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경관의 영어 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멀티미디어 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 예비 교사 활동 분석*

Pedagogical Potential of Linguistic Landscape for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tivities in a Multimedia English Course*

Article information

J Eng Teach Movie Media. 2022;23(3):64-8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ugust 31
doi : https://doi.org/10.16875/stem.2022.23.3.64
1Assistant professor, Dept. of English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9 Jungangdaero, Nam-gu, Daegu, 42411, South Korea
장인철,1
1조교수, 대구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42411, 대구 남구 중앙대로 219
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Dept. of English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9 Jungangdaero, Nam-gu, Daegu, 42411, South Korea (E-mail: icjang@dnue.ac.kr)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 2020S1A5A8044430). 논문의 일부는 16차 STEM 우수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및 운영 사례에서 발표되었음
Received 2022 July 15; Revised 2022 August 15; Accepted 2022 August 24.

Trans Abstract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linguistic landscape in sociolinguistic studies, many language educators and researchers have begun to consider how the sociolinguistic concept and analytic methods can be mobilized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o explore the pedagogical potential of linguistic landscape, this study examines how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 and implications of linguistic landscape for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35 South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aking a multimedia English course attended a session about linguistic landscape and engaged in two activities using multimedia resources and online platforms: a virtual linguistic landscape task and a linguistic landscape fieldwork project.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outcomes of these two activities revealed that linguistic landscapes helped pre-service teachers increase their language awareness of public language use. However, their engagement with language awareness was affected by the spaces they chose to collect public signs. In their reflections on the activities, the pre-service teachers indicated that linguistic landscapes could be valuable resources for authentic English and cultural learning. They also stated that the levels of linguistic difficulty and cultural contents of public signage should be controlled. This article concludes by discussing how linguistic landscap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nglish teachers’ critical language awareness.

Keywords: primary; tertiary

I. 서론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에는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지(sign)가 전시되어 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학교 공중 화장실 입구에 부착된 Figure 1과 같은 표지를 지나칠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남자 화장실로 인식한다. 표지에 대한 규범적인 인식은 기호가 가진 사회적 의미와 이에 대한 우리의 사회문화적 지식 때문이다. 남성을 표상한 도상과 파란색은 남성성에 대해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지식이다. Figure 1의 표지에는 한국어와 영어가 병기 되어있다. 하지만, “남자화장실”의 정확한 영문 번역은 “man’s toilet”이 되어야한다는 점에서, 사용된 한국어와 영어 단어는 엄밀히 말해 그 의미가 동일하지 않다. 물론 이러한 불일치가 해당 표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화장실 앞이라는 공간적 맥락에서 “MAN”은 “man’s toilet”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 표지에서 보다 흥미로운 단어는 아래 부분에 인쇄된 “Braille”이다. 이 단어의 의미를 모를 수 있지만 단어 아래 각인된 점자에 주목하면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그런데 점자를 이용하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 해당 단어를 보지 못할 수도 있고, 볼 수 있다 하더라도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병기할 필요는 없다. “Braille”이라는 단어는 사용과 의도가 어긋나는 사례이다. Figure 1의 표지는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게시물이지만, 그 속에서는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자원과 사회문화적 지식이 배치되고 경합한다.

FIGURE 1

Public Washroom Sign

위와 같이 공공 장소에 전시된 표지가 가지는 언어적, 사회문화적, 공간적 의미와 특징을 연구하는 영역을 언어 경관(linguistic landscape)이라 한다(Ben-Rafael, Shohamy, Amara, & Trumper-Hecht, 2006; Jaworski & Thurlow, 2010; Landry & Bourhis, 1997; Shohamy & Gorter, 2009). 언어 경관 연구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이론적 토대와 실증 연구에 있어 그 깊이와 다양성을 더해가며 사회언어학의 중요한 하위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언어 경관에 대한 사회언어학 연구는 공공 장소의 표지에 사용된 언어 선택, 의미, 화용에 관심을 가진다. 언어 교육 분야에서 공공 장소의 표지에 등장하는 언어를 언어 교육의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생각을 하기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사회언어학 개념으로 제안되고 발전된 언어 경관을 교육 영역으로 전유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과업 구성 전략이 필요하다(Kim, 2017; Kim & Chesnut, 2020; Rowland, 2013; Sayer, 2010). 최근 언어 경관의 개념과 방법론을 언어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언어 경관 과업을 실제 구성하고 실행해야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언어 경관에 관한 수업을 진행한 후 언어 경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초등 영어 수업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영어 강의에서 언어 경관 활동을 포함시켜 예비 교사들의 활동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사 교육에서 언어 경관 개념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할 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언어 경관의 정의

Landry와 Bourhis(1997)는 지리학과 사회학에서 논의되던 공공 장소에서의 언어 사용 양상을 사회언어학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언어 경관 경험이 민족언어의 생명력(ethnolinguistic vitality), 즉, 특정 지역에서 어떤 언어가 유지, 발전될 가능성을 인식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캐나다 프랑스어 화자를 대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언어 경관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The language of public road signs, advertising billboards, street names, place names, commercial shop signs, and public signs on government buildings combines to form the linguistic landscape of a given territory, region, or urban agglomeration. (Landry & Bourhis, 1997, p. 25)

Landry와 Bourhis(1997)의 연구 이후 언어 경관 연구는 질적인 면과 양적인 면 모두에서 발전하며, 2015년에는 Linguistic Landscape: An International Journal이라는 국제 학술지가 창간될 정도로 사회언어학의 주요 연구 영역으로 자리잡는다. Linguistic Landscape 창간호에서 Shohamy와 Ben-Rafael(2015)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언어 경관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 single words with deep meanings and shared knowledge, colourful images, sounds and moving objects, billboards, graffiti as well as a variety of text types displayed in cyber space (Shohamy & Ben-Rafael, 2015, p. 1)

Shohamy와 Ben-Rafael(2015)의 언어 경관에 대한 정의가 Landry와 Bourhis(1997)에 기술된 정의와 다른 점은 언어 경관에 포함되는 의사소통 양식(mode)의 범위이다. 초창기 언어 경관은 문자 언어 중심의 텍스트를 주로 다루었다면, 최근에는 이미지, 소리, 냄새, 사물과 같은 다양한 양식도 언어 경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언어 경관이 전제하는 언어 사용의 공간도 상업 지구, 도심 등과 같은 물리적 공간 뿐만 아니라 온라인 공간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Jaworski와 Thurlow(2010)는 언어 경관이라는 용어 대신 기호 경관(semiotic landscape)라는 용어를 제안하며 “인간의 의도적인 개입으로 시각적 각인이 생겨나 의미가 형성되는 어떠한 (공공) 공간(any (public) space with visible inscription made through deliberate human intervention and meaning making) (p. 2)”도 기호 경관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언어 경관의 정의는 계속해서 확장하며 재개념화되고 있지만, 전통적 의미의 언어 경관이 기존 사회언어학 연구와 구별되는 점은 공공 장소에서의 문자 중심 언어 사용을 다룬다는 것이다(Spolsky, 2009). 사적 공간이나 제도적으로 경계 지어진 공간에서 구술 상호작용을 주로 연구하던 기존 사회언어학 연구와 달리 언어 경관 연구는 해당 언어 공동체 구성원에게 공개된 공공 표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누구에게나 열려진 공적 공간은 언어 사용의 변화가 가장 먼저 발견되는 곳이기도 하면서(Spolsky, 2009), 제도적이고 규범적인 언어 사용과 개인적이고 창의적이며 심지어 위반적인 언어 사용이 경합하는 곳이기도 하다(Ben-Rafael et al., 2006). 예를 들어, 앞서 살펴본 Figure 1은 학교라는 공적 공간에서의 제도적이며 규범적인 언어 사용의 예이다. 반면, Figure 2는 창의적이며 유희적인 언어 사용의 예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전시된 영어 어구는 “누가 커피를 원하는가?”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해당 어구를 읽으면 “후식 커피”가 된다. 이러한 중의적 의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Who seeks coffee?”가 아니라 “Who seek coffee?”라는 문법적 오류도 의도적으로 위반하였다.

