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시리즈 드라마 굿 위치에 나타난 입력 기반 대화 공동체의 역할

A Study of the Role of an Input-Based Speech Community in the TV Series, Good Witch

Article information

J Eng Teach Movie Media. 2023;24(1):14-2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16875/stem.2023.24.1.14
1Lecturer,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9, Jungangdaero, Nam-gu, Daegu, 42411, Republic of Korea
정윤정,1
1강사, 대구교육대학교, 42411, 대구 남구 중앙대로 219
Corresponding author, Lecturer,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9, Jungangdaero, Nam-gu, Daegu, 42411, Republic of Korea (E-mail: ychung80@gmail.com)
Received 2023 January 15; Revised 2023 February 13; Accepted 2023 February 20.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tudy EFL students’ reaction toward the concept of a speech community reflected in a TV series. Three non-English major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Each student was provided with four different drama clips which represent four different speech communities. Speech communities provide L2 learners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knowledge that helps people socialize with others (Schmid, 2016). After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L1 translation activities which helped them to increase their awareness of what an L2 speech community i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wo tests (memorization and selection of relevant expressions) and one written interview.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eed of all three participants’ memorization was better after the given instruction and they also selected more expressions on the interview test. In the written interview, all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about the use of a speech community. Such results have potential pedagogical implications in EFL classrooms. First, the use of a speech community brings abundant context to the relevant scene to help memorization, and provides salience to expressions; consequently EFL students can pick up desirable expressions. Second, the concept of speech community can integrate both cultural and language matters simultaneously. Details will be discussed further in the paper.

Keywords: college

I. 서론

L2 학습자라면 원어민처럼 대화를 자연스럽게 하고 싶을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해외로 가서 현장에서 외국어를 직접 배우려고 한다. 해외로 간다는 말은 그 사회의 대화 공동체(speech community)로 들어가서 목표어를 배우겠다는 뜻이 된다. 다시 말하면 대화 공동체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패턴(general pattern)1 또는 관습적인 표현(conventional expressions)을 습득하겠다는 의도이다(Labov, 2012). 여기서 일반적인 패턴이란 대화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통일감을 가지고 사용하는 언어형태를 말한 것이다. 물론 대화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형태들이 유사한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간의 차이가 있는 것도 부정할 수가 없다. 그러나 대화 공동체 안에서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개개인의 언어학적 지식이 축적이 되고 궁극적으로 언어학적 관습(linguistic conventionality)이 몸에 배게 된다(Schmid & Mantlik, 2015). 목표어의 언어학적 관습을 배우는 것이 바로 목표어의 자연스러운 언어를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영어를 배우기 위한 이유로 학습자 모두가 해외에 가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비용 문제 외에도 개개인의 다양한 상황과 배경 때문에 모두에게 해외로 가는 기회가 주어질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국내에서 영어권의 대화 공동체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EFL 교실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활용한 대화 공동체 경험 기회에 대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실수업 방안을 제안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서는 대화 공동체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문제는 대화 공동체에 대한 개념과 역할에 이견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문헌들을 살펴보면 대화 공동체를 대화의 장으로 인식하는 연구들이 많다(Gilmore, 2007; Luk & Lin, 2006; Saeed 외, 2016).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화 공동체와 대화의 장을 구분하는 연구결과를 찾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측면에서 두 개의 개념을 구분하고자 한다. 전자에서는 구성원이 주민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사는 곳이고 후자에서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사람들이 모여 시간을 보내는 곳이 될 것이다. 상식적인 측면에서 보면 대화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생존 또는 생활을 위해서 공동체를 구성한 것이고 대화의 장은 지적인 유희를 위해 구성원들이 모여든 곳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대화 공동체와 대화의 장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하겠다. 언어 습득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언어를 이제 막 배우려는 사람들(예, 갓 태어난 어린이2 또는 목표어를 배우는 L2 학습자)은 공동체의 주민으로부터 언어를 배우게 될 것이다. 한편 대화의 장에서는 구성원들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언어에 대한 경험을 하고 결과적으로 학습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전자는 입력(input)이 기반이 되어 있고 후자는 출력(output)이 기반이 된 곳이다.

이 외에 문화적인 요인도 대화 공동체와 대화의 장을 구분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 대화 공동체의 주민들은 오랜 기간 동안 한 곳에 머물며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가 생활 속에 깊이 자리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에는 문화적인 요소가 융합되어 있다고 하겠다. 대화의 장은 잠시 모이는 곳이므로 문화적인 요소들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가 없다. 결국 교실을 대화 공동체로 간주할 것인지 아니면 대화의 장으로 간주할 것인지에 따라 문화지도에 차이를 보이게 된다. 대화 공동체에서는 주민들로부터 다양한 관습적인 표현을 배울 수 있다. 이 표현 안에 문화가 농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명시적으로 문화를 언급할 필요가 없다. 반대로 대화의 장에서는 문화가 토픽이 되어 강의나 토론을 하게 되면 문화는 명시적으로 언급되게 된다. 전자를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invisible culture), 후자를 눈에 보이는 문화(visible culture)라고 할 수 있겠다(Hinkel, 2014).

