 문법적인 부분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구조 타입 문맥은 의미적으로는 어려움이 적기 때문에, 의미와 언어 형태의 짝짓기를 통한 암기와 기억은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형태-의미 짝짓기가 어려운 문법적 요소, 특히 문법적 기능어(grammatical functors)에서의 오류가 주된 원인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피험자 A의 실수는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피험자 B는 감정과 구조 타입에서 비교적 많은 오류를 보였다. 감정 타입의 사례로는 “This was once supposed to be the site of Aphrodite’s fountain, you know, the goddess of love”라는 문장을 들 수 있다. 이 문장은 감정적 문맥에 해당하며, 따라서 해석과 설명도 감정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 문장에서 먼저 Aphrodite가 신화에 등장하는 사랑의 여신이라는 점을 문맥적으로 제공한다. 이어서, “This”라는 표현은 한때 Aphrodite의 분수가 있던 장소를 지칭하며, 이 장소에 서 있다고 상상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사랑과 미의 아이디어를 여신의 분수와 연결시켜 감정적 연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문장을 암기하는 과정에서, 신화적 배경 지식이 부족할 경우 관련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피험자 C는 감정, 구조, 그리고 경험의 모든 문맥 타입에서 오류가 많았으며, 감정과 구조의 문맥은 앞서 다뤘기 때문에 여기서는 경험과 관련된 문맥의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피험자 C는 “Now, I may look like I’m pondering my securities”라는 문장에서 암기에 오류를 보였다. 이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암기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맥을 제공해야 한다. 첫째, 해리(Harry)는 자신의 평소 생활과 대조를 이루는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모험적이고 신나는 상황에 있는 자신을 상상하며 장난기 섞인 과장(playful exaggeration)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맥은 해리의 발언의 뉘앙스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둘째, 피험자들이 해리와 같은 상상을 한 경험이 있는지 의견을 공유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개인적인 경험과 문장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계는 암기 과정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만약 개인적인 경험과 연계하지 못한다면, 이 문장은 장기 기억으로 저장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며, 암기에 실패할 위험이 있다.

피험자 D는 문맥 활용에 실패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사례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반면에, 피험자 E는 문맥 활용 능력이 가장 뛰어나 암기와 기억 테스트에서 최고의 점수를 기록하였다.

Table 1은 인식 테스트를, Table 2는 회상 테스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인식보다 회상이 더 어려운 과제라는 것은 경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언어 학습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형태-의미 짝짓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Table 1Table 2의 테스트 결과가 균형을 이룬다면, 궁극적으로 언어 학습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문맥의 힘이 필수적이다.

피험자 A는 인식 테스트에서 40개의 문항을 모두 맞춘 반면, 회상 테스트에서는 32개를 맞추는 데 그쳐 인식에 더 기울어졌다. 피험자 B는 인식 테스트에서 31개를, 회상 테스트에서 32개를 맞춰 피험자 A보다 더 균형 잡힌 결과를 보여주었다. 피험자 E는 인식 테스트에서 33개를, 회상 테스트에서 32개를 맞춰 역시 균형 잡힌 성과를 기록하였다. 비록 피험자 A는 균형적인 측면에서 피험자 B와 E에 미치지 못하지만, 회상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문맥의 도움을 받아 형태-의미 짝짓기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피험자 C와 피험자 D는 문맥 활용에 많은 실수를 범하여 형태-의미 짝짓기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문맥이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형태-의미 짝짓기를 지원하는 필수 도구임을 뒷받침한다.

3. 암기에서 문맥의 효과: 부정적 시각

암기에서 실패한 표현들의 원인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피험자들로부터 암기에 실패한 이유를 기술한 보고서를 제출 받았다. 보고서는 피험자들이 해석 과정에서 기억했던 문맥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암기 실패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Analysis of Memorization Failures

Table 3에서 피험자 A는 자신이 틀린 문항들을 약 3가지 이유로 정리하였다. 지면 관계상 한 가지 사례(39번 문항)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Donna: I got a crack in my courtyard.

해석: 안뜰이 갈라져서 틈이 생겼다.