FIGURE 2

Creative Public Sign

Note. Photo courtesy of Sungwoo Kim

언어 경관 연구에서 다루어 온 공공 장소는 도심 상업 지구뿐만 아니라 관광지, 역사 유적지, 코리아 타운이나 차이나 타운 같은 이주민 밀집 지역, 시장, 도심 뒷골목, 집회, 학교 등 다양하다. 그 속에서 수집된 언어 경관 종류도 표지판이나 대형 간판뿐만 아니라 광고, 공고문, 팜플렛, 전단지, 낙서, 그라피티, 손팻말, 현수막 등이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어떤 장소나 매체도 언어 경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연구 목적에 따라 공공 장소와 수집되는 매체의 범위가 정해진다.

언어 경관의 기술적 분석은 1) 어떠한 언어가 사용되었는가, 2) 누가 해당 표지를 만들었는가, 3) 해당 표지의 의사소통 기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한다(Jang, Hwang, & Liu, 2019). 구체적으로 먼저 표지에 사용된 언어를 확인한다. 표지의 실제 생산자는 표지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크게 하향식 표지(top-down)와 상향식(bottom-up) 표지로 구분한다(Ben-Rafael et al., 2006). 하향식 표지는 정부나 공공 기관같이 제도적 권위와 권한을 가진 주체가 생성한 것이며, 상향식 표지는 개인이 자신의 의도에 따라 생성한 것을 일컫는다. 하향식 표지는 규범적인 언어를 선호하는 반면, 상향식 표지는 창의적이고 유희적이다. 표지의 의사소통 기능은 크게 지시적(referential), 명령적(directive), 표현적(expressive)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Van Herk, 2018). 지시적 기능은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명령적 기능은 해당 표지를 보는 자가 특정 행위를 하도록 요구하며, 표현적 기능은 예술 작품과 같이 표지 생산자의 의도나 감정을 나타낸다. 이러한 언어 경관 분석 방법을 Figure 3에 나타난 코로나19 당시 대학 건물 출입 게시물에 적용하면, 사용된 언어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이며, 대학 당국이 부착한 하향식 표지이며, 건물 출입자에 대해 마스크 착용을 요구하므로 명령적 기능을 수행한다.

FIGURE 3

Multilingual, Top-Down, and Directive Sign

언어 경관의 기술적인 분석은 공공 표지의 언어 사용 양태를 파악할 수 있지만, 해당 표지가 왜 특정한 장소에서 그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서 전시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답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후기 구조주의 사회언어학자들은 언어 경관에 대해 사회 문화적이며 해석학적인 접근법을 취하며, 공공 표지는 부착된 공간과 분리된 것이 아닌 기호학적 집합체(semiotic aggregate)로 장소화(emplacement)된 것이라 주장한다(Blommaert, 2013; Scollon & Scollon, 2003). 즉, 언어가 사용된 표지는 하나의 기호로 특정 공간에 놓여질 때 의미를 생성하게 된다. 더 나아가 하나의 기호로 그 의미를 개별적으로 실현하는 동시에 주변의 다른 기호들과 결합하여 집합적 의미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표지가 공간 속에서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간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 또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공공 표지의 의미는 공간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존적이다. 예를 들어, Figure 3의 표지는 마스크 착용을 권고할 뿐만 아니라 대학 국제화에 따른 유학생의 증가라는 맥락을 반영한다. 특히, 중국어의 사용은 대학 국제화의 결과로 증가한 중국인 유학생의 존재를 함축한다.

2. 언어 경관의 교육적 적용

언어 학습 자료가 가져야할 특징 중 하나가 진정성(authenticity)이라면 공공 표지에 사용된 언어를 교수-학습 자료로 사용할 생각을 하는 것은 어렵지는 않다. 언어 경관이 사회언어학 분야에서 연구되기 시작하면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을 가늠한 연구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Sayer(2010)는 자신 주변의 영어 표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 후, 언어 경관을 영어 교육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Sayer(2010)는 언어 경관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학생들이 진정성 있는 언어 사용을 접할 수 있으며, 영어가 자신의 공동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도 함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Rowland(2013)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을 1) 비판적 문해 능력 개발(develop students’ critical literacy skills), 2) 화용능력 향상(improve students’ pragmatic competence), 3) 우연적 언어 학습의 가능성 증가(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cidental language learning), 4) 다중양식 문해능력 습득 촉진(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multimodal literacy skills), 5) 다중능력 자극(stimulate students’ multicompetence), 6) 언어의 함축적 의미 파악 능력 향상(enhance students’ sensitivity to connotational aspects of language)으로 요약하고, 일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ayer(2010)와 같은 소규모 언어 경관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한 후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이 어떻게 실현되었는 지 분석하였다. 언어 경관 프로젝트를 수행한 일본 대학생들은 활동 결과 보고서에서 위에서 제시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 대부분을 확인했지만, 우연적 언어 학습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Gorter와 Cenoz(2022)는 언어 경관을 활용한 언어 교육 연구를 개괄하며 그 효과를 다음과 같이 진정성있는 언어 입력과 언어 사용에 대한 인식으로 구별하였다.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is a theoretical approach relevant for a linguistic landscape or school scape. It may seem rather obvious that linguistic landscapes in public spaces have the potential for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awareness, especially for learners of additional languages. We argued how some of the signs that passers-by find in the street can be useful as authentic input for them as additional language learners. Metalinguistic awareness is another concept of relevance, and it can be increased by the multilingualism on display, and, finally, pragmatic competence can be developed by certain types of signage. (Gorter & Cenoz, 2022, p. 282)

최근 언어 경관과 언어 교육과의 관계도 언어 경관을 언어 입력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 교육 공간(educational space) 구성이라는 주제로 확장되고 있다. Krompàk, Fernández-Mallat와 Meyer(2022, p. 2)는 교육 경관(educationscape)이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교육이라는 목적으로 언어와 상징 자원이 활용되는 물질적이고 사회적으로 상호 구성되는 공간(the mutually constitutive material and social spaces in which linguistic and symbolic resources are mobilised for educational purposes)”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Malinowski, Maxim과 Dubreil(2020)은 기존 언어 경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공간에 있던 언어적, 기호적 자원을 언어 교육 공간으로 가져오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이러한 교육 활동의 결과를 다시 사회적 공간과 연결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Malinowski 외 2인(2020, pp. 5-6)이 주장하는 “동원(mobilization)”은 “현대사회의 요체라고 할 수 있는 학습 이동성으로, 학습 장소, 보고 배우는 것의 문화적이고 역사적으로 풍부한 궤적을 형성할 가능성, 학습과 사회성의 새로운 네트워크의 실현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해준다(the learning mobilities that epitomize the contemporary age—giving us impetus to reconsider the places of learning, possibilities for culturally and historically rich trajectories of apprenticeship, and the actualization of new networks of learning and sociability).” 최근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관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간의 사회적 구성과 역할에 주목하고자 하는 언어 경관 연구의 방향과 궤를 같이 한다.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관점도 확장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Gorter와 Cenoz(2022)가 언급한 것과 같이 언어 경관을 언어 입력과 언어 인식의 자원으로 바라보는 전통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언어 경관 수업 설계에 참고한 주요 연구를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Kim과 Chesnut(2020)은 온라인 지도 서비스가 제공하는 스트리트 뷰를 활용하는 “가상 언어 경관(virtual linguistic landscape)” 수업을 소개한다. 기존 언어 경관 연구가 학습자의 실제 생활 혹은 학습 공간에 전시된 언어 표지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면, Kim과 Chesnut(2020)은 이러한 활동을 가상의 공간으로 옮겨 그 가능성을 살펴본다. 온라인 스트리트 뷰라는 가상 공간은 지리적 거리 혹은 팬데믹 확산 등의 이유로 물리적으로 갈 수 없는 공간을 탐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스트리트 뷰를 통한 해외 공간 탐색을 통해 온라인 공간이지만 실제성 높은 환경 속에서 진정성 있는 언어와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트 뷰를 통한 온라인 공간의 탐색은 학습 공간 분류로 볼 때, 탈맥락화된 교실과 체험 학습과 몰입을 전제로 하는 해외 연수의 중간에 위치한다.