본 연구의 목표는 관습적인 표현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텔레비전 드라마를 사용하려고 한다. 왜냐하면 텔레비전 드라마에는 관습적인 표현을 배울 수 있는 대화 공동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텔레비전 드라마의 대화 공동체에서는 극중 인물들이 주민들이 되는 것이고 그들이 하는 발화는 다양한 관습적인 표현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화 공동체의 정의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대화 공동체 안에서 영어를 배우면 왜 자연스러운 화법을 익히게 되는지를 살필 것이다.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는 것이 L2 학습자들의 궁극적인 학습목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대화 공동체 안에서의 언어 습득을 살피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들이나 배우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관심사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이용하여 어떤 활동을 하는 것이 대화 공동체에 가깝게 접근이 되는지를 언급할 것이다.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사용하여 공부를 하고 싶은 사람들, 특히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필요한 내용이 될 것이다. 여러 교사들이 어떤 표현을 무슨 이유로 가르쳐야 하는지 몰라서 당황할 때가 많기 때문에 알아 둘 필요가 있다3 . IV. 연구 결과에서는 대화 공동체를 활용한 방식으로 학습을 하는 피험자들이 어떤 면에서 자연스러운 영어를 학습하게 되는지를 조사하게 될 것이다. 본 실험에 참여하는 피험자들은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활용하여 학습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그들이 학습하던 방식과 비교를 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실 학습에 대한 제언을 끝으로 본고를 마무리할 것이다.

II. 이론적 배경

1. 대화 공동체의 정의

사람이 모여서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대화 공동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이 모여서 공통된 관점과 믿음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할 때 대화 공동체가 되는 것이다(Morgan, 2014). 교실도 교사와 학생들이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화 공동체가 된다. 태어난 지 얼마되지 않은 유아도 엄마나 돌봄이와의 대화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물론 많은 기존 연구들의 정의들은 Morgan의 정의보다 언어학적이며 동시에 사회학적이다. Zhan(2013)이 여러 학자들을 언급하면서 대화 공동체의 연대기적 정의들을 간단하게 기술하였다(예, Fishman, 1971; Gumperz, 1968; Hymes, 1974; Kerswill, 1994; Labov, 1972; Lyons, 1970). 그러나 그들의 정의들은 본 연구의 관심을 훨씬 벗어나고 있으므로 언급을 하지 않을 것이다.

교실에서의 대화 공동체는 언급할 가치가 있다. 다시 말하면 EFL 교실이 대화 공동체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시각에 따라서 교실에서 사용하는 교수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gustine 외(2021)는 교실(대화 공동체)을 상호작용을 하면서 언어를 사용하는 장소로 보았다. 그들에게 대화 공동체는 여러 사람이 모여서 상호작용을 하는 장소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대화 공동체와 대화의 장을 하나로 보고 있는 것이다. Huriyah(2015)는 EFL 교실에서 대화 공동체는 마치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나라 같아야 한다고 말을 한다. 따라서 교실에서는 영어만 사용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화 공동체에서는 구성의 다수를 이루고 있는 주민들이 목표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지 학생들이 영어를 절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맞지가 않는다. 결국 그도 대화 공동체를 출력을 강조한 집단으로만 간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교실을 출력을 강조한 공동체로 간주하는 문헌들이 많이 있다(예, Gilmore, 2007; Luk & Lin, 2006; Saeed 외, 2016).

Kovacs(2017)는 문화의 내용이 언어를 가르치는데 커리큘럼에 들어가야 하며 교실에서 대화의 토픽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는 제2 언어를 배우는 것이 목표어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교실에서 명시적인 문화를 논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반하여 문화는 이미 생활 속에 스며들어 가 있기 때문에 문화를 언급할 것이 아니고 생활에서 문화적 가치를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는 연구도 있다. Hinkel(2014)은 문화적 가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Cultural values: ideas, world-views, attitudes, opinions, principles, and knowledge shared by members of a particular society, and not necessarily shared or understood by members of other societies. (p. 38)

이와 같은 문화적 가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라고 하였다(Hinkel, 2014). 교실에서 의식적으로 문화를 토픽으로 삼아 대화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생활 속에 젖어든 문화를 이해하여 삶을 살아나가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길을 건널 때 파란 불이면 건너고 빨간 불이면 서 있는 것을 배우는 것이 공동체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지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규칙을 지키는 과정에서 언어를 배우는 것이 대화 공동체에서의 언어 학습이 된다. 예를 들어 빨간 불에 건너려고 했을 때 대화 공동체의 구성원이 ‘빨간 불에는 건너가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해 준다면 그 구성원이 해 준 말이 하나의 입력으로 작용하여 언어학습은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대화 공동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를 기본으로 한 집단이 될 것이다.

2. 대화 공동체와 언어 발달

L1을 배우는 어린이들의 공간은 대화 공동체이다. 태어나면서 엄마나 유모와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언어를 배워 나간다. 엄마(유모)-L1 유아 사이에서 만들어진 공동체에서 태어난 어린이는 언어를 배우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린이에게 공동체는 언어를 발달시킬 수 있는 입력을 제공해주는 원천이 될 것이다. 다음은 Tomasello(2008)의 말이다.