피험자 A는 이 문장을 회상할 때 “There is a crack in the courtyard”로 기억해 냈다. 이는 그의 장기 기억에 “I got a crack in my courtyard”가 저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그의 기억 속에 있던 후자의 표현을 선택한 것이다. 사실, 후자의 표현도 문법적으로나 화용론적으로 자연스럽다. 이는 완벽한 NLS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단, 두 표현 사이에는 뉘앙스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전자의 표현(“I got a crack in my courtyard”)은 일상적인 대화(casual conversation)에서 주로 사용된다. 반면, 후자의 표현(“There is a crack in the courtyard”)은 보다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상황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차이는 “my courtyard”와 “the courtyard”라는 표현에서도 암시되며, 피험자 A는 이 미묘한 차이를 경험을 통해 배우게 되었다.

이 사례는 형태-의미 짝짓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정 형태에 적합한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하더라도, 그 형태가 장기 기억에 저장되지 않았다면, 회상 시 정확히 떠올릴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낯선 형태를 학습할 때는 특별한 훈련과 반복이 필요하다. 피험자 A는 이러한 오류를 경험하며 “I got a crack in my courtyard”이 자신이 익숙했던 표현뿐만 아니라, 원어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임을 깨달았을 것이다.

피험자 B는 형태-의미 짝짓기에 실패한 원인에 대해 스스로 언급하였다. 그녀는 해석이 지나치게 내용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특정 형태에 의미를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지적하였다. 특히, 전치사를 잊거나 회상하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고 보고하였다. 아래는 이러한 오류와 관련된 문장의 예시이다.

Sam: They think that Mom sent the invites, and with what’s in here, no surprise, they said yes!

피험자 B: 그 분들은 엄마가 초대장을 보낸 줄로 알거든. 그런데 글쎄 어떻게 됐는지 알아? 놀라지마. 세 명 다 오겠다고 했어.

피험자 B는 위의 문장을 훌륭하게 의역하였다. 그러나 “with what’s in here”를 “어떻게 됐는지 알아?”라고 지나치게 의역한 결과, 암기 과정에서 형태-의미 짝짓기가 잘못 이루어져 전치사 “with”를 회상하지 못했다. 해당 문장의 적절한 해석은 “여기 있는 내용을 보면”으로, 전치사 “with”는 “considering”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해석을 시도하면서 문장의 형태를 간과할 경우, 회상 시 해당 표현을 기억해 내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즉, 형태-의미 짝짓기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피험자 B는 지나치게 내용 중심적인 해석을 통해 “with what’s in here”와 같은 NLS를 장기 기억에 저장하지 못했다. 이는 언어 학습에서 형태와 의미 간의 균형 잡힌 연결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한다.

피험자 E는 기억에 들어 있지 않은 표현들을 암기하고 회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언급하였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Donna: Will you look at what the tide washed in?

해석: 파도가 해변으로 데려온 저 (반가운) 사람들은 누구냐?

위의 문장은 영어권에서 자연스럽고 생동감 넘치는(colorful) 표현으로, 피험자 E는 “what the tide washed in”이라는 형태가 장기 기억에 없었기 때문에 암기와 회상에서 실패했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형태-의미 짝짓기에서 “what the tide washed in”의 의미를 명확히 연결하지 못하여 암기 시 기억하지 못한 것이다. 이 표현은 비유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를 직역하면 “파도가 밀어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마치 쓰레기가 해변으로 밀려오는 것처럼 친구들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만약 피험자 E가 이와 같은 비유적 의미를 명확히 이해했더라면 형태-의미 짝짓기가 더욱 수월했을 것이다. 그러나 피험자 E는 피험자 B와 마찬가지로 지나친 의역에 의존하는 바람에 짝짓기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what the tide washed in”과 같은 NLS를 기억에 저장하지 못하였다.

피험자 C는 많은 오류를 범하였지만, 그녀가 보고서에서 언급한 세 가지 이유는 모두 일리가 있다. 첫째, 명확한 의미 파악의 실패이다. 그녀는 특정 표현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 형태와 의미를 연결하지 못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암기 과정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형태-의미 짝짓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핵심 초점의 제한이다. 피험자 C는 핵심 단어나 구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다른 표현들을 놓치고 의미와 형태를 연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는 표현 전체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문제다. 셋째, 문맥과의 불일치이다. 문맥에 지나치게 의존하다 보니, 문맥에 맞추려는 과정에서 형태와 의미를 제대로 연결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는 다른 피험자들이 지나친 의역으로 겪은 문제와 유사하다.