Kim과 Chesnut(2020)은 구글 스트리트 뷰를 이용하여 어휘 여행(vocabulary tour), 언어 경관 여행 가이드(linguistic landscape tour guide), 언어 시간 여행(time travel language tour), 횡단 언어 여행(translingual tour), 미술관 혹은 박물관 탐방과 같은 활동을 제안한다. 언어 시간 여행 활동과 미술관 혹은 박물관 탐방은 구글 스트리트 뷰가 제공하는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전자는 구글 스트리트 뷰가 가장 최신의 거리 모습뿐만 아니라 과거의 모습도 아카이브하여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같은 장소에서의 언어 경관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는 활동이다. 후자는 구글 스트리트 뷰가 아트 앤 컬처(Arts & Culture)라는 서비스를 통해 세계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 내부 모습도 살펴볼 수 있게 한 서비스를 활용한다. Kim과 Chesnut(2020)은 가상 언어 경관도 해당 공간에서 사용되는 주제 어휘와 사용역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진정성 있는 언어 입력을 제공하며, 언어 사용의 변화와 다중언어 혹은 횡단적 언어 사용을 살펴보며 언어 인식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가상 언어 경관의 기술적 한계는 스트리트 뷰 이미지의 해상도가 언어 교육에 활용하기에 충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에 대해 Kim과 Chesnut(2020)은 가상 세계 언어 경관(virtual world linguistic landscape)와 가상 실물 언어 경관(virtual realia linguistic landscape)을 구분한다. 가상 세계 언어 경관이 스트리트 뷰와 같이 실제 경관을 디지털화하여 제공하는 경관 그 자체라면, 가상 실물 언어 경관은 가상 언어 경관에서 확인가능하고 보여지는 표지를 의미한다. 구글 스트리트 뷰의 경우, 특정 공간의 소유자, 운영자, 사용자, 방문객 등이 직접 올린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 토론토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앞의 맥도날드 지점을 구글 스트리트 뷰를 통해 검색하면 해당 지점의 메뉴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Figure 4). Kim과 Chesnut(2020)은 온라인 상에서 두가지 형태의 언어 경관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때 보다 큰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FIGURE 4

Virtual World and Realia Linguistic Landscapes

Sayer(2020)는 언어 경관을 언어 학습을 위한 교실 내 활동이 아니라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프로젝트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정 공간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고 수집된 표지를 분석 및 해석하는 사회언어학 연구 과정을 교육 목표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학습 과정과 결과물로 변경하여 프로젝트 활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Sayer(2020)는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하는 프로젝트 수업이 인류학의 연구방법론인 문화기술지 연구와 비슷하다고 지적하며, 이를 문화기술지적 언어 학습 프로젝트(ELLP: Ethnographic Language Learning Project)로 일컫는다. Sayer(2020)는 ELLP의 장점으로 언어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를 구분한다. 언어적 요소는 진정성 있는 목표 언어에 대한 분석과 기술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문화적 요소는 해당 지역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ELLP의 두 가지 효용은 Gorter와 Cenoz(2022)에서 언급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과 일치한다.

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을 프로젝트 수업이라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전유하고자 하는 시도는 언어 경관뿐만 아니라 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다중 언어와 다문화 교육에서도 있어왔다(Roberts, Byram, Barro, Jordan, & Street, 2001). 이러한 시도는 학습자에게 문화기술지 연구자라는 정체성을 부여하여 적극적으로 학습의 과정에 개입하도록 하지만, 문화기술지가 연구방법론인만큼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ELLP도 학습자에게 일종의 연구자 정체성과 역할을 요구하므로 프로젝트 수행 과정과 절차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Table 1Sayer(2020)가 제시한 ELLP 수업 모형의 단계와 주요 활동이다.

The Organization of ELLP (Sayer, 2020, p. 334)

마지막으로 언어 경관의 교육적 활용과 관련하여 아직 충분한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은 분야는 교사 교육 영역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등 예비 교사들이 언어 경관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언어 교육 현장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살펴본 Kim(2017)의 연구는 중요하다. Kim(2017)은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수업에서 언어 경관 개념을 설명한 후, 학생들에게 자신의 일상에서 수집된 언어 경관을 공유하게 하고 가상 언어 경관도 소개하였다. 언어 경관 개념을 학습한 예비 교사들은 언어 경관을 영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보고서와 언어 경관을 이용한 교안 작성 과제를 수행하였다. 예비 교사들은 언어구조, 사회언어, 사회문화, 언어교육 지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언어와 문화 관련 활동을 구상하였다. 하지만 언어 경관을 통해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찾기보다 영어 학습을 위한 추가적인 언어 입력으로만 여기거나, 공공 표지에 나타나는 다양한 언어와 양식보다는 영어라는 초국가적 지배 언어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언어 경관 속 영어를 활용하여 영어 어휘, 통사적 구조, 형태론적 특징, 의사소통 기능 등 형식중심 수업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어 경관을 제한되게 이해함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은 언어 경관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을 교사 교육의 입장에서 파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언어 경관 수집 및 분석 활동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언어 경관의 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입장에서 언어 경관의 교육적 활용의 장단점을 성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중등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Kim(2017)과 달리 초등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 경관이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도 적절한 과업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본다.

III. 연구 방법

1. 언어 경관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4단계로 구성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첫번째로 언어 경관의 개념과 분석 방법을 교수자가 학생에게 설명하는 개념 소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언어 경관의 정의를 사례를 통해 제시하여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특히, 공공 표지를 사회언어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사용 언어, 생산 주체, 의사소통 기능과 같은 분석틀을 설명하고, 공공 표지가 해당 공간에 전시된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가상 언어 경관 자료를 활용하고 실제 분석 사례도 제시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개념 소개 단계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교실 활동을 수행한다.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언어 표지를 발견하고 간단하게 기술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실제 공간에서 공공 표지를 수집할 수 없다면 구글 스트리트 뷰와 같은 가상 언어 경관을 활용할 수 있다. 세번째 단계는 현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단계이다. 학생들은 스스로 현지 조사를 실시할 공간 혹은 대상을 선택한 후 공공 표지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하고, 보고서와 같은 최종 결과물을 만든다. 이 단계에서는 분석이 기술적인 수준에 머물지 않고 언어 표지와 공간과의 사회문화적인 관계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언어 경관의 활용성을 성찰해보는 단계이다. 특히, 교사를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는 언어 경관이 수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 지 성찰할 수 있도록 한다. Table 2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정리한 것이다.

Linguistic Landscape Teaching Model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Sayer(2020)의 ELLP의 모형에 바탕을 두지만 성찰 단계를 추가하였다. 성찰을 통해 자신의 학습 과정을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경관의 활용 가능성을 보다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다. 성찰 과정의 추가로 본 교수-학습 모형은 학생들이 학습자에서 연구자로 그리고 실천가로 자신의 정체성을 단계별로 재정립하도록 요구한다. 예비 교사에게 언어 경관 개념 소개한 후 학습 자료와 교안 작성 과제를 제시한 Kim(2017)의 교수-학습 절차를 참고하였지만, 본 모형은 언어 경관 개념 소개 및 적용에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교육적 적용 가능성은 실제 과제 수행보다 성찰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는 언어 경관이라는 사회언어학적 개념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2. 연구 참가자 및 맥락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예비 교사인 D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 35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교양필수 과목인 <미디어를 통한 영어>(가명)를 수강하는 학생으로 해당 수업에는 2개 분반 58명이 등록하였다. 이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41명 중, 수집된 자료가 한 번이라도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작성된 6명이 제외되었다.

해당 수업은 영미권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영어 표현과 문화를 배우는 수업으로 자료가 수집된 학기에는 빅히어로(Big Hero 6, Hall & Williams, 2014)라는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배경이 되는 샌프란시스코(해당 애니메이션에서는 도쿄와 합성된 샌프란시소쿄) 주변 환경, 특히, 실리콘 밸리의 문화와 언어에 대해 알아보고,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재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초등 교육 현장 활용법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해당 수업 활동 중 하나로 언어 경관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앞서 설정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언어 경관 수업 진행 절차 및 활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수자가 언어 경관의 개념과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강의 당시 소속 학교 주변에서 수집한 언어 경관 자료를 활용하고, 가상 언어 공간으로 구글 스트리트 뷰를 통해 캐나다 토론토 지역을 탐방하였다. 가상 언어 경관 시연에서는 토론토 지역 거리 교통 표지판은 물론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내부 탐방, 토론토 다운타운 지역 상업 시설 내부 이미지 검색, 차이나 타운과 코리아 타운과 같은 민족 커뮤니티 속 다중언어 사용, 토론토 시청을 주변으로 다양한 시기에 촬영한 스트리트 뷰를 보면서 시간에 따른 언어 경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박물관 입장과 관련된 영어 표현, 레스토랑에서 사용되는 영어 표현, 캐나다 영어의 어휘적 차이(예를 들어, 화장실 표기가 ‘washroom’) 등을 학습하였다. 토론토 시청 언어 시간 여행 활동의 경우 당시 사회적 이슈였던 Black Lives Matter 집회 구호가 전시되어 집회 공간에서의 언어 사용 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2단계에 해당하는 교실 활동 단계에서는 샌프란시스코 지역을 구글 스트리트 뷰를 통해 탐색하고 자신이 가장 흥미로운 언어 경관 하나를 선정하여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패들렛에 공유하게 하였다. 3단계에 해당하는 현지 조사 및 분석은 학생들이 자신이 선정한 공간에서 외국어 언어 경관을 수집하여 분석한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보고서의 분량은 A4 기준 5장 이내로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을 5장 이상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언어 경관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Rowland(2013)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가이드 질문도 제시하였다.