In the months around their first birthdays, and before they begin acquiring language in earnest, most infants in Western culture begin pointing, with some evidence that this is a widespread, if not universal, pattern cross-culturally…. Our central question initially is the degree to which, and the ways in which, infant pointing shares all the social-cognitive complexities of the adult version of this communicative gesture, as just elaborated. Also of interest, of course, are infants’ iconic gestures. (p. 111)

위는 아직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어린이들이 어떻게 손가락을 이용해서 자신의 의도를 가리키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Tomasello(2008)는 어린이는 성인들이 사용하는 동작(gesture)을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는 상태로 보고 있다. 그의 예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어린이는 살아남기 위해서 손가락 동작을 통하여 원하는 바를 엄마나 유모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 동작은 성인들에게서 단서를 얻은 것으로 봐야한다.

이 공동체가 EFL 교실에 시사하는 바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어린이는 대화 공동체에서 주인공의 역할을 수행한다. 배가 고프면 먹을 것을 달라고 동작을 취할 것이다.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인 엄마나 유모는 그의 동작을 보면서 의미하는 바를 익혀야 한다. 그래야 다음 번 어린이의 요청에 쉽게 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어린이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대화전략(예, 손가락 가리키기)을 사용한다. 상대에게 알리는 것이 절실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공동체에서 어린이가 주체가 되고 있기 때문에 엄마나 유모는 가급적 이해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L1 공동체를 L2 환경에서 기대하기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어린이는 공동체의 보호를 받고 있지만 L2 학습자는 어린이와 같은 보호는 전적으로 기대하기 힘들다. 그리고 대화 공동체와 L2 발달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연구한 문헌도 찾기가 힘들다. 그런데 Timpe-Laughlin(2016)이 L2 화용론의 발달과 관련된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대화 공동체와 가까운 이론을 기술하고자 한다.

Lantolf와 Thorne(2007)은 언어발달과정은 문화적, 언어학적 그리고 역사적으로 형성된 환경에 참여를 할 때 일어난다고 하였다. 여기서 환경이 곧 대화 공동체이다. 그리고 환경은 가족, 동년배 상호작용을 가리킨다. 이 과정에서 가르치는 사람(부모, 교사, 공동체에 오래 산 구성원 등)과 배우는 사람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Vygotsky, 1986).

대화 공동체에 들어가면 자연스런 표현들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은 대화 공동체가 영어의 사회적 그리고 화용론적인 차원의 언어를 사용한다는 뜻일 것이다(Schmid, 2016). Schmid, 2016에 따르면 언어 사용자 또는 L2 학습자는 대화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의 발화에 노출됨으로써 언어학적인 루틴 또는 관습적인 표현을 배우고 언어학적 지식을 습득한다고 한다. 다만 교실에서 문화적, 언어학적 그리고 오랜 세습과 같은 가족이나 교육 기관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택한 방법은 사례연구이다. 개개의 학생들이 대화 공동체에 대한 자각력을 가질 수 있는지 살피는 것이기 때문에 소수의 인원이 관찰과 조사에 효과적이라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자각력에 대한 판단은 피험자들이 선택하는 표현들로부터 자각력의 형성을 추론할 수 있다고 본다.

교수자는 자각력을 키워주기 위하여 강의를 한다. 상황에 따라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알려 주고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면을 통하여 어떤 발화들이 언급한 가치와 부합되는지를 설명을 한다. 예를 들어 그 공동체가 여성의 권리를 타당한 가치로 여기고 있다면 피험자들은 여성이 말을 하는 과정에서 그 권리를 표현하는 발화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만약 피험자들이 관련된 표현들을 발견하게 된다면 그 표현들은 피험자들에게 현저성(salience)을 가진 것들이 될 것이다. 암기 활동을 시켰을 때 현저성이 높은 표현들은 암기와 기억을 쉽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피험자들의 언어 학습에 효과가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믿는다.

2. 연구 대상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모두 3명의 공대생들이다. 남학생 2명과 여학생 1명이다. 이들의 영어 능력은 토익 점수로는 700점대이다4 . 따라서 영어 능력이 토익의 관점에서 중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피험자들의 출석이 제일 중요하다. 복습과 예습보다 출석을 중요시 여기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피험자 3명 모두 매 실험에 참석하였다. 한 명이라도 출석을 못할 때는 날짜를 바꾸어 실험을 하였다. 남학생 A는 가장 성실하다. 복습은 부족하지만 예습은 충실하게 준비를 해 온다. 남학생 B는 복습과 예습 모두 거의 해 오지 않는다. 그러나 실험에서 활동을 할 때는 열심히 참여를 해서 결과를 끌어내는 데는 지장이 없었다. 여학생 C는 복습은 하지 않고 대신 예습은 해 오는 편이다. 텔레비전 드라마가 자막이 있어서 예습을 주로 자막에 의존해서 한다.

피험자들이 수업 준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만 활동을 하는 것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을 해석하는 활동에서는 교사가 감독을 철저히 하기 때문에 예습에 상관없이 피험자들을 활동에 참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석만 해 주면 실험은 가능했기 때문에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적합한 학생들이라고 판단된다.

3. 교재

본 실험에서 사용한 교재는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굿 위치(Good Witch, Lynd, 2015) 시즌 1, 에피소드 2이다. 이 텔레비전 드라마를 선택한 이유는 대화 공동체에 대한 자각력을 키우는데 적절하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대화 공동체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힘을 자각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굿 위치의 배경은 작은 마을 미들톤(Middleton)이다. 미들톤이라는 타운은 실제로 존재하는 장소는 아니다. 실제로 촬영은 캐나다, 온타리오(Ontario) 주에 속해 있는 해밀톤(Hamilton)이다. 물론 이곳에서만 촬영한 것은 아니지만 주로 해밀톤을 배경으로 하였다(Roy, 2020).