피험자 D는 보고서에서 문법적 실수가 많았음을 간단히 언급하였다. 특히, 문법적 기능어와 의미를 짝짓는 데 실패한 것이 암기 오류의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정리하자면, 모든 피험자들은 형태-의미 짝짓기 실패로 인해 암기와 기억에서 오류를 범하였다. 만약 피험자들이 지나친 번역을 자제한다면 짝짓기가 더 잘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문맥의 활용 방식이다. 지나친 번역을 유발하는 문맥 사용은 부적절하며, 오히려 문맥을 적절히 활용하면 지나친 번역을 피하고 형태-의미 짝짓기에서 성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NLS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4. 암기에서 문맥의 효과: 긍정적 시각

앞서 문맥이 NLS를 습득하는 데 방해가 되는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문맥이 NLS를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준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지면 관계상 각 사례에서 한 가지씩만 예를 제시하겠다.

Table 4에서는 문맥 활용이 형태-의미 짝짓기와 암기 성공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험자 A는 대명사가 무엇을 가리키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문맥을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문장을 꼼꼼히 해석하고, 형태를 반복적으로 살펴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형태-의미 짝짓기가 수월하게 이루어졌고, 암기 또한 용이해졌다. 결과적으로, 형태와 자연스러운 의미가 조화를 이루면서 NLS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피험자 B는 극중 인물의 성향이나 특징을 떠올리며 문맥을 잘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형태와 의미를 성공적으로 연결할 수 있었고, 암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피험자 C는 재미있게 느껴졌던 표현들에 집중하였다. 이는 그녀가 해당 표현들에서 형태와 의미의 짝짓기를 잘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그녀는 이러한 표현들을 암기하는 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 피험자 D는 형태-의미 짝짓기가 암기와 기억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문맥 활용도가 낮았던 점이 결과적으로 암기와 기억에서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그녀는 이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형태-의미 짝짓기와 문맥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피험자 E는 영화 맘마 미아!에 간결한 문장이 많다고 느꼈으며, 이는 그녀가 형태-의미 짝짓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그녀는 문법적 표현들을 암기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문법 지식을 기반으로 문맥을 활용하면서 지나친 해석을 자제하고, 형태와 의미의 연결을 강화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접근이 형태-의미 짝짓기를 성공적으로 이끈 것이다.

Analysis of Memorization Successes

총정리하면, 문맥을 잘 활용할수록 형태-의미 짝짓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암기와 기억이 수월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피험자 A, B, 그리고 E는 문맥 활용을 통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NLS는 형태-의미 짝짓기의 결과라는 점도 분명히 드러났다.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교실에서 영화를 사용할 때 무엇을 가르치며 무엇을 배우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는 영화를 교육 도구로 활용하고 싶어도,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게 될지에 대한 명확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영화 활용이 제약을 받아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문맥의 활용이 영화 활용의 핵심 열쇠임을 주장한다. 문맥을 잘 활용하면 우리 문화에 맞게 적절히 번역되어 영화 내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문맥 활용을 통해 L1에서 L2로의 전환도 용이해질 수 있다. Table 1의 인식 테스트 결과와 Table 2의 회상 테스트 결과를 비교해 보면 이러한 주장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피험자 A, B, 그리고 E는 인식과 회상 테스트에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회상은 어렵고 인식은 상대적으로 쉽다고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의 실험에서는 이러한 통념을 깨고 인식과 회상의 결과가 거의 일치하였다.