• 어떤 표지를 수집하였는가? • 수집한 장소는 어디인가?

• 어떤 언어가 사용되었는가? • 누가 만든 표지인가?

• 누구를 대상으로 한 표지인가? • 표지의 기능은 무엇인가?

• 왜 그러한 표지가 사용되었는가?

마지막 성찰 단계에서는 언어 경관 수업에서 획득한 지식과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영어 교실에서의 언어 경관 적용 가능성에 대해 성찰문을 작성하도록 했다.

3.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초등 예비 교사의 언어 경관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연구 참가자들이 수행한 교실 활동과 프로젝트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즉, 샌프란시스코 가상 언어 경관 활동 결과물, 언어 경관 현지 조사 보고서, 언어 경관의 초등 영어 교실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성찰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학생들이 직접 언어 경관 분석 활동을 한 두 가지 결과물은 수집한 표지와 분석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수집한 표지는 1) 표지 언어 종류, 2) 표지 영역(domain), 3) 표지 유형, 4) 생성 주체(top-down vs bottom-up), 5) 표지 기능으로 구분하였다. 표지 기능의 경우, 가상 언어 경관 분석 과업은 기존 사회언어학의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지시적, 명령적, 표현적 기능으로 구분하였고, 현지 조사 보고서 분석은 Table 3과 같은 Sayer(2010)가 개발한 분석틀을 따랐다. 학생 결과물에 나타난 분석 내용은 언어 형태 및 의미, 언어 인식, 문화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찰지는 예비 교사의 입장에서 생각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서술한 것으로 내용 분석을 한 후 선행 연구와 비교하였다.

Linguistic Landscape Analytic Framework (Sayer, 2010, p. 152)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 가상 언어 경관 활동

가상 언어 경관 활동은 예비 교사들이 언어 경관 개념과 분석 방법, 관련 사례를 학습한 후 구글 스트리트 뷰를 통해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흥미로운 언어 경관을 스크린 샷으로 촬영하고 이에 대한 간단한 분석을 패들렛에 포스팅하는 과업이다. Table 4는 학생들이 수집한 언어 경관과 이에 대한 분석 내용을 정리한 결과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언어 경관을 분석하는 만큼 영어로 된 표지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표지 영역 및 유형과 관련해서는 일반 거리에서 자주 관찰되는 교통표지판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표지는 정부 기관이 만든 하향식 표지였으며, 의사소통 기능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지시적 기능을 주로 수행하였다. 수집한 표지에 대한 학생들의 분석은 문화적인 내용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alysis of the In-Class Virtual Linguistic Landscape Activity

연구 참가자가 수집한 표지 중 가장 흔한 주제는 교통에 대한 것으로 주차 표지판은 물론 대중교통 이용법, 자전거 전용 도로, 노인 주의 지역 등이 있었다. 이러한 교통 표지판과 바닥 표지를 바탕으로 분석 내용이 미국 교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나 한국 교통 문화와의 차이에 대한 것이 많았다(Figure 5). 교통 표지판 혹은 바닥 표지는 모두 하향식 표지이며, 그 기능도 지시적이거나 명령적이다.

FIGURE 5

Traffic Sign

연구 참가자가 교통 표지판 혹은 표식 다음으로 많은 관심을 가진 하향식 표지는 거리에 안전을 목적으로 게시된 것들이었다. 코로나 시기 마스크 착용, 소지품 주의, 노숙 금지 등에 대한 내용으로 명령적 기능을 주로 수행하며, 분석 내용도 미국 문화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Figure 6).

FIGURE 6

Public Safety Sign

샌프란시스코의 거리를 둘러보다 눈에 띈 표지판을 찍어봤습니다. 조건부로 좌회전을 금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이런 표지판을 본 기억이 없어 흥미로웠습니다. (Figure 5 학생 분석)

샌프란시스코 시청 주변을 둘러보다가, 도난과 관련된 내용의 팻말을 발견했습니다. 귀중품을 도난 당할 수 있으니 차를 정차한 채 차를 떠나지 말라는 내용인데, 도난을 주의하라는 팻말을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것 같아서 이 사진을 선택했습니다. 국내에서도 도난 사건이 종종 발생하기는 하지만 이곳 에서처럼 공식적인 팻말을 만들 정도로 도난이 빈번하게 일어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이 팻말을 보며 나라별 치안의 차이를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Figure 6 학생 분석)

하향식 표지가 아닌 상향식 표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경우는 대부분 상점, 식당과 같은 상업 시설의 간판이 그 대상이 되었다. 상업 시설 간판을 분석한 경우, 영어만 쓰인 표지보다 영어와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가 병기된 다중언어 표지를 분석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다중언어 표지 수집은 차이나타운 같이 아시아인이 많이 모일 만한 공간을 방문하여 수집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다중언어 사용에 대한 흥미로움, 다중언어의 역할 등 언어 인식에 대한 것이 많았다(Figure 7).

FIGURE 7

Multilingual Sign

샌프란시스코의 여러 거리를 보다 보니 의외로 한국어나 한자 등으로 이루어진 간판이 자주 보였습니다. 사진 속 순두부 가게에서 순두부는 한글로, 영어로는 my tofu house, 한문으로 까지 표기한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Figure 7 학생 분석)

지금까지 살펴본 교통, 공공, 상업 표지의 대부분이 정보 제공과 명령이라는 화용론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 표현적 기능을 수행하는 경관을 제시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igure 8의 예는 상향식 표지를 통해 표지 생산자의 정치적 의사를 표시한 예를 찾아 제시한 경우이다.

FIGURE 8

Expressive Sign

샌프란시스코의 미션 지구(Mission District)에서 ‘클라리온 앨리(Clarion Alley Street Art)’를 살펴보았습니다. 골목에 들어서자 양 옆으로 다양한 그라피티 아트가 그려져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눈에 띈 작품은 ‘BLACK LIVES MATTER’ 구호가 적힌 조지 플로이드 추모 작품이었습니다. 이는 자유와 평등, 다양성의 도시 샌프란시스코의 색채가 짙게 묻어나는 미션 지구의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언어 경관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Figure 8 학생 분석)

가상 언어 경관 활동은 수업 시간 내에 수행한 과업으로 언어 경관 분석을 간단하게 연습하고자 기획되었다. 학생들의 과제 수행 결과는 과업이 제시한 지리적 공간과 온라인이라는 매체의 특징을 반영하였다. 샌프란시스코라는 배경은 학생들이 영어 사용에 초점을 맞추게 하였고, 스트리트 뷰라는 매체의 특징은 거리라는 공간에서 관찰되는 표지, 무엇보다 교통과 관련된 표지에 주목하게 하였다. Kim과 Chesnut(2020)의 가상 언어 경관 구분에 따르면, 수집하고 분석한 표지 대부분이 가상 세계 언어 경관이었다. 분석 내용과 관련해서는 이국적인 해외 공간에 전시된 표지를 분석하면서 언어 형태 혹은 인식보다 문화적 차이나 타 문화에 대한 흥미가 많았다. 학생들의 이러한 수행 결과는 언어 경관에 대한 이해가 언어 경관의 공간은 물론 언어 경관을 수행하는 교육 공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 언어 경관의 교육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그 가능성을 언어 입력과 인식으로 구분하는 데 반해(Gorter & Cenoz, 2022), 본 활동 결과는 문화간 이해도 중요한 교육적 효과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해외 공간의 언어 경관을 온라인으로 탐색하는 활동은 다양한 언어 표지에 노출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수집된 표지 중 교통에 관한 것, 따라서 하향식 표지에 지시적 혹은 명령적 기능을 수행하는 표지가 많았다. 몇몇 학생의 경우 다중언어 표지, 상향식 표지, 표현적 기능을 수행하는 표지를 수집하였는데, 우연적 발견이기보다 의도적으로 그러한 표지가 있을 만한 공간을 찾아간 경우였다.