허구 속에서 존재하는 미들톤은 작은 마을로 마을 전체가 하나의 대화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주인공 캐시(Cassie)를 중심으로 마을 사람들이 캐시의 따스한 마음에 하나로 뭉쳐서 생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마을에 샘(Sam)이라는 의사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캐시의 차를 마시면서 건강을 유지하였고 현대의학에 대한 불신으로 한 동안 샘을 멀리하기도 한다. 이 마을 사람들의 의사에 대한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이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하나의 커다란 대화 공동체 안에서 여러 개의 작은 대화 공동체로 나뉜다. 대화 공동체 안에서 언어가 어떻게 사용이 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적합한 텔레비전 드라마로 사료되어 교재로 선택하였다.

4. 절차 및 활동

본 연구를 위한 실험은 일주일에 한 번을 시행하고 한 번에 1시간에서 1시간 30분 동안 진행하였다. 총 3개월동안 시행을 하였다.

목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 활동은 강의이다. 교사는 대화 공동체가 무엇인지를 설명을 한다. 교사는 대화 공동체와 대화의 장의 차이를 설명하여 대화 공동체가 갖추어야 할 기준을 강조한다. 구성원이라는 측면에서 전자는 구성원들이 오랜 시간동안 머문 곳이다. 반면에 후자는 구성원들이 잠시 모였다가 해산하는 곳이다.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두 개념은 같다고 볼 수가 없다. 대화 공동체는 구성원들이 그 곳의 주민이다. 언어적으로 원어민이다. 대화의 장의 구성원들은 이해 관계로 잠시 모인 것이기 때문에 굳이 원어민일 필요가 없다. 언어 활동적인 측면에서도 두 집단은 다르다. L2 학습자가 대화 공동체에 들어가면 입력 활동(input activities)이 주가 된다. 주민들이 하는 말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언어를 배우는 것이다. 대화의 장은 반대로 출력 활동(output activities)을 하는 곳이다. 아젠다를 가지고 서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활동은 해석이다. 해석은 화용론적으로 L1에 적절하도록 진행을 한다. 구체적으로 언급을 하자면 일단 해석을 하고 그 해석이 우리의 어법에 맞는지 판단을 하게 한다. 맞으면 화용론적인 해석이 된 것이다. 사용 기반 접근(usage-based approach)에서는 언어학적 단위는 형태와 의미가 짝지어진 것이다. 이 때의 의미는 사전적인 의미가 아니고 문맥적으로 적합한 의미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L1의 화용론적인 어법에 맞아야 의미가 될 것이다. 이 활동에서 화용론적인 해석을 하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므로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intervention)은 필요할 것이다.

세 번째 활동은 암기이다. 교사가 강의를 하고 교사와 피험자들이 형태와 의미 짝짓기를 끝내면 암기를 한다. 암기 장면은 모두 4개이다(Appendix 참조). 암기는 단순히 기억만을 하는 활동이 아니다. 암기를 위해서는 반복적인 시도가 필요하므로 암기가 끝나고 나면 형태와 의미의 짝짓기가 완성이 되는 것이다.

네 번째 활동은 관습적인 표현을 찾아내는 일이다. 제일 중요한 활동이라고 하겠다. 두 번째 번역 활동과 연계가 되는 활동이다. 문장을 번역하고 그 번역이 우리말의 어법과 맞으면 그 문장은 관습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어느 것이 관습적인 표현인지 판단을 하지 못하는데 이런 방식은 관습적인 표현을 쉽게 찾게 해 준다. 또한 피험자들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면들을 각각 하나의 대화 공동체로 간주하고 이 집단의 가치관이 무엇인지를 파악을 한다. 피험자가 결정한 가치관에 해당되는 표현들을 선택을 한다.

모든 활동을 종료한 후 피험자 소견을 한다. 피험자들이 느끼는 것이 연구자의 의도나 기대감 못지 않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피험자들은 과거 그들이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를 활용한 경험과 이번 활동의 참여를 비교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5. 평가

본 사례 연구는 지극히 주관적인 작업이어서 수치를 가지고 평가를 하는 것은 삼간다. 피험자들이 장면마다 느끼고 있는 점들을 비판 없이 받아들일 뿐이다. 사례 연구에서 보고자 한 것은 대화 공동체에 대한 자각력이 그들이 장면에서 표현을 선택하는 작업에 얼마나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가를 관찰할 뿐이다.

대신 피험자들이 본 사례 실험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한다. 그들이 평소에 학습하던 것, 즉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가지고 학습하던 것과 실험에서의 학습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서면으로 언급하도록 하였다.

IV. 연구 결과

1. 실험 전후 암기 테스트 결과 및 분석

위의 Table 1에서 보듯이 피험자 A는 실험 후의 암기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일반적으로 암기를 하려면 암기 내용의 줄거리를 잘 알고 있어야 하는데 대화 공동체의 개념이 피험자 A에게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est Result of Participant A

4개의 장면에 담긴 발화의 수는 장면 1, 3, 그리고 4는 13개이고 장면 2만 16개이다. 장면의 내용은 1번은 자녀 교육과 관련된 것이고 2번은 축제 준비하는 과정이고 3번은 병원에서 환자를 보는 것이고 4번은 연애 조언을 받는 것이다. 장면에 친숙한 정도는 대략적으로 4 → 1 → 3 → 2로 될 것 같다.