문맥을 잘 활용한다는 것은 영화에서 사용된 형태들에 적합한 의미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문맥 활용이 지나치게 의역으로 이어질 경우, 형태와 의미의 짝짓기가 어색해져 결과적으로 의미에 맞는 형태를 기억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 문맥 활용이 잘 이루어졌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피험자 C와 피험자 D는 Table 3에서 높은 오류율을 보였는데, 이는 문맥 활용의 부족으로 인해 형태-의미 짝짓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문맥 활용의 이점은 단순히 형태-의미 짝짓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문맥을 감정, 경험, 그리고 이야기 구조라는 세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탐구하였다. 이 타입들은 표현이나 형태를 기억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만들어 준다. 발화들을 감정, 경험, 그리고 이야기 구조의 측면에서 해석하는 과정은 교사에게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경험적 측면에서 문장을 바라본다면,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문장의 의미와 연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맥 활용은 교사가 학생들의 경험과 수업 참여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생들의 수동적 학습 태도를 막아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동시에 교사는 문맥 활용을 통해 수업 목표를 명확히 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영화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2.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NLS는 같은 의미를 가진 표현들 중에서 원어민들이 선호하는 표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법적으로 올바르더라도 상황에 적합하지 않으면 원어민들은 그러한 표현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NLS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서 Foster 외(2014)는 연어, 복합 명사, 구 동사, 문법적 결합(colligation), 문장 틀(sentence stems), 전치사구, 은유(metaphors), 속담(sayings), 인용문(quotations), 감탄사 등을 포함시킨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성분들을 나열하면 NLS가 마치 특정 형태나 표현으로 제한될 수 있는 것처럼 오해를 줄 위험이 있다. 사실, NLS는 원어민들이 선호하는 표현이라면 그들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표현을 포함한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원어민이 사용하는 표현은 곧 그들이 선호한다는 뜻이므로, NLS에 특정한 명칭이나 구성을 고정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NLS는 고정된 목록이 아니라, 원어민의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에서 드러나는 선호를 반영한 유동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Pawley와 Syder(1983)는 NLS를 문법적이면서도 원어민들이 선호하는 표현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이 정의는 원어민의 선호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NLS가 가진 문법적 속성이 간과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NLS를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영어의 문법적 구조가 무시되는 경우가 많아질 위험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형태-의미 짝짓기 과정에서 의미에 적합한 형태를 정확히 암기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는 영어 구조를 무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험자 B는 “with what’s in here”를 해석할 때 부드럽게 의역을 시도하여 “글쎄, 어떻게 됐는지 알아?”로 번역하였다. 그러나 이를 다시 영어로 암기하거나 회상하려 했을 때 “with”라는 형태를 떠올리지 못한 것은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이는 피험자 B가 형태 “with”의 의미를 짝짓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래는 “여기(편지)에 쓰여진 것을 고려해 보면”과 같이 번역했더라면, “with”를 “considering”으로 간주하며 형태와 의미를 연결하기가 훨씬 쉬웠을 것이다. 이 사례는 형태-의미 짝짓기가 지나치게 의역된 번역으로 인해 영어의 문법적 구조를 무너뜨릴 경우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사는 의역의 허용 범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형태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형태-의미 짝짓기를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NLS를 성공적으로 습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화를 활용한 수업에서 문맥은 언어 학습의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형태와 의미를 연결하는 데 있어 중재자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은 노래와 비교할 수 있다. 노래에서 가사(형태)와 그 의미를 연결하는 데 멜로디(문맥)가 중재 역할을 하는 것처럼, 영화의 문맥적 요소도 형태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데 기여한다. 영화의 문맥은 학습자가 특정 표현을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을 익히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된다. 따라서 교사가 문맥 활용 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한다면, 학생들은 더욱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영어 학습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학생들에게 단순한 언어 습득을 넘어 문화적 맥락에서 표현의 사용을 이해하도록 돕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3.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

본 연구는 5명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 대상의 규모가 제한적이며, 실험 자료로 단 한 편의 영화만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자료의 다양성과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2개의 테스트와 2개의 보고서만 분석되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폭과 깊이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연구 대상과 다양한 자료, 그리고 다각적인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신뢰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References