2. 현지 조사 보고서

두번째 활동은 학생들이 현지 조사를 통해 언어 표지를 직접 수집하여 보다 체계적인 언어 경관 분석을 시도하게 하였다. 그 결과물인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해외 지역 가상 언어 경관을 탐색했던 첫번째 활동과 달리 본 과제는 한국 내 외국어 언어 경관을 분석해야 했다. 결과 보고서에서 가장 많이 분석된 언어는 영어였으며,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이탈리아어 표지도 등장하였다. 중국어와 일본어는 관광지, 지하철역, 기차역의 게시판이나 표지판에 나타나는 경우였으며, 러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 캄보디아어는 이주민 밀집 지역에 대한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 레스토랑 간판을 분석한 경우였다. 현지 조사를 실시한 공간은 자신에게 익숙한 주변이나 자주 가는 거리, 상업지구, 아파트 단지, 지하철/기차역 등이었으며, 본 과제를 위해 놀이공원, 야구장, 역사유적지 등을 답사하기도 하였다. 현지 조사 지역을 먼저 선택하고 자료를 수집한 경우도 있었지만, 방역 용품, 약품, 우유, 음료수, 과자 등 상품을 먼저 정하고 해당 표지를 수집하기 위해 복수의 공간을 방문한 경우도 있었다. 상품을 중심으로 한 언어 경관 분석은 상호명이나 상품에 쓰여진 문구에 대한 것이 많았고, 거리나 상업지구에서 현지 조사를 한 경우는 게시물, 게시판, 간판을 주로 수집하였다. 게시물은 하향식이 더 많았지만, 상업 지구를 방문한 경우나 상품을 분석한 경우는 상향식 표지가 많았다. 표지 기능은 문화간, 즉 외국인들에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표지가 많았고, 상품명이나 상업 시설의 상호명 등은 문화내, 즉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표지로 브랜드명과 같은 고정적인 것이나 새롭게 만든 혁신적인 표지가 혼재했다. 가상 언어 경관 활동과 비교했을 때,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표지 영역은 다양했지만, 분석한 표지의 유형은 그렇지 못했다. 또한, 상업 시설과 상품에 등장하는 표지에 더 관심을 가지면서 상향식 표지와 혁신적 표지가 많이 등장했다.

Analysis of Fieldwork Reports

수집한 표지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분석한 내용에서는 외국어 표지를 수집한 만큼 언어 인식에 대한 부분이 많았으며, 외국어의 형태와 의미 구조를 분석한 경우도 있었다. 가상 언어 경관 활동에 비해 문화에 대한 언급은 적었다. 체계적인 분석을 해야하는 본 과제의 특성 상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분석 내용이 다양했다.

언어 형태 및 의미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등장하는 분석은 Figure 9와 같이 표지에 나오는 어휘나 문구를 번역한 것으로 번역의 오류나 더 나은 번역의 사례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관광지에 전시된 표지판을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관광지의 외국어 표지판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어, 언어 정책에 대한 제안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FIGURE 9

Analysis of Linguistic Form and Meaning

동물농장을 ZooZoo Farm으로 번역하여 제시한 것이 오류라고 생각한다. 영어로 동물농장은 Animal Farm 또는 Zoo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 ZooZoo Farm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동물원동물원 농장’이고, ZooZoo Farm에서 ZooZoo를 고유명사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어법상 옳지 않은 언어 경관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사진의 상단에 보면 회전 목마를 Merry go Round라고 표현한 것을 볼 수 있다. 회전 목마는 다양한 영어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Merry go Round라는 표현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Carousel이라고도 하고, 영국에서는 Round about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Figure 9 왼쪽 표지 학생 분석)

석빙고의 영문 표기는 Seokbinggo in Gyeongju로 되어있다. 이 이름만으로는 돌도 얼음도 창고도 떠올릴 수 없다. 조금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외국인의 관점에서는 바로 옆에 있는 석빙고가 창고인지 무덤인지조차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석빙고를 외국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름으로 바꾸어 보자면 Stone Ice Storage로 표현할 수 있겠다. 문화재들의 이름이 발음만 표기되어 있어 외국인들에게는 그 의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아쉬웠다. 한국관광공사 외국어 용례 사전이 빨리 제작되어 인터넷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모든 사람이 문화재 이름의 의미를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되면 좋겠다. (Figure 9 오른쪽 표지 학생 분석)

보고서 분석 중 언어 인식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외국어 선택에 따른, 현재와 과거 표지의 변화, 무분별한 영어 사용, 정보의 불균형, 대상(audience) 호명, 다문화 사회, 언어 정책에 대한 언급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Figure 10에 나타난 화장실 표지는 도심 상업지구에서 수집한 것인데,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중국어가 병기되었지만, 외국어 표기의 정보가 부족한 사례이다. 반면, 이주민 밀집 지역에서 수집한 쓰레기 투기 금지 게시물은 외국어의 사용으로 외국인을 호명하지만, 그러한 호명이 이주민에게 어떠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지 잘 파악한 사례이다(Chesnut, Curran, & Kim, 2022).

FIGURE 10

Language Awareness

‘화장실’이라는 단어는 영어와 중국어뿐만 아니라 일본어로도 함께 표기되어 있었다. 또한, 남자와 여자를 나타내는 그림 기호가 포함되어 있어 누구나 화장실을 나타내는 것임을 유추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화장실이 위치한 건물을 나타내는 ‘대현 프리몰’이나 ‘후방’, ‘지하’라는 단어는 오직 한국어로만 표기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국인의 입장에서 화장실을 찾아가기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Figure 10 왼쪽 표지 학생 분석)

자료 조사 중 이 동네에서 유일하게 발견한 영문 현수막사진이다. 행복복지센터에서조차 영문으로 된 안내문을 붙이지 않는 동네에서 쓰레기 무단 투기 경고 현수막이 유일하게 영어로 안내되었단 것은, 쓰레기 무단 투기 대상에 외국인이 포함되었을 거라고 암묵적으로 낙인하는 의도가 들어있다고 느꼈다. (Figure 10 오른쪽 표지 학생 분석)

영어가 아닌 다중언어표지를 수집한 경우는 이주민 밀집 지역에서 현지 조사한 경우로 언어 경관을 통해 다문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Figure 11). 다중언어 사용을 통해 포용적인 학교 공간을 읽어 내기도 하고,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다중양식의 중요성을 포착하기도 하였다.

FIGURE 11

Multilingualism

한국말만 보면 제가 초등학교를 다닐 때도 본 적 있을 법한 좋은 문구이지만 밑에 다양한 외국어로 해석되어 있는 것이 저에게 굉장히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곳에는 거의 절반에 달하는 학생이 외국인이거나 다문화 학생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종류가 굉장히 다양합니다. 그리고 한국어가 미숙한 학생들도 꽤 있습니다. 그러한 학생들을 위한 선생님들의 배려가 보이며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학교라는 한 장소에서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모습이 잘 느껴지는 사진입니다. (Figure 11왼쪽 표지 학생 분석)

영어를 비롯하여 정확히 어떤 나라의 언어인지 바로 인지하기 어려운 언어로 적힌 간판들을 보는 것은 이곳이 바로 외국인 밀집 지역임을 체감하는 순간이었다. 여러 나라 중 특히 동남아시아권 사람들이 많이 활동하는 지역이다 보니, 이처럼 동남아시아의 특정 나라 언어가 주를 이루는 간판들이 많이 보이는 것 같다. 태극기와 캄보디아 국기를 제외하고도 간판의 하단부에는 여러 나라의 국기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데, 간판의 글귀를 알아볼 수 없는 나라 국적의 외국인이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속한 나라의 국기 그림을 보고 자신과 같은 외국인을 위한 시설임을 멀리서도 바로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인 듯하다. (Figure 11 오른쪽 표지 학생 분석)

거리 속 외국어 표지가 아니라 상품에 쓰여진 외국어를 분석한 경우, 분석 내용은 언어 인식에 대한 것보다는 언어 형태나 내용 혹은 상품 브랜드와 관련된 문화 소개가 많았다. 특히, Figure 12와 같이 상표가 언어를 새롭게 조어하여 그 기능이 문화내-혁신적 표지인 경우, 그 의미를 어휘 형태소 단위로 쪼개서 설명하는 경우가 흔했다. 반면, 해당 상표가 하나의 브랜드로 문화내-고정적 표지인 경우, 해당 브랜드와 관련된 역사나 특징을 소개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거리나 공공 장소에 전시된 표지를 분석하는 경우보다, 사례를 열거하거나 상품 속 언어 사용과 상품이 전시된 공간과의 연관성이 부재한 경우가 많아 분석 내용이 상대적으로 피상적이었다.