피험자 A의 암기 속도를 보면 대화 공동체에 대한 강의를 받기 전에는 1 → 4 → 3 → 2로 되어 있다. 강의를 받고 나서도 같은 순서가 유지되고 있다. 1번의 자녀 교육이 4번의 연애 조언보다 친숙한 장면이었나 보다. 대화 공동체의 강의를 받기 전과 받은 후가 암기 속도에 변화는 주었으나 속도 순서에는 변화를 주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

위의 Table 2에서 보듯이 피험자 B의 경우를 보면 강의를 받기 전의 순서가 1 → 4 → 3 → 2 이었다. 놀랍게도 피험자 A와 같은 순서를 보이고 있다. 강의를 받고 나서는 4 → 1 → 3 → 2로 변화가 있었다. 2번과 3번은 특정한 상황이어서 변화가 없었으나 1번과 4번은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대화 공동체이어서 순서가 바뀌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을 것이다.

Test Result of Participant B

사실 장면마다 사용된 어휘나 표현이나 문법이 별 차이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기 속도에 차이를 보여준 것은 낯선 정도가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사용된 언어보다 장면의 내용이 학습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보인다.

위의 Table 3에서 보듯이 피험자 C는 강의 전의 속도가 4 → 3 → 1 → 2이다. 축제 준비의 상황은 모든 피험자들에게 암기가 쉽지 않은 것이 분명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4번이다. 피험자 C는 여학생이었는데 4번의 내용이 연애와 관련되어 있어서 그녀에게 친숙하게 다가간 것 같다. 그러나 실수의 측면에서는 4개나 되었고 심지어는 한 문장은 생략을 하는 실수를 했다. 친숙한 내용이라 서둘러 암기를 한 것이 실수의 요인이 아니었나 추측해 본다. 다른 하나는 3번의 병원이다. 여기에서는 병과 관련된 어휘들이 여러 개가 나왔는데도 특수한 어휘가 없는 1번보다 1초 빨리 암기를 했다. 실수도 2번의 병원에서는 한 개 밖에 없던 것이 피험자 C의 특수한 관심을 암시해 주는 것 같다.

Test Result of Participant C

강의를 받고 나서는 전체적으로 암기 속도가 빨라졌다. 그러나 순서에서는 4 → 1 → 3 → 2이었고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요약하여 보면 친숙한 장면, 즉 친숙한 대화 공동체가 학습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2번과 같은 낯선 축제와 관련된 대화의 암기는 모든 피험자들이 힘들어 했다. 1번이나 4번과 같은 대화 공동체에서는 암기를 쉽게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피험자 A는 대화 공동체 강의를 받은 후 암기 속도가 전광석화와 같았는데 강의가 내용의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암기에 도움을 준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실험 전후 대화 공동체 인식 변화에 대한 결과 및 분석

이번에는 강의를 받기 전과 받은 후의 대본의 발화를 바라보는 태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치관 도입(instruction value)’은 대화 공동체가 어떤 통념을 가지고 있는지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지면 관계상 각 번호 마다 첫 번째 것만 제시한 발화를 보여주고 나머지는 개수 만을 괄호에 언급하였다.

위의 Table 4에서 보듯이 1번의 공동체에서 피험자 A는 4개의 표현이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강의를 받고 나서는 5개의 표현이 관련이 있다고 기술하였다. 2번에서는 강의 전에는 3개의 표현을 제시하였는데 강의를 받고 나서는 7개의 표현을 제시하였다. 낯선 공동체가 되어서 처음에는 어떤 표현을 골라야 할 지 몰랐다가 강의를 받고 나서는 2번의 공동체에서의 가치관도 언급을 하고 표현도 4개를 추가하는 발전을 보였다. 3번은 병원이다. 강의를 받기 전이나 받은 후에도 선택한 표현들은 변함이 없었다. 병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언어 표현은 분명하기 때문일 것이다. 4번에서 연애와 관련된 조언을 받는 상황에서도 특별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 것 같다. 모두 3개의 표현을 골랐기 때문이다.

Analysis of Participant A’s Speech Community

이번 분석에서는 대화 공동체가 언어 표현에 대한 현저성을 높여 주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현저성이란 예를 들면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 무리에서 한 사람이 노란 옷을 입고 있다면 그 노란 옷은 쉽게 눈에 띈다. 이것을 현저성이라고 한다(Ellis, 2016). 이와 같은 현저성이 대화 공동체를 경험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피험자 A는 장면 1과 장면 2에서 선택한 표현의 수가 늘었다. 대화 공동체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눈에 보이는 표현들이 증가했다는 뜻일 것이다. 이와 같이 공동체와 친숙하면 어떤 표현들이 상호작용에서 사용되는지 기대하게 된다(Boswijk & Coler, 2020).