Abolfazli A., Sadeghi K.. 2017;Impro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idiomatic competence: Does mode of teaching play a role? Iranian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Research 5(3):61–79. https://doi.org/10.30466/ijltr.2017.20305.
Callahan, S. (2015, January 8). The link between memory and stories. Anecdote. https://www.anecdote.com/2015/01/link-between-memory-and-stories/.
Dodgson, L. (2017, January 9). Emotions and memory: Here’s the link. World Economic Forum. https://www.weforum.org/stories/2017/01/feeling-emotional-can-improve-your-memory-when-you-least-expect- it/.
Foster P., Bolibaugh C., Kotula A.. 2014;Knowledge of nativelike selections in a L2: The influence of exposure, memory, age of onset, and motivation in foreign language and immersion setting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36(1):101–132. https://doi.org/10.1017/S0272263113000624.
Gomari H., Marshall D.. 2017;From native-like selections to English academic performance: Exploring the knowledge of English bilinguals. Iranian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Research 5(3):129–150.
Jin S.. 2022;The effects of a shadowing activity using movies on Korean EFL college learners’ speaking skills and their affective attitudes.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23(1):27–41. https://doi.org/10.16875/stem.2022.23.1.27.
Kahneman, D., & Riis, J. (2005). Living and thinking about it: Two perspectives. In F. A. Huppert, N. Baylis, & B. Keverne (Eds.), The science of well-being (pp. 285-304). Oxford University Press.
Kim D., Lee D.. 2022;Teaching English culture through movies in EFL classrooms. The Journal of Modern British & American Language & Literature 40(3):193–213. https://doi.org/10.21084/jmball.2022.08.40.3.193.
LaLumiere R. T., McGaugh J. L., Mclntyre C. K.. 2017;Emotional modulation of learning and memory: Pharmacological implications. Pharmacological Reviews 69(3):236–255. https://doi.org/10.1124/pr.116.013474.
León C.. 2016. An architecture of narrative memory. Biologically Inspired Cognitive Architectures 16p. 19–33. https://doi.org/10.1016/j.bica.2016.04.002.
Liontas J. I.. 2017;Why teach idioms? A challenge to the profession. Iranian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Research 5(3):5–25. https://doi.org/10.30466/ijltr.2017.20302.
Lloyd, P. (Director). (2008). Mamma mia! [Film]. Universal Pictures; Relativity Media; Littlestar.
Mandler J. M., Johnson N. S.. 1977;Remembrance of things parsed: Story structure and recall. Cognitive Psychology 9(1):111–151. https://doi.org/10.1016/0010-0285(77)90006-8.
Mühlbacher M.. 2022;Plotting memory. What are we made to remember when we read narrative texts? Journal of Literary Theory 6(2):239–263. https://doi.org/10.1515/jlt-2022-2024.
Nadal J. M., Monreal P., Perera S.. 2013;Emotion and linguistic diversity.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82(3):614–620. https://doi.org/10.1016/j.sbspro.2013.06.319.
Ortactepe D.. 2013;Formulaic language and conceptual socialization: The route to becoming nativelike in L2. System 41:852–865. https://doi.org/10.1016/j.system.2013.08.006.
Pawley, A., & Syder, F. H. (1983). Two puzzles for linguistic theory: Nativelike selection and nativelike fluency. In J. C. Richards & R. W. Schmidt (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pp. 191-220). Longman.
Psychology Today. (n.d.). Personal memories and nostalgia. https://www.psychologytoday.com/intl/basics/memory/personal-memories-and-nostalgia.
Shaw, C. (2013, March 19). Why your memory matters more than your experience. Beyond Philosophy. https://beyondphilosophy.com/why-your-memory-matters-more-than-your-experience-2/.
Strijbosch W., Mitas O., van Gisbergen M., Doicaru M., Gelissen J., Bastiaansen M.. 2019. From experience to memory: On the robustness of the peak-and-end rule for complex, heterogeneous experiences. Frontiers in Psychology 10Article 1705. https://doi.org/10.3389/fpsyg.2019.01705.
Swaim, E. (2022, July 10). Emoticons can affect your memory: Here’s why and how to handle it. Healthline. https://www.healthline.com/health/mental-health/how-does-emotion-impact-memory.
Tang H., Singer J., Ison M. J., Pivazyan G., Romaine M., Frias R., Meller E., Boulin A., Carroll J., Perron V., Dowcett S., Arellano M., Kreiman G.. 2016. Predicting episodic memory formation for movie events Scientific Reports, 6, Article 30175. https://doi.org/10.1038/srep30175.
Tyng C. M., Amin H. U., Saad M. N., Malik A. S.. 2017;The influences of emotion on learning and memory. Frontiers in Psychology 8Article 1454. https://doi.org/10.3389/fpsyg.2017.01454.
Yang X., Minai U., Fiorentino R.. 2018;Context-sensitiv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rivation of scalar implicature. Frontiers in Psychology 9Article 1720. https://doi.org/10.3389/fpsyg.2018.01720.
Zhang Y., Ridchenko M., Hayashi A., Hamrick P.. 2021;Episodic memory contributions to second language lexical development persist at higher proficiencie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35(2):1–6. https://doi.org/10.1002/acp.386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Three Types of Contexts