FIGURE 12

Logos

Aircoz 황사방역마스크는 ‘air’과 ‘coz’를 결합하여 ‘aircoz’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이는 ‘air(공기)’와 ‘cozy(편안함, 안락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공기 중 유해한 물질을 차단하여 편안하게 해준다는 의미에서 이러한 단어를 사용한 것 같다. (Figure 12 왼쪽 표지 학생 분석)

Athletes, musicians, anarchists, co-ed’s, road warriors, metal heads, geeks, hipsters, and bikers dig ityou will too. 공식 사이트에서 이 음료에 대한 설명을 가져왔다. 이 때 운동선수, 힙스터, 바이커 등이 dig it, 찾아보니 한 우물만 파다 이정도로 찾을 수 있었는데 의역해보면 선호한다 정도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글귀와 ‘Unleash Your Monster!’ 캐치프레이즈를 이용해 폭발적인 인상을 남기고 픈 몬스터의 의도가 보인다. (Figure 12 오른쪽 표지 학생 분석)

연구 참가자들은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바를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간판, 메뉴판 등 외적인 것에서 나타나는 특성들이 단순히 표면적이고 평면적이기만 한 사실이 아니라는 점은 언어 경관에 대해 분석하고 해석하면서 제일 흥미로웠던 부분이다. 여러 복합적인 이유가 합쳐져 만들어진 결과물이기에, 그러한 외적인 특성의 이면을 살펴보면서 지금까지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쳐갔던 수많은 언어 경관들이 더욱 새롭게 느껴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언어경관이 사람들에게 다양한 의미를 전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공간, 장소에 따라 언어 경관이 하는 역할이 훨씬 더 다양해진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되었다. 내가 일상생활에서 아무렇지 않게 지나쳤던 순간들 속에도 수많은 언어경관이 존재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 지금부터라도 그러한 언어 경관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들을 생각해보고 해석해보는 시간을 가지면 더욱 의미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가상 언어 경관 활동과 달리 현지 조사를 통해 주변의 언어 경관을 관찰, 수집, 분석하도록 한 본 과제는 학생들이 주변의 언어 사용을 새롭게 바라보고 언어와 공간과의 관계를 보다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Kim, 2017; Sterzuk, 2020). 다만, 이러한 언어 인식도 현지 조사 공간과 수집된 언어 경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자신 주변 혹은 상품 속 언어 사용을 조사한 경우,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표지가 많았다. 이 경우 분석이 언어 형태와 문화적인 측면에 머물며, 한국 사회에서 영어가 가지는 의미와 같은 상위 언어 인식으로 나아가지는 못했다. 관광지 속 언어 표지를 분석한 경우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표지에 주목하였지만, 이 표지를 보는 대상을 외국인 관광객으로만 한정하는 경향도 있었다. 언어 경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이주민 밀집 지역과 같은 다중언어 공간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한 경우에 부각되었다. 가상 언어 경관 활동에 비해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을 요구했던 본 과업에서 결과물의 수준은 일상성보다는 일상을 새롭게 보고자 하는 이른바 ‘문화기술지적 상상력(ethnographic imagination)’(Willis, 2000)에 따라 달랐다.

3. 성찰문

성찰문에서는 가상 언어 경관 활동과 현지 조사를 통한 언어 경관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 영어 교육에서 언어 경관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서술하도록 하였다. 성찰문에 쓰여진 내용은 크게 활용 방안, 교육적 효과 이유(rationale), 교육적 한계 혹은 고려 사항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성찰문에서는 본 연구참여자들이 가르쳐야 할 초등학교 학생과 초등 교육과정의 특징을 고려하고자 하는 의도가 명시적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았다.

언어 경관의 활용 방안으로는 동기부여 수단, 공공 표지를 이용한 어휘 혹은 의사소통 기능 학습, 문화 수업, 프로젝트 수업, 다른 교과와의 융합 수업이 제안되었다. 성찰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1) 동기부여 수단

    언어 경관 자료는 동기 유발 자료로도 매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재미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2) 어휘 학습

    공공 장소의 표지판이나 안내 문구 등에는 정확한 철자의 명확한 지시 표현들이 많아서 초등학생들의 영어 교육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곳에 나와 있는 단어의 수준도 초등학생들에게 적당하고, 실생활에도 유용한 표현들이 많아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 3) 의사소통 기능 학습

    영화관에서 ‘휴대폰 사용금지’, ‘실내흡연금지’, ‘과도한 애정표현금지’ 등 Don’t 라는 단어를 어디서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줄 수 있고, 영화관에서의 에티켓도 가르쳐 줄 수 있습니다.

  • 4) 문화 수업

    언어에는 그 나라의 오랜 관습, 문화, 역사, 지리적 특성이 포함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언어 경관을 분석하며 그 나라 또는 그 지역만의 특징을 알 수 있다.

  • 5) 융합 교육

    초등 영어 교실에 언어 경관 자료를 활용한다는 것은 해당 지역의 역사, 인구 구성, 사회문화적 특성 등을 학생들이 직접 부딪히며 경험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요즘 각광받고 강조하고 있는 융합 교육과도 직결하는 부분이다.

또한, 다음과 같이 언어 경관을 활용한 구체적인 활동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 6) 현장 체험 학습

    보통 초등학교에서 체험 학습을 가게 되면 유명한 관광지를 가는데, 이러한 관광지엔 우리나라 사람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적의 관광객들이 방문하기 때문에 대게 영어로 된 관광지 안내 책자가 존재합니다. 안내 책자에 있는 영어를 한글과 즉각적으로 비교해보며 설명해주거나, 안내책자 속 유명 지점들을 찾아가는 길의 표지판에 있는 언어경관을 찾아보고, 해당 지점에 대한 영어로 되어있는 설명판이 있다면 한글 설명문보다 먼저 읽어보며 내용을 유추해보는 활동을 통해 언어경관을 영어 교육에 적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7) 언어 경관 만들기

    이 활동은 교사가 학생에게 모둠 별로 주제와 어휘를 제시합니다. (주제 예시: 화장실, 도서관, 떠들지 마시오.) 학생들은 서로 의논해가며 언어 경관을 직접 만들고, 발표하여 다른 모둠에게 어떤 것을 표현한 것인지 맞추어 보도록 하는 활동입니다.

  • 8) 가상 언어 경관 활용

    스트리트 뷰를 사용해서 학생들과 여행을 가는 것처럼 함께 외국의 길거리를 보면서 특이한 이정표나 그 나라만의 문화를 설명해준다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학생들에게 간접적으로 여행을 가는 것처럼 분위기가 조성되어 큰 흥미를 가져다 줄 것이며, 다른 나라의 문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보니 영어 공부만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에도 접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경험하며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9) 언어 경관 분석 활동

    우리 주변에 영어로 된 상호를 가진 식당, 카페가 많다. 상호명을 해석해보고, 의미를 파악해보는 활동을 통해 영어 단어 공부도 하고, '이래서 이런 이름을 쓰신 거구나'와 같은 것을 느끼게 함으로써 주변 언어 경관에 아이들이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문법적으로 맞게 식당 혹은 카페 이름을 고쳐보는 활동도 해 본다. 문법적으로 바르게 고쳐보는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법 공부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기에 대해 창의성을 인정해주는 것이 좋을지, 문법적으로 잘못된 표기로서 봐야 할 지에 대해 학생들과 다양하게 의견을 나눠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언어 경관에 대한 고민을 좀 더 해보게 한다.