위의 Table 5에서 보듯이 피험자 B는 장면 1과 장면 2 그리고 장면 3에서 대화 공동체에 대한 강의를 듣고 나서 선택한 표현의 수를 늘렸다. 2번과 같이 낯선 상황에서는 대화 공동체를 이해하고 나서 선택하는 표현들을 완전히 바꾸는 모습을 보였다. 낯선 상황이라 어떤 표현들이 예측이 가능한 것인 지를 모르고 있다가 강의를 들은 후 예측이 가능한 표현들을 짐작하게 된 것이다. 장면 3도 유사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장면이 병원이라 예측이 가능했을 텐데 피험자 B가 예측한 것 보다 예측의 범위가 넓었다. 예를 들면 병원이다 보니 증상들이 당연히 나오게 되어 있었는데 피험자 B는 증상은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표현에만 관심을 두었던 것이다. 증상들을 선택하다 보니 선택의 폭이 당연히 넓어질 수밖에 없었다.

Analysis of Participant B’s Speech Community

위의 Table 6에서 보듯이 피험자 C는 장면 1에서 강의를 듣고 난 후 오히려 선택한 표현의 수가 줄어 들었다. 이 외에 다른 장면들에서는 표현의 수가 증가를 하였다. 특히 장면 3(병원)에서는 강의 전 3개의 표현이 강의 후에 6개로 증가를 했다. 강의를 듣고 나서 대화 공동체에 대한 개념이 자리를 잘 잡은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것은 장면 4(연애 상담)이다. 피험자 A와 피험자 B와 비교를 해 보면 피험자 C가 상대적으로 많은 표현들을 선택을 했다. 피험자 A는 3개, 피험자 B는 2개이지만 피험자 C는 4개의 표현을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피험자 C가 여성이어서 연애에 대한 관심이 더 높지 않았는가 추측을 해 본다.

Analysis of Participant C’s Speech Community

요약하여 보면 대화 공동체의 개념에 대한 지도는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강의 전과 강의 후에 선택한 표현의 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대화 공동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표현들을 바라보는 현저성을 높여 준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리고 대화 공동체에 대한 지도는 낯선 장면을 친숙하게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장면 2는 모두에게 낯선 상황이었는데 강의를 접하고 나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을 보면 교실에서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이용을 할 때 교사는 낯선 장면들에 대한 문화적인 소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3. 대화 공동체 사용에 대한 피험자 소견들

실험을 하고 나면 피험자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교사의 입장과 학생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질문은 “평소 영어학습시 텔레비전 드라마를 사용한 방식과 이번 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였다.

위의 Table 7에서 보듯이 피험자 A는 대화 공동체의 개념을 이해하게 되면서 자신의 학습 방식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느낀 것 같다. 예전에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이용하던 때와 다르게 극중 인물에 대한 관심도 가져야 하고 어떤 장면이 자신에게 필요한 곳인지를 판단도 해야 한다고 언급을 하였기 때문이다. 동시에 대화 공동체에 지나치게 관심을 보이는 것은 언어 학습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것을 보면 피험자 A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법이 새로운 것은 인정하지만 전적으로 믿고 따를 수만은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Participants’ Comments on Speech Community

피험자 B는 대화 공동체를 활용한 방식이 자신에게 잘 맞는다고 본 것 같다. 대화 공동체 개념은 사용된 표현들에 풍부한 문맥을 제공하여 암기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화 공동체 개념이 표현마다 사용된 이유를 확실하게 보여주어서 자신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 있었다.

피험자 C는 3개의 이유를 들면서 대화 공동체 개념을 활용한 학습은 좋은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영화를 보는 시각이 달라졌다는 것은 대화 공동체 개념을 교실에 적용하려는 교사들에게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여 보면 피험자 B와 피험자 C에게는 대화 공동체 개념의 활용이 학습에 긍정적으로 작용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피험자 A는 새로운 학습법은 인정하지만 전적으로 동의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면에서 볼 때, 본 실험이 참여한 피험자들에게는 어느 정도 만족감을 주었기 때문에 교실에서 사용할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V. 결론

본 연구의 출발점은 학생들이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활용했을 때 어떤 표현들 중심으로 학습을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부터이다. 교실에서 영화를 사용할 때는 학생들에게 지도하는 표현들이 통일감을 줄 필요가 있다. 모든 학생들이 수긍하는 표현들이어야 지도가 가능하고 평가도 타당해질 것이다.

대안으로 제시한 것은 대화 공동체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대화 공동체는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되는 표현들로 모여진 집합체이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이라는 대화 공동체에 들어가면 이 안에서 사용되는 표현들의 공통점이 있을 것이다. 물건을 사고 파는 행위, 물건 값을 계산하는 행위, 찾고자 하는 물건의 위치를 점원에게 묻는 행위 등 예상이 가능한 표현들이 있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표현들을 중심으로 지도를 한다면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한 지도가 될 것이다.