Participants Emotion (Total = 16)
Experience (Total = 12)
Structure (Total = 12)
No context used (%)
Correct (%) Partial (%) Correct (%) Partial (%) Correct (%) Partial (%)
A 16 (100) 0 (0) 12 (100) 0 (0) 12 (100) 0 (0) 0 (0)
B 11 (68.8) 5 (31.3) 10 (83.3) 2 (16.7) 10 (83.3) 2 (16.7) 0 (0)
C 12 (75.0) 4 (25.0) 6 (50.0) 6 (50.0) 10 (83.3) 2 (16.7) 0 (0)
D 8 (50.0) 7 (43.8) 7 (58.3) 2 (16.7) 4 (33.3) 2 (16.7) 10 (25.0)
E 14 (87.5) 2 (12.5) 10 (83.3) 2 (16.7) 9 (75.0) 3 (25.0) 0 (0)

TABLE 2

Results of Memorization

Participants No. of correct
No. of wrong
Incorrect context
Total = 40 (%) Emotion (%) Experience (%) Structure (%)
A 32 (80.0) 8 (20) 3 (18.8) 2 (16.7) 3 (25.0)
B 32 (80.0) 8 (20) 4 (25.0) 1 (8.3) 3 (25.0)
C 20 (50.0) 20 (50.0) 7 (43.8) 6 (50.0) 7 (58.3)
D 22 (55.0) 18 (45.0) 7 (43.8) 3 (25.0) 8 (66.7)
E 33 (82.5) 7 (17.5) 3 (18.8) 2 (16.7) 2 (16.7)

TABLE 3

Analysis of Memorization Failures

Participants No. of wrong (Total = 40) Analysis
A 8 Exclamations like “please” have an independent function in conveying the speaker’s intention, but neglecting this led to a mistake.
Words with similar meanings seemed to interfere with accurate memorization.
Somewhat unfamiliar structures made memorization difficult.
B 8 Focusing excessively on studying through paraphrasing and memorization caused significant difficulty in pairing form with meaning. For example, this led to mistakes like omitting prepositions or uninflected words, or substituting certain expressions with others.
C 20 Expressions whose meanings were not clearly understood were difficult to remember.
Focusing on specific meanings caused mistakes with expressions that were not given enough attention.
Trying to fit expressions into the context made it hard to pair form with meaning correctly.
D 18 Mistakes were mostly made in grammar.
E 7 Expressions that didn’t stay in memory couldn’t be recalled, leading to mistakes.
Expressions not already stored in our minds, such as “what the tide washed in” or “gorgeous Greeks of independent means,” were difficult to remember.

TABLE 4

Analysis of Memorization Successes

Participants No. of Correct (Total = 40) Analysis
A 32 By carefully analyzing the meaning, it became easier to memorize sentences.
For example, when a pronoun appeared, I examined what it referred to and repeatedly reviewed the sentence multiple times.
B 32 Since I considered the personality and traits of the characters while looking at the expressions, memorization was not difficult.
C 20 Expressions that were interesting were easy to remember. Since Mamma Mia! has many amusing expressions, memorization was easy.
D 22 Memorization and recall seem to depend on pairing form and meaning. When I understood the content well, the pairing worked smoothly, and there were fewer errors in memory.
However, when the pairing didn’t work, my dependence on grammar increased, leading to many mistakes.
E 33 Overall, concise sentences are easier to memorize. The utterances used in this movie appeared to be simple. Grammatical expressions commonly seen in Korean English education were also easy to memor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