성찰지에서는 언어 경관이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이유로 일상성과 진정성을 주된 이유로 제시한다. 언어 경관이 가지는 일상성과 진정성은 초등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서 흥미 및 관심 유발, 동기 부여, 두려움 감소와 같은 정의적인 영역에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았다.

언어경관 자료를 통해 영어권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언어를 접하게 할 수 있다. 공공장소에 전시된 언어적, 기호적 표지는 실제적으로 그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실제적인 영어를 배울 수 있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활용성을 가진다.

공식적인 교육과정 내에서 초등학교는 영어를 처음 배우고 학습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 단순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형화되고 딱딱한 교과서를 사용하기보다,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언어 경관 자료를 활용한다면 초등학생 학습자는 입체적인 언어 경관 자료에 흥미를 갖고 영어 학습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먼저, 자기 주변 환경에서 외국어를 찾음으로써 해당 언어들을 보다 더 친근하고 익숙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아마 학생들이 찾아온 언어 경관의 대부분이 '영어'일 것이다. 이를 통해 '영어'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성찰지에서 예비 교사들은 언어 경관을 초등 학교 영어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데 있어 교사의 교육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일상에서 발견되는 언어 경관을 교실 활동으로 가져올 때, 적절한 언어 입력 수준 선별, 규범적이지 않은 언어 사용 통제, 적합하지 않은 소재 배제에 관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각종 상점의 간판들은 더 고급스러워 보이고 눈에 띄기 위해서 영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아 단어의 수준이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거나 실제 의미대로 사용되지 않은 경우, 단어의 철자나 어법이 틀린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자료를 활용할 때는 교사가 적절하게 선별한 후 학생들에게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이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소재가 될 수는 없다. 가령, 문법에 어긋나거나 비속어가 섞여 있는 언어 경관은 초등학생들에게 교육적이지 못하다. 예를 들면 거리 예술 중 하나인 ‘그라피티’가 있다. 공공장소에 행해지는 낙서나 욕설, 비속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된다. 언어 경관은 풍부하지만, 선생님은 그 중에서 수업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만한 것들을 선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수준에 맞는 언어 경관을 가져와야 한다.

초등 예비 교사들이 언어 경관 분석 활동 후 생각한 언어 경관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은 Gorter와 Cenoz(2022)가 언급한 진정성 있는 언어 입력과 언어 인식 함양 중 전자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일상 생활에 전시된 영어를 활용하여, 어휘, 의사소통 기능, 문화 등을 학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 영어 사용 인식에 대한 언급은 부족하다. 이는 일상 생활에 대한 주제를 바탕으로 기초적인 영어 능력 함양과 외국 문화 이해를 목표로 하는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 비추어 보았을 때, 언어 인식에 대한 부분은 초등 영어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판단한 듯 하다. 이러한 초등학교 예비 교사라는 정체성은 성찰지에서 자주 관찰된다. 언어 경관의 가능성으로 제시된 일상성, 외국 문화 이해, 흥미와 자신감 등은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부분이다. 또한, 언어 경관을 통해 영어와 사회, 도덕 교과목과의 융합 교육 제안은 최근 초등교육에서 주목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언어 경관 활동 시 교육적 개입으로 제시된 언어 입력 수준과 비속어의 통제는 필요하지만, 규범적이지 않은 언어 입력을 배제하고 표준적인 언어 형태만을 도입하는 것은 최근 횡단적 언어 실천을 강조하는 언어 교육의 흐름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횡단적 언어 교육은 복수의 언어를 활용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언어 사용을 언어 교육의 중요한 자원으로 여긴다(Cenoz & Gorter, 2022).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초등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언어 경관 활동을 수행한 후 언어 경관에 대한 이해와 초등 영어 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 경관 개념 소개, 언어 경관 교실 활동, 현지 조사 및 분석, 성찰로 구성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따라 예비 교사들에게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활동 결과물인 가상 언어 경관 활동 결과, 현지 조사 보고서, 성찰문을 분석하였다. 특히, 언어 경관 개념과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일상에 전시된 언어 표지를 언어 선택, 언어 사용 공간, 표지 생산자와 대상, 의사소통 기능 등의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였다. 그 결과 무엇보다 언어 교육 전문가로 가져야할 언어 인식(language awareness) 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Kim, 2017; Kim & Chesnut, 2020; Rowland, 2013; Sayer, 2010; Sterzuk, 2020).

본 연구는 언어 인식의 내용과 정도가 언어 경관 과업의 구성, 무엇보다 언어 경관 공간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가상 언어 경관 활동에서 예비 교사들은 미국이라는 해외 공간을 온라인 스트리트 뷰로 살펴 보았는 데, 이러한 공간의 선택과 과업의 구성에서 거리의 교통 관련 표지와 한국과 미국의 문화간 차이 혹은 미국 문화의 특색에 주목하였다. 현지 조사를 통한 언어 경관 분석 과제에서도 자신의 주변을 현지 조사의 장소로 선택한 경우 상업적 표지의 언어 선택, 관광지를 선택한 경우 하향식 표지의 번역 문제, 상품 내 언어 사용을 분석한 경우 상품명의 언어 형태와 의미 분석에 대한 내용이 많았다. 반면,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들이 주도성을 발휘하여 도심 뒷골목이나 이주민 밀집 지역을 탐사한 경우 표현적 기능을 하는 표지나 다중언어 표지를 발견하면서 비판적으로 언어 사용을 분석하였다. 선택한 공간에 따라 언어 경관 분석이 달라지는 것은 언어 경관에 대한 사회언어학 연구가 강조하듯 공간과 언어 사이의 관계에 기인한다(Blommaert, 2013; Scollon & Scollon, 2003). 담론적 힘이 경합하는 공적 공간에서 특정 언어는 강조되고 다른 언어는 억제되며, 이 과정에서 해당 공간은 상징적으로 구성된다(Ben-Rafael et al., 2006).

언어 경관 활동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은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그 내용은 대부분 언어 입력과 문화 교육에 대한 것이었다. 예비 교사들은 언어 경관의 일상성과 언어 경관에 사용된 언어의 진정성에 주목하며, 언어 경관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흥미, 두려움 해소, 필요성 강조와 같은 정의적인 부분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단어와 의사소통 기능, 문화 등을 가르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교실 활동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동시에 일상 생활 언어 입력 자료가 가질 수 있는 통제되지 않은 언어 수준과 규범적이지 않은 언어 사용의 문제에 대한 교사의 개입도 강조하였다. 하지만, 예비 교사들의 성찰에서 언어 입력 자원으로서의 언어 경관의 가능성은 강조되지만, 언어 인식에 대한 측면은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예비 교사들이 수행한 과제를 통해 언어 인식을 높일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교육적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예비 교사들은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초등 교사라는 정체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일상 생활이라는 주제, 일상 기본 어휘, 문화적 이해, 흥미와 자신감 등 정의적인 부분은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목표이다. 현장 학습, 융합 교육 등도 초등 교육에서 강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초등 교사라는 정체성이 앞서 언급한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에서 언어 입력에 주로 주목하게 한 이유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 경관을 이용한 영어 교사 교육에 대한 제안을 하면, 우선 언어 경관이라는 사회언어학 개념이 언어 교육에서 중요한 활동이나 방법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교육학 연계와 교육학 개념으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영어 교사는 언어 경관의 개념과 사례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언어적, 문화적, 언어교수법적 전문 지식과 연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Kim, 2017). 또한, 언어 경관을 이용한 교실 활동 구성이나 교안 작성, 수업에서의 적용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교사 교육 과정에서 언어 경관 활동을 통해 교사의 비판적 언어 인식이 높여주고자 한다면, 언어 경관 분석 활동의 공간과 수집 및 분석해야는 표지의 유형을 명확히 하는 것도 필요하다(Sterzuk, 2020).