3명의 피험자들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테스트를 하였다. 첫 번째는 암기였다. 대화 공동체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지도하기 전과 지도한 후로 나누어 암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한 것이다. 결과는 지도 후에 암기 속도가 모두 빨라졌다. 같은 장면을 암기를 하였으므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 테스트에서 주목한 것은 낯선 대화 공동체와 친숙한 대화 공동체에 대한 것이었다. 장면 2와 같은 공동체는 피험자 모두에게 낯선 것이었는데 대화 공동체에 대한 지도를 받아도 속도면에서 다른 장면들보다 늦었다. 이 결과는 교사들이 장면을 선정할 때 좋은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학생들이 친숙하게 느끼는 장면을 수업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두 번째 테스트는 각 장면마다 눈에 들어오는 표현들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 역시 강의 전과 강의 후로 나누었다. 대화 공동체의 개념을 이해한 다음에는 전보다 많은 표현들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 역시 교사들에게 주는 암시가 있다고 하겠다. 교사는 장면마다 관련된 대화 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배경지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언제 어디에서 문화교육을 시켜야 하는 지는 방향을 잘 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화 공동체의 개념을 받아들이면서는 관련된 문화를 지도하는 것이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대화 공동체에 대한 강의는 학생들이 영화 표현에 대한 현저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강의 후에 선택한 표현의 개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설문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피험자 3명 모두 대화 공동체를 활용한 학습법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피험자 B의 호응이 제일 높았고 다음은 피험자 C 그리고 마지막은 피험자 A였다. 모두 암기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특히 영화를 바라보는 태도에 변화가 있었다고 했다. 이는 연구목표가 교실에서 긍정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추후에는 30명 이상의 실험을 통해 대화 공동체 개념의 활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은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를 효율적으로 학습에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실험이 끝난 후 피험자들이 선택한 표현들에 대한 이유와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할 지를 이해하게 된 것이 방안 제시에 대한 보람이라고 하겠다. 더욱이 대화공동체 개념을 이용한 것이 그들로 하여금 영화나 드라마를 언어를 사용한다는 관점에서 보게 한 것이다.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가 영어 학습교재로서의 타당성을 충분히 갖추었다는 믿음도 한층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추후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 EFL 교실에서 영화나 드라마가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재가 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Notes

1

일반적인 패턴은 ‘canonical pattern’을 가리킨다.

3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활용한 연수 교육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들이다.

4

피험자들이 정확한 점수 공개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5

Time은 피험자들이 암기하는데 소요한 시간이다.

References

1. Agustine S., Asi N., Luardini M. A.. 2021;Language use in EFL classroom interaction: A sociolinguistic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Education 5(4):372–381. https://doi.org/10.26858/ijole.v5i4.23598.
2. Boswijk V., Coler M.. 2020;What is salience? Open Linguistics 6(1):713–722. https://doi.org/10.1515/opli- 2020-0042 .
3. Ellis N. C.. 2016;Salience, cognition, language complexity, and complex adaptive system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38(2):341–351. https://doi.org/10.1017/S027226311600005X.
4. Fishman, J. A. (1971). Sociolinguistics: A brief introduction. Newbury.
5. Gilmore A.. 2007;Authentic materials and authenticity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Language Teaching 40(2):97–118.
6. Gumperz J. J.. 1968. The speech community. In D. L. 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pp. 381-386). Macmillan.
7. Hinkel E.. 2014;Culture and pragmatics i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4:1–38.
8. Huriyah H.. 2015;Implementing speech community strategy to enhance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Indonesian EFL Journal 1(2):150–169.
9. Hymes D.. 1974;Ways of speaking. Explorations in the Ethnography of Speaking 1:433–451. https://doi.org/10.1017/CBO9780511611810.029.
10. Kerswill P.. 1994. Dialects converging: Rural speech in urban Norway. Clarendon Press.
11. Kovacs G.. 2017;Culture in language teaching: A course design for teacher trainees. Acta Universitatis Sapientiae, Philologica 9(3):73–86. https://doi.org/10.1515/ausp-2017-0030.
12. Labov W.. 1972. Sociolinguistic patterns (Conduct and communication, 4).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3. Labov W.. 2012;What is to be learned. The community as the focus of social cognition. Review of Cognitive Linguistics 10(2):265–293. https://doi.org/10.1075/rcl.10.2.02lab.
14. Lantolf J. R., Thorne S. L.. 2007. Sociocultural theor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In : van Patten B., Williams J., eds. Theor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 201–224. Lawrence Erlbaum.
15. Luk J., Lin A. M.. 2006. Classroom interactions as cross-cultural encounters: Native speakers in EFL less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 Lynd, L. (Director). (2015, March 7). Running scared (Season 1, Episode 2) [TV series episode]. In C. Pryce & S. Tenney (Creators), Good witch. Whizbang Films.
17. Lyons, J. (Ed.). (1970). New directions in linguistics. Penguin.
18. Morgan M. H.. 2014. Speech communities. Key topics in linguistic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Roy, T. (2020, June 5). Good witch filming locations that will surprise you - Hamilton, Cambridge, and more. Republic TV. https://www.republicworld.com/entertainment-news/web-series/good-witch-filming-locationsand-updates-on-the-new-season.html.
20. Saeed K. M., Khaksari M., Eng L. S., Ghani A. M. A.. 2016;The role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 in the development of speaking skills.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6(2):235–251.
21. Schmid H.-J.. 2016;Why cognitive linguistics must embrace the social and pragmatic dimensions of language and how it could do so more seriously. Cognitive Linguistics 27(4):543–557. https://doi.org/10.1515/cog-2016-0048.
22. Schmid H.-J., Mantlik A.. 2015;Entrenchment in historical corpora? Reconstructing dead authors’ minds from their usage profiles. Anglia 133(4):583–623. https://doi.org/10.1515/gcla-2015-0002.
23. Timpe-Laughlin V.. 2016;Learning and development of second and foreign language pragmatics as a higher-order language skill: A brief overview of relevant theories. ETS Research Report Series 2016(2):1–8. https://doi.org/10.1002/ets2.12124.
24. Tomasello, M. (2008). Origins of human communication. MIT Press.
25. Tomasello M., Carpenter M., Call J., Behne T., Moll H.. 2005;Understanding and sharing intentions: The origins of cultural cognition.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8(3):675–735. https://doi.org/10.1017/S0140525X05000129.
26. Tomasello M., Carpenter M., Lizskowski U.. 2007;A new look at infant pointing. Child Development 78(3):705–722.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1025x.
27. Vygotsky,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28. Zhan C.. 2013;Speech community and SLA.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and Research 4(6):1327–1331. https://doi.org/10.4304/jltr.4.6.1327-1331.