언어 경관이 진정성 있는 언어 입력 자원이라는 활용을 넘어 통합적으로 교육 과정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융합 교육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언어 경관 프로젝트가 타 교과의 교육 목표 및 내용과 결합되어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를 길러줄 수 있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언어 경관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언어 입력과 언어 인식으로 그 효과를 구별하지만(Gorter & Cenoz, 2022), 본 연구는 문화 교육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문화 교육에서 언어 경관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도 구상해 볼 만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언어 교육 분야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횡단적 언어 교육에서 언어 경관을 활용할 수도 있다(Cenoz & Gorter, 2022). 영어 교육 내에서도 다른 언어와 영어의 혼종적 사용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며 이에 대한 언어 인식을 길러줄 필요성이 제기된다면, 언어 경관은 공공 장소에서의 다중언어 사용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좋은 학습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Ben-Rafael E., Shohamy E., Amara M. H., Trumper-Hecht N.. 2006;Linguistic landscape as symbolic construction of the public space: The case of Israel.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lingualism 3(1):7–30. https://doi.org/10.1080/14790710608668383.
Blommaert J.. 2013. Ethnography, superdiversity and linguistic landscapes: Chronicles of complexity Bristol: Multilingual Matters.
Cenoz J., Gorter D.. 2022. Pedagogical translanguag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9781009029384.
Chesnut M., Curran N. M., Kim S.. 2022;From garbage to COVID-19: Theorizing ‘Multilingual Commanding Urgency’ in the linguistic landscape. Multilingua https://doi.org/10.1515/multi-2022-0009.
Gorter D., Cenoz J.. 2022. Linguistic landscapes in educational contexts: An afterword. In : Caprez-Kromp&#x000e0;k E., Fern&#x000e1;ndez-Mallat V., Meyer S., eds. Linguistic landscapes and educational spaces p. 277–290. Bristol: Multilingual Matters.
Hall D., Williams C.. 2014. Big Hero 6 [Motion picture] United States: Walt Disney Studios Motion Pictures;
Jang I., Hwang B., Liu Z.. 2019;Multilingualism in the linguistic landscape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Story and Image Telling 18:395–428.
Jaworski A., Thurlow C., eds. 2010. Semiotic landscapes: Language, image, space London: Continuum.
Kim S.. 2017;Linguistic landscap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otentials and considera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0(4):66–98. https://doi.org/10.15702/mall.2017.20.4.66.
Kim S., Chesnut M.. 2020. Teaching with virtual linguistic landscapes: Developing translingual and transcultural competence. In : Malinowski D., Maxim H. H, Dubreil S., eds. Language teaching in the linguistic landscape: Mobilizing pedagogy in public space p. 69–92. Cham, Switzerland: Springer.
Kromp&#x000e0;k E., Fern&#x000e1;ndez-Mallat V., Meyer S.. 2022. The symbolic value of educationscapes: Expanding the intersections between linguistic landscape and education. In : Kromp&#x000e0;k E., Fern&#x000e1;ndez-Mallat V., Meyer S., eds. Linguistic landscapes and educational spaces p. 1–27. Bristol: Multilingual Matters.
Landry R., Bourhis R. Y.. 1997;Linguistic landscape and ethnolinguistic vitality: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16(1):23–49. https://doi.org/10.1177/0261927X970161002.
Malinowski D., Maxim H. H., Dubreil S.. 2020. Introduction. In : Malinowski D., Maxim H. H., Dubreil S., eds. Language teaching in the linguistic landscape: Mobilizing pedagogy in public space p. 1–13. Cham, Switzerland: Springer.
Roberts C., Byram M., Barro A., Jordan S., Street B.. 2001. Language learners as ethnographers Bristol: Multilingual Matters.
Rowland L.. 2013;The pedagogical benefits of a linguistic landscape project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6(4):494–505. https://doi.org/10.1080/13670050.2012.708319.
Sayer P.. 2010;Using the linguistic landscape as a pedagogical resource. ELT Journal 64(2):143–154. https://doi.org/10.1093/elt/ccp051.
Sayer P.. 2020. Ethnographic language learning projects through the linguistic landscape. In : Malinowski D., Maxim H. H., Dubreil S., eds. Language teaching in the linguistic landscape: Mobilizing pedagogy in public space p. 327–347. Cham, Switzerland: Springer.
Scollon R., Scollon S. W.. 2003. Discourses in place: Language in the material world New York, NY: Routledge.
Shohamy E., Ben-Rafael E.. 2015;Linguistic landscape: A new journal. Linguistic Landscape: An International Journal 1(1-2):1–5. https://doi.org/10.1075/ll.1.1-2.001int.
Shohamy E. G., Gorter D., eds. 2009. Linguistic landscape: Expanding the scenery New York, NY: Routledge.
Spolsky B.. 2009. Language manage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rzuk A.. 2020. Building language teacher awareness of colonial histories and imperialistic oppression through the linguistic landscape. In : Malinowski D., Maxim H. H, Dubreil S., eds. Language teaching in the linguistic landscape: Mobilizing pedagogy in public space p. 145–162. Cham, Switzerland: Springer.
Van Herk G.. 2018. What is sociolinguistics? 2nd edth ed. Hoboken, NJ: Wiley Blackwell.
Willis P. E.. 2000. The ethnographic imagination Malden, MA: Polity.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Public Washroom Sign

FIGURE 2

Creative Public Sign

Note. Photo courtesy of Sungwoo Kim

FIGURE 3

Multilingual, Top-Down, and Directive Sign

FIGURE 4

Virtual World and Realia Linguistic Landscapes

FIGURE 5

Traffic Sign

FIGURE 6

Public Safety Sign

FIGURE 7

Multilingual Sign

FIGURE 8

Expressive Sign

FIGURE 9

Analysis of Linguistic Form and Meaning

FIGURE 10

Language Awareness

FIGURE 11

Multilingualism

FIGURE 12

Logos

Table 1.

The Organization of ELLP (Sayer, 2020, p. 334)

Step Main activities
Introducing the concept: Linguistic landscape · Model the task: Use examples from local linguistic landscape
· Model the task: Ask Ss to think about why language X is being used
· Brainstorm initial ideas
Explain the process: How to document the linguistic landscape · Guide Ss to set their own objectives
· Guide Ss to design methodology and data sources
· Be clear about the expectations for the final project
Carrying out projec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Ss gather, compile and organize data
· Ss work collaboratively to analyze data
· Scaffold Ss through analysis and/or provide heuristic
Presentation of final products · Ss present final projects to the group
· Synthesis: Ask Ss to analyze across group’s project; what ar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nclusions”?

Table 2.

Linguistic Landscape Teaching Model

Step Main activities
Concept introduction ● Definitions of linguistic landscape
● Analytic methods of linguistic landscape
● Using examples from local contexts
● Showcasing virtual linguistic landscape
In-class activity ● A small-scale activity asking Ss to collect and analyze a public sign in their neighborhood or a virtual linguistic landscape
Fieldwork and analysis ● Selecting a fieldwork site and/or a type of public signage
●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 Presenting and/or submitting a final product
Reflection ● Feasibility and limitation of linguistic landscape in a certain area of work

Table 3.

Linguistic Landscape Analytic Framework (Sayer, 2010, p. 152)

Audience Purpose Type Definition
Cross-cultural Convey information to foreigners Information Foreign language signage offering information to foreigners
Intracultural Convey local social meaning Iconic Foreign language signage with a fixed form and meaning such as brand names, logos, and slogans
Innovative Foreign language signage with an innovative form and meaning

Table 4.

Analysis of the In-Class Virtual Linguistic Landscape Activity

Area of analysis Result
Language English (34), Korean (4), Chinese (2), Japanese (1)
Domain street (24), commercial district (7), public building (3), back street (1)
Type traffic sign (12), signboard (9), bulletin (7), ground sign (4), poster (1), graffiti (1), sign stone (1)
Producer top-down (25), bottom-up (10)
Function referential (19), directive (12), expressive (4)
Content of analysis linguistic form and meaning (5), language awareness (9), culture (20)

Note. ( ): case number (multiple choice allowed)

Table 5.

Analysis of Fieldwork Reports

Area of analysis Result
Language English (34), Chinese (9), Japanese (3), Russian (2), Thai (1), Vietnamese (1), Khmer (1), Italian (1)
Domain commodity (8), street (5), tourist site (7), commercial district (5), station (4), apartment complex (2), school (2), hospital (1)
Type bulletin (21), signboard (15), logos/slogan (9), menu (1)
Producer top-down (19), bottom-up (26)
Function inter-cultural-information (24), intracultural-iconic (16), intracultural-innovative (19)
Content of analysis linguistic form and meaning (17), language awareness (21), culture (8)

Note. ( ): case number (multiple choice allowed)