Appendice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Test Result of Participant A

Scene Before instruction After instruction
Time5 Error Time Error
1 50 sec. 0 30 sec. 1
2 1 min. 27 sec. 2 1 min. 2 sec. 1
3 1 min. 9 sec. 0 47 sec. 0
4 1 min. 4 sec. 0 38 sec. 0
5

Time은 피험자들이 암기하는데 소요한 시간이다.

Table 2.

Test Result of Participant B

Scene Before instruction After instruction
Time Error Time Error
1 52 sec. 0 44 sec. 1
2 1 min. 27 sec. 1 1 min. 13 sec. 1
3 1 min. 5 sec. 2 59 sec. 1
4 1 min. 1 41 sec. 1

Table 3.

Test Result of Participant C

Scene Before instruction After instruction
Time Error Time Error
1 1 min. 29 sec. 3 1min. 6 sec. 1
2 2 min. 6 sec. 6 1 min. 30 sec. 3
3 1 min. 28 sec. 1 1 min. 18 sec. 0
4 1 min. 2 sec. 5 50 sec. 1

Table 4.

Analysis of Participant A’s Speech Community

Scene Instruction Description of each speech community Expressions Instruction values
1 Before Neighbors’ children in their puberty -I’ll send him home. None
-Nah, It’s okay.
-It’s not like he’s roaming the streets.
-He’s got adult supervision from an adult he actually likes.
After Neighbors’ children in their puberty -I’ll send him home. -Meaning of visiting neighbor’s children
-Nah, It’s okay. -Being grounded is a strict form of penalty.
-It’s not like he’s roaming the streets. -Grounded penalty is still valid even though the child is with the neighbor’s adult.
-He’s got adult supervision from an adult he actually likes.
-He’s grounded.
2 Before In company (boss and employees) Presented 3 expressions None
After Getting ready for a festival Added 4 more expressions in “Before instruction” -The Mayor has interest in the town’s future and the police chief is interested in the day of festival.
3 Before Hospital Presented 7 expressions None
After Clinic Expression was the same as “Before instruction”. -Being friendly to patience as a doctor
-Telling the doctor about their symptoms
4 Before Advice Presented 3 expressions None
After Dating advice Expression was the same as “Before instruction”. -A cautious consulting
-Nice and motivational consultant

Table 5.

Analysis of Participant B’s Speech Community

Scene Instruction Description of each speech community Expressions Instruction values
1 Before Neighborhood -I’ll send him home. None
-It’s not like he’s roaming the streets.
-He’s got adult supervision from an adult he actually likes.
After Education for a puberty child Puberty -I’ll send him home. None
-It’s not like he’s roaming the streets.
-He’s got adult supervision from an adult he actually likes.
-He’s grounded.
2 Before Event organizer and coordinator 3 expressions were presented. None
After Event organizer and coordinator 3 expressions were added and only one expression from “Before instruction”. None
3 Before Doctor and patient 3 expressions were presented. None
After Doctor and patient 3 expressions were added and 2 expressions from “Before instruction”. None
4 Before Consultant and consultee 2 expressions were presented. None
After Trouble consulting Expression was the same as “Before instruction”. None

Table 6.

Analysis of Participant C’s Speech Community

Scene Instruction Description of each speech community Expressions Instruction values
1 Before Neighborhood -He’s grounded. None
-I’ll send him home.
-He’s got adult supervision from an adult he actually likes.
After Neighborhood 1 expression was added, and only one expression from “Before instruction”. -Being grounded
-Runaway
2 Before In company (Boss and employees) 2 expressions were presented. None
After Company community 2 expressions were added, and only one expression from “Before instruction”. -Different perspective of the festival
3 Before Doctor & patient 3 expressions were presented. None
After Clinic 3 expressions were added, and 3 expressions from “Before instruction”. None
4 Before Advice 2 expressions were presented. None
After Advice 2 expressions were added, and 2 expressions from “Before instruction”. None

Table 7.

Participants’ Comments on Speech Community

Participant Comments
A Became more active in learning through movies.
I began to understand that movie’s speech community is needed for myself.
Showing interest in movie characters is something I really needed too.
However, specifying too much of the speech community wasn’t a good idea when trying to focus on studying.
B Before considering about speech communities, memorizing expressions and vocabularies were meaningless. I couldn’t use them well enough in speaking or writing. However, after considering the concept of speech communities, each expression started to have meaning in specific situations which made it easier to memorize and use. I believe that in the future I can memorize better with knowing the concept of speech communities.
C First, speech community helps with memorizing expressions.
Second, speech community helps with studying English.
Third, speech community changes the perspectives when watching a mov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